역사적 인물

본문

p11.png 3. 송천서원(松泉書院) 소개

(2002. 7. 항용(제) 촬영 제공)

ankim02-6-13p.jpg

<송천서원 입구>

 

ankim02-6-13q.jpg

<송천서원>

 

ankim02-6-13r.jpg

<현판>

 

ankim02-6-13s.jpg  ankim02-6-13t.jpg

<안렴사공 위패 내부>

      

 1) 송천서원(松泉書院) 해설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①김사렴(金士廉, 1335-1405), ②최유경(崔有慶, 1343-1413), ③이정간(李貞幹, 1360-1439), ④박광우(朴光佑, 1495-1545)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옥산면 송천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1년에 松泉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그 뒤 ⑤이지충(李之忠, 1509-1562), ⑥조강(趙綱, 1527-1599), ⑦이대건(李大建, 1550-1574), ⑧이제신(李濟臣, 1536-1584), ⑨이인혁(李寅爀, 1634-1710), ⑩최석정(崔錫鼎, 1646-1715), ⑪남구만(南九萬, 1629-1711), ⑫박문수(朴文秀, 1691-1756), ⑬이종성(李宗成, 1692-1756), ⑭이효석(李孝碩, ?-1491), ⑮김여량(金汝亮, 1603-1683)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8)에 훼철되었다.

○광복후 지방유림이 복원계획을 공의하여 오던 중, 국조보조를 받아 1975년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5칸의 사우(祠宇), 중앙의 모현문(慕賢門)과 양 옆의 협문으로 된 삼문(三門), 4칸의 모현재(慕賢齋), 5칸의 수호사(守護舍), 정문(旌門) 등이 있다.

○사우에는 김사렴을 주벽(主壁)으로 좌우에 최유경, 이정간, 박광우, 이지충, 조강, 이대건, 이제신, 이인혁, 남구만, 최석정, 박문수, 이종성, 이효석, 김여량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재실은 제향때 제관들의 숙소와 강학장소로 사용하고 있으며, 수호사는 서원을 관리하는 고자(庫子)가 사용하고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음력 3월 20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7변( ), 7두(豆)이다.

○재산으로는 대지 750평, 논 2,000여평 등이 있다.

<전고대방, 충청북도지(충청북도, 1975), 청주시지(청주시, 1976)>

 

 2)<송천서원 배향인물>

①(안동)김사렴(金士廉) ?1335-?1405

②(전주)최유경(崔有慶) 1343(충혜왕 복위 4)∼1413(태종 13) ☞김묘의 사위, 김묘의 세째딸이 최유경의 둘째부인, 따라서 김구용의 매부, 김사렴의 동생 김사안의 손아래 동서임

③(전의)이정간(李貞幹) 1360(공민왕 9)∼1439(세종 21) ☞안렴사공의 4자 김제의 따님 시부, 즉 사위 이사혜의 부

④(상주)박광우(朴光佑) 1495(연산군 1)∼1545(명종 즉위년).

⑤(우봉)이지충(李之忠) 1509(중종 4)∼1562(명종 17)

⑥(한양)조강(趙綱) 1527(중종 22)∼1599(선조32).

⑦(경주)이대건(李大建) 1550(명종 5)∼?1574 ☞김도(병천 도원리 안렴사공파)의 사위, 이시발의 부

⑧(전의)이제신(李濟臣) 1536(중종 31)∼1584(선조 17)

⑨(경주)이인혁(李寅爀) 1634-1710 ☞이시발의 손자, 즉 김도(병천 도원리 안렴사공파)의 외현손

⑩(전주)최석정(崔錫鼎) 1646(인조 24)∼1715(숙종 41). ☞최유경의 후손, 최명길의 손자,

최명곡(최석정) 선생이 주무가 되어 松泉에 서원을 세워 공(=안렴사공 김사렴)을 주벽으로 선현 7선생을 모시고 춘추 원향을 올리게 되었다. 7현의 향축문도 최명곡 선생이 撰하시었다.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송천서원터 : 송천마을 뒤에 있었다. 지금은 오창면으로 이주하였다. 현재 빗돌만 남아 있다.<청원군 지명지>

⑪(의령)남구만(南九萬) 1629(인조 7)∼1711(숙종 37). ☞남재의 후손, 남공철<1760(영조 36)∼1840(헌종 6)>의 선조, 남공철은 김상기(병천 도원리 안렴사공파)의 외현손으로 고려명신전 일민편에 안렴사공을 기록하고, 안렴사공(김사렴)의 묘갈록과 신도비명을 찬하였음

⑫(고령)박문수(朴文秀) 1691(숙종 17)∼1756(영조 32) ☞암행어사로 유명, 백곡 김득신과 절친했던 구당 박장원의 증손

⑬(경주)이종성(李宗成) 1692(숙종 18)∼1759(영조 35) ☞이항복의 5세손

⑭(전의)이효석(李孝碩) ?-1491 ☞안렴사공 4자 김제의 외손자, 즉 이사혜의 아들

⑮(개성)김여량(金汝亮) 1603(선조 36)∼1683(숙종 9).

 

  3)송천서원 건립 (2003. 2. 5. 주회(안) 제공)

 *송천서원 건립 (1708)

 1) 오은선생 행장 (?1768, 13대손 김래 찬)

같은 임금 34년 무자(=1708)에 청주의 많은 인사들이 州의 서쪽 송천땅에 祠院을 세우기로 하여 얼마 안 되어 집 한 채를 이룩하였다.

그 상량문에 이르기를 "자질은 보물처럼 빼어나고 의지는 서리맞은 소나무같이 꽂꽂했으며 마음 속으로는 항상 晉나라 조정을 보존하려고 한 五柳 선생의 절개를 사모하였다.

주나라의 곡식 먹기를 수치로 여겼으니 일찍이 孤竹君의 풍도로 이름났었다." 하였다.

3년이 지난뒤 신묘년(=1711)에 上疏로 扁額(편액)을 청했으니 아! 훌륭하도다.

 

 2) 오은 안렴사김선생 시장초기 (1802이전, 홍양호)

숙묘 34년 戊子에 (=1708) 유림들이 서원을 청주서쪽 송천에 세우고 해마다 춘추 향사를 올리었다.

그후 3년만인 辛卯년에 (=1711) 유생 ★이택하 등 120인이 詣闕上疏(예궐상소)하여 서원에 宣額(선액)할 것을 청하여 왕께서 該曹에 명하여 稟處(품처)하라 하였다. 그때 조정에 유사하여 일이 침체되었다.

영조13년 丁巳에 (= ) 후서1도 유생들이 선생을 ★목은 이선생을 모신 신항서원에 같이 모시려다 성취치 못하였으니 참으로 개탄할 일이다.

 

3) 고려명신전 (1822, 남공철)

숙종4년에 고향의 선비들이 松泉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지냈다. <高麗名臣傳>

 

 4) 안렴사김공 묘갈록 (1830, 남공철)

같은 임금 34년 戊子(무자-1708)에 청주의 人士들이 고을의 서쪽에 祠院(사원)을 세우고 3년을 넘겨 辛卯년에 上疏하여 賜額을 요청하였으나 아 奇異하도다.

 

 5) 안렴사공 신도비문 (1840이전, 남공철)

숙종4년에 그 고을 儒生들이 發議하여 公의 祠堂을 松泉에 세우고 祭祀를 지내더니 그후 3년 되던 해에 儒生 李澤夏 등 120인이 大闕에 들어가 글을 올려 祠院에 대하여 이름을 지어 賜額하기를 請하니 왕이 關係當局에 명하여 善處하라고 하였으나 마침 朝廷에 일이 있어서 미처 施行치 못하였다.

 

 6) 여말의충절 김사렴 (1998, 김재윤 청주교대 교수)

공의 충절을 일찍부터 잘 알고 있던 유생들과 선비들은 공의 묘소가 알려지게 되자, 공에 대한 추모의 정이 새롭게 솟아오르게 되었고, 이들의 발의로 1704년(숙종34년, 戊子)에 공을 모시는 사당을 청주 서쪽 松泉에 세워 향사를 받들었다.

 

그후 3년 되던 해에 유생 李澤夏등 120명이 상소문을 올려, 이 서원에 대하여 이름을 지어 賜額(사액)하기를 청하자, 왕이 쾌히 승낙하고 이를 예조 당국에 명하여 선처하도록 지시하였으나 조정의 복잡한 사정으로 미쳐 시행되지 못하였다.

 

이 송천서원은 오창면 서쪽 양지리의 목령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데, 공을 주벽으로 모시고 이밖에 죽정 최유경, 효정 이정간, 필재 박광우, 삼우당 이지충, 모계 조강, 남촌 이대건 등 모두 일곱 분을 모셨다가 세 차례에 걸쳐 여덟 분을 더 모시게 되어 열다섯 분을 모셔 왔었다.

 

그러다가 1871년(고종8년)에 정령에 의하여 毁撤(훼철)되었다가 충북 유도회의 주관으로 다시 복원되었고 매년 3월 20일에 院享(원향)을 받들고 있다.

 

 7) 영모재 안내판

○ 永慕齋에 대하여

안렴사공의 산소를 숙종4년에 찾으니 공의 충절을 사모하던 士林들이 慕(茅?)亭 비슷이 영모재를 묘하에 세우고 詩書를 강론하였다.

그후 최명곡(★최석정) 선생이 주무가 되어 松泉에 서원을 세워 공을 주벽으로 선현 7선생을 모시고 춘추 원향을 올리게 되었다. 7현의 향축문도 최명곡 선생이 撰하시었다.

영모재는 송천서원 전신으로 공의 묘소의 재궁으로 쓰여 오고 묘지명이 慕亭里로 전하여 왔다.

 

 8) 청원군 지명지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송천서원터 : 송천마을 뒤에 있었다. 지금은 오창면으로 이주하였다. 현재 빗돌만 남아 있다.

 

 9) 고충지 (1982, 안렴사공파종회)

15. 송천서원 ○건 및 경과 (송천서원에 대하여)

서기 1708년 (숙종34년 戊子)에 도내 유림들이 재화를 모아 주서 송천에 서원을 세우고 공을 주벽으로 7현을 동배하여 모시었다.

1711년 (숙종37년 辛卯)에 이택하를 대표로 하여 鄕儒 120명이 상경하여 청액하였다. 때마침 조정에 일이 있어서 시행치 못하고

1719년 (숙종45년 己亥)에 선액되었다.

그후 7현을 추배하여 14현을 봉향하여 오다가

1871년 (고종8년 辛未) 운현궁 정령으로 소위 淸議譏政(청의기정)이라는 혐으로 회철당하였다.

1973년 (광복26년) 에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현지에 이건복원되어 복원당시 1현을 추배하여 전후 15현을 1976년 丙辰 3월 27일 향사를 올리고 향사일을 음 3월 20일을 원정일로 정하고 복설의례를 갖추었다.

 

선액년도가 숙종 乙亥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오기가 아닌가 한다. 그 이유는 이 서원은 숙종 戊子에 건립한 서원인데 숙종 乙亥라면 건립 13년전인 乙亥년에 선액하였다면 년의 순차가 맞지 아니하고 戊子년에 건립하고 후 3년만에 청액한 8년후 己亥가 아닌가 한다. 己亥 己자를 乙자로 오기한 것이 아닌가 한다. 건립된 해보다 선액된 해가 먼저라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10) 문화유적총람

【유적명칭】 ●청원 송천 서원(淸原 松泉書院)

【관리번호】 363-880-240-273

【지정사항】 <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 서원

【유적위치】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유적 분포지도 참조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시 대】 조선시대

【관 리 자】 기타(안동 김씨 문중)

【유적내용】

송천 서원은 조선 숙종 21년(1695) 청주목 서강외이하면 환희리(淸州牧 西江外二下面 歡喜里) 오늘의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송천마을에, ★김사염(金士廉)·최유경(崔有慶)·이정간(李貞幹)·박광우(朴光佑)·이지충(李之忠)·조강(趙綱)·이대건(李大建)을 모신 서원인데 경종 3년(1723)에 이제신(李濟臣)을 추향하고 영조 때 최석정(崔錫鼎)·이인혁(李寅爀)을 추향하고 정조 22년(1798)에 이효석(李孝碩)·남구만(南九萬)·박문수(朴文秀)·이종성(李宗城)을 추향하며 원생 15인과 자모생 15인을 뽑았다.

그러나 고종 8년(1871) 사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는데 1976년에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은행정마을에 다시 세우고 김여량(金汝亮)을 추향하고 매년 음력 3월 20일에 향사하고 있다.

지금의 서원은 1978년에 중건하고 1984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5칸, 측면 2칸 맞배지붕 겹처마 목조기와집인데 내부는 통칸마루방에 분합문을 달고 앞퇴를 두었으며 ‘숭모사(崇慕祠)’라는 현판을 걸었고 마당 앞에 솟을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현재 안동 김씨(安東金氏)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충청북도, 1982, <<문화재지>>

【비 고】

 

11)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송천서원(松泉書院)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①김사렴(金士廉, 1335-1405), ②최유경(崔有慶, 1343-1413), ③이정간(李貞幹, 1360-1439), ④박광우(朴光佑, 1495-1545)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옥산면 송천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1년에 松泉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그뒤 ⑤이지충(李之忠, 1509-1562), ⑥조강(趙綱, 1527-1599), ⑦이대건(李大建, 1550-1574), ⑧이제신(李濟臣, 1536-1584), ⑨이인혁(李寅爀, 1634-1710), ⑩최석정(崔錫鼎, 1646-1715), ⑪남구만(南九萬, 1629-1711), ⑫박문수(朴文秀, 1691-1756), ⑬이종성(李宗成, 1692-1756), ⑭이효석(李孝碩, ?-1491), ⑮김여량(金汝亮, 1603-1683)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8)에 훼철되었다.

광복후 지방유림이 복원계획을 공의하여 오던중, 국조보조를 받아 1975년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5칸의 사우(祠宇), 중앙의 모현문(慕賢門)과 양 옆의 협문으로 된 삼문(三門), 4칸의 모현재(慕賢齋), 5칸의 수호사(守護舍), 정문(旌門) 등이 있다.

사우에는 김사렴을 주벽(主壁)으로 좌우에 최유경, 이정간, 박광우, 이지충, 조강, 이대건, 이제신, 이인혁, 남구만, 최석정, 박문수, 이종성, 이효석, 김여량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재실은 제향때 제관들의 숙소와 강학장소로 사용하고 있으며

수호사는 서원을 관리하는 고자(庫子)가 사용하고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음력 3월 20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7변( ), 7두(豆)이다.

재산으로는 대지 750평, 논 2,000여평 등이 있다.

참고문헌 전고대방, 충청북도지(충청북도, 1975), 청주시지(청주시, 1976) <신동호>

 

12) 송천서원 배향인물

①(안동)김사렴(金士廉) ?1335-?1405

②(전주)최유경(崔有慶) 1343(충혜왕 복위 4)∼1413(태종 13)

☞김묘의 사위, 김묘의 세째딸이 최유경의 둘째부인, 따라서 김구용의 매부, 김사렴의 동생 김사안의 손아래 동서임

③(전의)이정간(李貞幹) 1360(공민왕 9)∼1439(세종 21)

☞안렴사공의 4자 김제의 따님 시부, 즉 사위 이사혜의 부

④(상주)박광우(朴光佑) 1495(연산군 1)∼1545(명종 즉위년).

⑤(우봉)이지충(李之忠) 1509(중종 4)∼1562(명종 17)

⑥(한양)조강(趙綱) 1527(중종 22)∼1599(선조32).

⑦(경주)이대건(李大建) 1550(명종 5)∼?1574

☞김도(병천 도원리 안렴사공파)의 사위, 이시발의 부

⑧(전의)이제신(李濟臣) 1536(중종 31)∼1584(선조 17)

⑨(경주)이인혁(李寅爀) 1634-1710

☞이시발의 손자, 즉 김도(병천 도원리 안렴사공파)의 외현손

⑩(전주)최석정(崔錫鼎) 1646(인조 24)∼1715(숙종 41).

☞최유경의 후손, 최명길의 손자,

최명곡(★최석정) 선생이 주무가 되어 松泉에 서원을 세워 공(=안렴사공 김사렴)을 주벽으로 선현 7선생을 모시고 춘추 원향을 올리게 되었다. 7현의 향축문도 최명곡 선생이 撰하시었다.

 

 * <청원군 지명지>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송천서원터 : 송천마을 뒤에 있었다. 지금은 오창면으로 이주하였다. 현재 빗돌만 남아 있다.

 

⑪(의령)남구만(南九萬) 1629(인조 7)∼1711(숙종 37).

☞남재의 후손, 남공철<1760(영조 36)∼1840(헌종 6)>의 선조,

남공철은 김상기(병천 도원리 안렴사공파)의 외현손으로 고려명신전 일민편에 안렴사공을 기록하고, 안렴사공(김사렴)의 묘갈록과 신도비명을 찬하였음

 

⑫(고령)박문수(朴文秀) 1691(숙종 17)∼1756(영조 32)

☞암행어사로 유명, 백곡 김득신과 절친했던 구당 박장원의 증손

 

⑬(경주)이종성(李宗成) 1692(숙종 18)∼1759(영조 35)

☞이항복의 5세손

 

⑭(전의)이효석(李孝碩) ?-1491

☞안렴사공 4자 김제의 외손자, 즉 이사혜의 아들

 

⑮(개성)김여량(金汝亮) 1603(선조 36)∼1683(숙종 9).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