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 중시조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신라김씨 시조 대보공

2. <금궤도> 소개

3. 신라김씨의 분관(分貫) 및 개성(改姓)

4. 안동김씨 시조 평장사(平章事) 휘 숙승(叔承) 소개

5. 안동김씨 중시조 충렬공(忠烈公) 휘 방경(方慶) 소개

 

본문

p02.png 신라김씨 비조(鼻祖) 대보공(大輔公 諱 閼智)

 

비조(鼻祖)인 대보공(휘 알지-閼智)은 서기 60년(신라 탈해왕 4년) 8월 4일, 신라의 서울인 서라벌(금성) 서쪽 계림(鷄林, 또는 始林)의 숲속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던 금궤(金櫃)에서 태어났다. 탈해왕은 이는 <하늘이 준 아들>이라 하면서 금궤에서 나왔다고 하여 성씨를 김씨로 사성(賜姓)하였다. 금궤 속에서 나온 동남(童男)이 마치 박혁거세(朴赫居世)의 고사와 같으므로(혁거세가 알지라고 한) 그 말로 인하여 '알지'라 이름했다. 이 '알지'는 향찰(鄕札-순 우리말을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표기하던 신라시대의 문자)로 표기한 것으로서 '소아(小兒), 아이, 아기'를 일컫는다.

 

당시 탈해왕(脫解王)은 '알지'를 태자로 책봉했으나 후에 알지는 이를 파사에게 양위하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6대손인 '미추(未鄒)'가 왕위에 올랐다. '알지'를 신라김씨(안동김씨 포함)에서는 시조로 모신다.

 

이에 대한 <三國遺事>(一然 著)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永平3年 庚申(一云 中元 六年. 誤矣. 中元盡二年而已), 八月四日, 弧公夜行月城西里, 見大光明於始林中(一作鳩林), 有紫雲從天垂地, 雲中有黃金櫃, 掛於樹枝, 光自櫃出, 亦有白鷄鳴於樹下.以狀聞於王, 駕幸其林, 開櫃有童男, 臥而卽起, 如赫居世之故事, 故因其言, 以閼智名之. 閼智卽鄕言小兒之稱也. 抱載還闕, 鳥獸相隨, 喜躍 足倉足倉 .王擇吉日, 冊位太子. 後讓於婆娑不卽王位, 因金櫃而出, 乃姓金氏, 閼智生熱漢, 漢生阿都, 都生首留, 留生郁部, 部生俱道(一作仇刀), 道生未鄒, 鄒卽王位, 新羅金氏自閼智始.

 

<해석>

영평3년(*주1) 경신(*주2) 8월 4일에 호공이 밤에 월성(月城)의 서리(西里)를 걸어 가고 있었는데, 큰 광명이 시림(*주3) 속에서 나오는 것을 보았다. 자주색 구름이 하늘에서 땅으로 뻗쳐 있었고, 그 구름 속에는 한 황금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었다. 빛은 바로 그 궤로부터 나오고 있던 것이었고, 그 나무 밑에서는 흰닭이 울고 있었다.

 

이 모습을 왕(석탈해왕)께 아뢰자 왕은 친히 그 숲으로 행차하였다. 그리고 왕이 그 궤를 열어 보았더니 그 속에서는 어린 사내아이가 있었는데 누워 있다가는 곧 일어났다. 이것은 마치 혁거세의 고사와 같았는데(혁거세가 알지라고 한) 왕은 그 말로 인하여 '알지'라고 이름하였다. 알지는 곧 우리말로 '아기(小兒)'를 일컫는다. 왕은 이 사내아이를 안고 대궐로 들어오니 새와 짐승들이 서로 따라와 뛰놀고 춤추었다.

 

왕은 길일을 택하여 세자로 책봉했으나 (알지는) 뒤에 파사왕에게 사양하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금궤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김(金)씨라 했다. 알지는 열한(熱漢)을 낳고, 열한은 아도(阿都)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부(郁部)를 낳고, 욱부는 구도(仇道 혹은 仇刀라 함)를 낳고, 구도는 미추(未鄒)를 낳았는데 미추가 왕위에 올랐으니 신라의 김씨는 알지에서 시작되었다.

<三國遺事>李丙燾譯.大洋書籍 刊. 1972. p104)

*주 1. 영평3년 : 서기 60년, 탈해왕 4년

*주 2. 경신(庚申) : 혹은 중원 6년이라고 하나 잘못이다. 중원은 2년 뿐이었다.

*주 3. 시림(始林) : 혹은 구림(鳩林)이라고도 한다

 


3476407d59e39f5cdabbce44d2b64dd8_1738817236_6263.jpg 

<鷄林-대보공 탄강지. 경주시 >

 

*<신증동국여지승람> 내의 기록 내용 (2003. 4. 23. 윤만(문) 제공)

 

▣ 제3권 p236<경주부 고적(古蹟) ; 김알지(金閼智)>

--시림(始林) : 부의 남쪽 4리에 있다. 탈해왕(脫解王) 9년에 임금이 밤에 금성(金城)의 서쪽 시림(始林)의 수풀 사이에 닭이 우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 대보(大輔) 호공(瓠公)을 보내어 가보게 하였더니, 황금빛 작은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임금이 궤를 가져다가 여니, 작은 사내아이가 있었다. 임금이 기뻐하여 말하기를, "이것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훌륭한 아들을 보내줌이 아니겠는가?" 하고, 곧 거두어 양육하였다. 이름을 알지(閼智)라고 하였으며, 그가 금궤(金櫃)에서 나왔으므로 성(姓)을 김씨(金氏)로 하였다. 인하여 그 숲을 계림(鷄林)이라 이름하고, 인하여 나라 이름으로 하였다. 숲 속에 쌓은 돌이 있는데 높이가 3척이나 된다.

속설에 전하기를, "알지(閼智)의 태(胎)를 풀 때에 가위를 놓았던 돌로서, 가위의 흔적이 있다." 한다. 알지의 7대손 미추(味鄒)가 조분왕(助賁王)의 왕녀[딸]에게 장가들었더니, 아들이 없어서 미추가 대신하여 섰는데[즉위하였는데],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가진 시초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