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자(字)는 중아(仲雅), 안렴사공(휘 사렴)의 후손으로 판교공 환(丸)의 증손, 숙부 현감공(계)에게 出系하였다. 공이 효우(孝友)하고 독학(篤學)하여 1513년(중종8) 식년시 문과에 병과 4등으로 합격. 보덕(輔德)·전한(典 翰)·직제학(直提學)·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역임하고, 예조참의(禮曹參議)에 이르렀다.
갑술(甲戌)에 현감공의 상을 당하고 복계(服門+癸)하고 임오(壬午)에 친노(親老)로써 괴주(괴산) 목사로 보직함을 걸구(乞求)하고 갑오(甲午)에 직제학으로 수찬관에 그치니 내우(內憂)를 당하여 시묘(侍墓)중 갑신(丙申)에 내외상(內外喪)을 연조(連遭)하여 거려(居廬)하여 애훼(哀毁)하니 정유(丁酉)년에 졸하니라. 성돈재는 묘갈을 짓고 동종(同宗) 동고는 서하였다. 묘는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산소동에 있다. 공은 안렴사의 7세손인 현감(계)의 아들이다. 일찍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과 양사(사헌부와 사간원), 춘방(세자시강원), 전한, 직제학, 지제교를 역임하고 승정원의 동부승지와 예조참의에 이르렀는데, 청백함으로 스스로 지켰다.
연달아 부모상을 만나 여묘를 살며 지나치게 훼손하여 상중에 별세하였는데, 임종할 때에 집안일에 대해서는 한마디 언급함이 없고 오직 말씀하기를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은 천명에 달려 있으니 내 다시 무엇을 한하겠는가. 다만 국가의 은혜를 받았는데 털끝만큼도 보답하지 못하니, 이것이 마음 아프다" 하였다.
묘갈문을 동재 성세창이 짓고 동고 김로가 썼는데 그 명문에 이르기를 "후왕의 후손이요, 덕과 경사를 쌓았네. 정기 모여 우리 공을 낳아 문벌이 다시 혁혁하네" 하였다.
<김공예 묘갈-동고공(휘 노)서> (2005. 6. 11. 태서(익) 제공)
金公藝 墓碣 通政大夫 承政院同副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金公諱公藝之墓碣銘 侯姓金 諱公藝 字仲雅 安東大姓也 新羅敬順王十八世孫曰方慶 封上洛公 勳業冠世 累代至諱丸 承文院判校 寔生諱宗孫 司憲監察 贈通政大夫戶曹參議 寔生諱 通政大夫行文義縣令 縣令娶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柳塾之女 成化乙巳五月十日月生侯 侯養于叔父新昌縣監諱堦之家 爲其後 事之如所生 旣長 就學 學業日新 正德癸酉 中文科別試 選入承文院 爲權知副正字 入藝文館檢閱兼春秋館記事官甲戌陞待敎轉承政院注書未幾丁縣監公憂服闋拜藝文館奉敎陞成均館典籍 戊寅 拜兵曺佐郞司諫院正言 復拜兵曺佐郞 出爲忠淸道都事 己卯遷長興庫令轉京畿都事 庚辰拜司憲府持平 辛巳遷承文院校理 陞兵曺正郞 嘉靖壬午親老 乞補槐山郡守 越六年丁亥 還 拜成均館直講 陞世子侍講院弼善 陞輔德特拜司憲府掌令 戊子陞軍資監正 轉軍器寺正 其年復爲輔德 又拜司憲府執義 復拜弼善 轉軍器寺正 己丑 拜司諫院司諫遞爲宗簿寺僉正 入爲弘文館副應敎 陞典翰庚寅陞直提學知製敎兼 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館 以言事見罷 辛卯復授成均館司藝 兼弼善 復遷輔德 癸己遷司諫 甲午陞直提學 以司諫時論事 被遞授龍骧衛 大護軍 遷承文院參校 數日陞掌樂院正 復授司諫 翌日特命 拜禮曺參議 承政院同副承旨 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其年九月丁內憂 侍墓于淸州 北面嶺之麓 丙申五月連遭內外憂 居廬四載 哀毁日甚 嬴瘁骨立 遂至不起 丁酉十一月己丑卒于服中 享年五十三 明年二月十六日庚申 安措于嶺北原 侯淸儉忠孝 出於天性 剛明正直 不惑於邪 治郡居職 一以至誠 居家常以孝悌 訓子弟 禁抑奢侈 見輒責之 賞分臧獲 不計私有 悉分與同腹臨終無一言及家事 但曰壽夭在天 吾復何恨 但荷國恩 而不報 是可痛也 娶掌樂院正李公諱達善之女 生一男四女 子點 女適副司猛李懷德 次適柳希逸 次適許綱 次適朴淵 銘曰侯王之裔 德慶之積 篤生我侯 門闌更赫昭代揚翹 佳譽薰焯 人爵方隆 天壽斯嗇 爲孝不終 遽就窀穸 嶺北原 其永安宅 我思不窮敢鐫斯石 嘉靖十八年十一月 日立 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弘文館提學同知經筵春秋館成均館義禁府事世子左實客 成世昌 撰 務功郞前守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 金 魯 書 通政大夫行昌平縣令鄭雲鶴書乙卯四月十五日 改立
*승정원 동부승지 김공예(1485-1637)의 묘갈은 조선 중종34년(1539)에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산소동에 우참찬 成世昌이 지은 비문을 홍문관 부수찬 金魯(=서운관정공파 김희수의 아들)가 써서 세웠는데 1915에 다시 세웠다.<청원의인풍(1991.2., 청주문화원)>
<동방급제자 명단> (2005. 12. 13. 항용(제) 제공) 중종8년(1513) 식년시때는 43명의 합격자를 냈다. 이름 생년 자 호 본관 합격등급
고한정(高漢鼎) 국보(國寶) 제주(濟州) 丙科7 김공예(金公藝) 1485 을사 중아(仲雅) 안동(安東) 丙科4--안렴사공파 김광복(金匡復) 극기(克己) 상주(尙州) 丙科3 김광철(金光轍) 1493 계축 자유(子由) 강릉(江陵) 丙科2 김구(金絿) 1488 무신 태유(太柔) 자암(自庵) 광주(光州) 乙科1 *김번(金璠) 1479 기해 문서(文瑞) 안동(安東) 甲科3 --(후안동) 김섬(金銛) 자진(子晋) 언양(彦陽) 丙科19 김세우(金世愚) 1486 병오 불민(不敏) 광주(光州) 甲科2 김인상(金麟祥) 상지(祥之) 안동(安東) 丙科1--부사공파 나요(羅曜) 숙랑(叔朗) 나주(羅州) 丙科6 남세웅(南世雄) 국간(國幹) 의령(宜寧) 丙科8 박명손(朴命孫) 자순(子順) 함양(咸陽) 丙科1 박윤경(朴潤卿) 1479 기해 군택(君澤) 문의(文義) 乙科2 박진(朴稹) 미지(微之) 고령(高靈) 丙科13 배수동(裵壽仝) 자인(子仁) 성주(星州) 丙科5 변광대(邊光大) 명원(明遠) 원주(原州) 乙科4 송세충(宋世忠) 1468 무자 서가(恕可) 은진(恩津) 丙科22 신억수(申億壽) 미수(眉叟) 평산(平山) 丙科10 심언광(沈彦光) 1487 정미 사경(士烱) 어촌(漁村) 삼척(三陟) 乙科5 심의흠(沈義欽) 흠지(欽之) 청송(靑松) 乙科1 안수량(安秀良) 경온(景溫) 순흥(順興) 丙科15 안중손(安仲孫) 백지(伯之) 미상(未詳) 丙科2 유인수(柳仁洙) 학원(學源) 문화(文化) 丙科14 윤자임(尹自任) 1488 무신 중경(仲耕) 파평(坡平) 丙科6 이배근(李培根) 자번(子蕃) 부평(富平) 丙科18 이복로(李福老) 1469 기축 백순(百順) 쌍봉(雙峯) 합천(陜川) 丙科4 이세화(李世華) 미상(未詳) 丙科5 이적(李迪) 윤지(允之) 합천(陜川) 丙科23 이홍간(李弘幹) 1486 병오 대립(大立) 쌍괴(雙槐) 용인(龍仁) 丙科11 이희건(李熙騫) 효순(孝純) 벽진(碧珍) 丙科7 임권(任權) 1486 병오 사경(士經) 정용(靜容) 풍천(豊川) 乙科7 정세웅(鄭世雄) 경응(景應) 견벽(見碧) 미상(未詳) 丙科16 정옥형(丁玉亨) 1486 병오 가중(嘉仲) 압해(押海) 丙科12 정자견(丁自堅) 불린(不磷) 이재(易齋) 미상(未詳) 丙科17 조림(趙琳) 백원(伯瑗) 신재(愼齋) 함안(咸安) 丙科3 조적(趙績) 1477 정유 공기(公紀) 함안(咸安) 乙科6 최산두(崔山斗) 1483 계묘 경앙(景仰) 신재(新齋) 광주(光州) 丙科8 태두남(太斗南) 1486 병오 망이(望而) 서암(西庵) 영순(永順) 乙科3 표빙(表憑) 경중(敬仲) 퇴우(退憂) 신창(新昌) 甲科1 한충(韓忠) 1486 병오 서경(恕卿) 송재(松齋) 청주(淸州) 甲科1 허흡(許洽) 화중(和仲) 양천(陽川) 丙科20 홍계정(洪係貞) 1471 신묘 숙간(叔幹) 남양(南陽) 丙科9 홍이평(洪以平) 1463 계미 중성(仲成) 남양(南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