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본문

p11.png 충렬공 관련 역사 유적자료 소개

 1) <충렬공 일시 거주지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강남중학교 앞 마을은 충렬공께서 한 때 사시던 곳 (2001. 2. 25. 항용(제) 현지 탐방 제공)

  

(1)문헌 자료 소개

   (가)<강화사(江華史)>에 의하면 "고려 고종때 도원수(都元帥) 김방경(金方慶)께서 한 때 이곳에 살았다 하여 원수리(元帥里)라 하였는데, 이것이 와전되어 <온수리(溫水里)>로 된 것이며, 그가 살던 집의 현판을 해령당(海寧堂)이라고 한 것이 와전되어 해랑당이라 했다 한다."라고 기록 되어 있다.

   (나)<길상지(吉祥誌)>에 의하면 현 온수3리를 <해란당(海蘭堂)>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 " 원래는 이곳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는데, 게가 민물과 짠물이 교차되는 이곳에서 알을 낳고 짠물로 간다 하여 <해란당(蟹卵堂)>이라 부르던 것을 일본 식민지 시절에 어음 변화와 표기 잘못으로 <해랑(海浪)>이라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또 다시 와전되어 <해란(海蘭)>이 되었고 또 고목(편집자 주:현 온수3리 마을 중앙의 가치집이 있는 느티나무. 아래 사진 참조.)이 있는 근처에 당(堂) 집이 있었다(편집자 주:현 온수3리 고목나무 옆에 거주하고 있는 강순례씨가 전에 살았던 집-현 강남중학교 뒤-이 당집이었다고 함)고 전한다.그러므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해란당이라 부르고 있다." 고 한다.

 

  (2) 현지 지명:인천 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3리 (강남 중학교 앞 마을)

  (3) 참고문헌

    (가)<강화사(江華史)>. 1994. 1. 25. 강화 문화원간. 성지문화사. P 940

    (나)<길상지(吉祥誌)>. 1995. 8. 15. 강화군 길상면지 편집위원회 간. 남주문화사 인쇄. P 155

  (4) 자료 제공 및 확인 과정

   (가)2001. 1. 28. 김은회(金銀會-익원공파 20대손.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거주.)씨 최초 제공

   (나)2001. 2. 5. 김항용(홈페이지 관리자), 강화문화원 남궁순씨께 문의, 문헌자료 확인.

   (다)2001. 2. 24. 김항용. 현지 탐방 확인. 촬영.

      *대담자:(1)柳東九(강화군 길상면 온수3리 현지 주민. 강남중학교 앞 문구점 경영. 길상지 편집위원장 역임).

                  (2)강순례(온수3리 현지 주민. 고목나무 옆 거주.)

    (5) 현지 사진 자료

    

ankim02-6-2z29.jpg

           <온수3리 느티나무>(2001. 2. 24. 촬영. 100여년 전 이 느티나무 앞은 바다였음)

 

ankim02-6-2z30.jpg

 <온수3리 전경>(충렬공께서 사셨을 것으로 추정되는 마을 전경)

 

ankim02-6-2z31.jpg

<충렬공 거주지인 해랑당 추정 장소. 느티나무 위의 집> (2003. 2. 24. 안사연 현지 답사시 촬영. 발용(군) 제공)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