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본문

p11.png 김광국(金光國) 1709(숙종35)∼1783(정조7)--(군)

자(字)는 대관(大觀). 군사공(칠양)의 후손. 승지 준원(俊元)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담(湛)이다.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741년 지평이 되었다. 이듬해 정언을 거쳐 장령·필선·헌납을 역임하고 1755년에 서장관이 되었다. 이듬해 사간에 이어 1759년에 승지, 1760년에 황주목사, 1766년에 회양부사(淮陽府使)가 되었다. 1769년 도승지가 되고 이어 병조참판이 되고 호조판서(戶曹判書)에 제수(除授)되었으나 부임하지 못하였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다. 묘소는 경기도 용인군 원삼면 분지촌에 있다. 배위는 정부인 창원황씨(昌原黃氏)씨와 정부인 죽산안씨(竹山安氏)가 있다.  

편저로는 <선배수간(先輩手柬)>,<간독(簡牘)>이 있다. 1778년(정조2)에는 족보 무술보(戊戌譜)를 편찬하고 . 서문(序文)을 찬하였다.

 

계보 : 七陽(郡事公)-塡-三老-坤-允粹-謙-彦鐸-珣-俊元-樞-壽基-湛-光國

公八次佩符哥君竭忠一朝所推每侍. 上和韻詩曰 百年鴻渥煥重明 此日宸心慕更功

上命賜御筆三十券又特諭曰 勉我中子爲聖爲賢惟在于爾事見祖訓正宗朝遺祀官 李崇運致祭 賜送御筆輓章

 

<先輩手柬 소개>

(2002. 9. 17. 태영(군). 제공)

 

ankim02-6-84a.jpg   ankim02-6-84b.jpg

 

ankim02-6-84c.jpg

 <奎 10308>

 

金光國(1685~ ? )이 朝鮮朝 燕山君~英祖까지의 명현들의 필적을 10여년간 모아 1750년(英祖 26)에 次序를 정하여 8帖으로 만든 것이다. 현재 奎章閣에는 4帖이 있는데 이는 후에 다시 表具한 것으로 여기 4帖에는 '古簡札 71편이 실려 있는데(目錄上으로 는 99편) 이것이 金光國이 편한 8帖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인지 또는 없어지고 4帖만 남은 것인지 未詳이다. 金光國의 字는 大觀, 本貫은 安東, 承旨 俊元의 玄孫, 湛의 아 들. 1735년에 增廣文科에 丙科로 급제, 여러 淸要職을 지내고 1759년 黃州牧使, 1769 년 都承旨, 이어 兵曹參判에 이르렀다. 正祖때 죽은 것은 사실인 듯하나 沒年은 未詳 이다. 卷頭에는 1750년에 金光國 자신이 쓴 小敍가 실려 있다. 第 1 帖에는 容齋 李荇 의 書札을 비롯하여 24名(李滉, 成渾, 金誠一, 金尙容, 韓浚謙, 李廷龜, 金유, 沈즙, 金尙憲, 權필, 張維, 李明漢, 韓濩, 姜碩期, 吳浚, 沈之源, 李照漢, 金長生, 元斗杓, 李景奭, 察裕後, 金堉, 姜栢年)의 書札이 차례로 실려 있다. 書札 옆에 그의 官等 姓 名 등 필자의 약전을 실었는데 이 略傳은 金光國이 기록한 것으로 여기에 실린 24名은 대개 유명한 名賢과 卿相들로서 그 書札의 내용 보다는 필적을 보는데 더욱 가치를 찾 을 수 있을 것이다. 내용은 대부분 문안·시사에 관한 것으로 보이며 필체는 草書가 대부분이고 行書도 있다(下帖도 同一함). 그리고 첫째장 책머리에 朱黃墨으로 書札의 順序대로 號와 人名이 실려 있고 여기에는 26名의 이름이 실렸는데 실제 내용에는 仁 村 鄭弘翼 등 2名의 書札이 실려있지 않다. 第 2 帖에는 卷頭의 목록에는 역시 붉은 글씨와 노란 글씨로 20명의 이름이 실려있는데 실제로는 15名(許穆, 李維泰, 李有相, 李端夏, 朴世采, 尹趾完, 趙師錫, 李選, 柳尙運, 李濡, 趙持謙, 林泳, 尹拯, 崔錫鼎, 柳命天)의 書札만이 실려 있다. 第 3 帖에는 23명의 목록이 卷頭에 실려 있는데 실제 의 書札은 11편(李寅燁, 權重經, 權업, 李寅炳, 尹斗緖, 崔昌大, 李宜顯, 李晩成, 沈 宅賢, 李台佐 金興慶)만이 있고, 閔鎭遠, 尹趾仁, 李??, 李觀命, 金유 등의 것은 없다 . 그 이외 5名(金信謙, 趙道彬, 任방, 李縡, 金東弼)의 書札은 第 4 帖에 실려 있다. 第 4 帖에는 위의 5名의 書札이 먼저 있고, 다음 20명의 목록이 잘려진 채로 실려 있 다. 20편은 沈壽賢, 吳命恒, 洪致中, 魚有龜, 李夏坤, 徐命均, 金在魯, 李眞望, 金鎭 商, 趙文命, 李德壽, 趙觀彬, 兪拓基, 李聖龍, 鄭錫五, 宋寅明, 趙顯命, 李瑜, 洪世泰 , 吳瑗의 것으로 목록과 일치하나 목록이 잘려져서 여기 저기에 붙여 놓았으므로 본래 의 書札 수효는 알 수없다. 凡例에 「文以紅, 武以靑, 南以黃」이라 하여 文官은 붉은 , 武官은 푸른, 南臺는 노랑 글씨로 目錄이 되어 있다.

 

<간독(簡牘)>

조선시대 연산군∼영조 까지 명현들의 서간문을 10여 년 동안 모아 1750년(영조 26)에 병조참판 김광국(金光國)이 편찬한 책.

필사본이다. 간독은 편지라는 뜻으로 원이름은 《선배수간(先輩手柬)》이다. 본래는 명현들의 서간문을 차례를 정하여 8첩으로 만든 것이었는데, 현재 규장각에는 4첩만이 보존되고 있다. 이는 후에 다시 표구한 것으로 여기 4첩에는 고간찰(古簡札) 71편이 실려 있는데(목록상에는 99편), 이것이 김광국이 편찬한 8첩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인지 또는 없어지고 4첩만 남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권두에는 1750년에 김광국 자신이 쓴 소서(小敍)를 붙였다.

 

<동방급제자> 2006. 5. 9. 항용(제) 제공)

 

영조11년 증광시때는 86명의 합격자를 냈다.  

이름 생년 자 호 본관 합격등급

강봉휴(姜鳳休) 1694 갑술 의백(儀伯)  금천(衿川) 丙科31

강수규(姜守珪) 1712 임진 중옥(仲玉)  진주(晉州) 丙科2

금옥심(琴沃心) 1692 임신 계여(啓汝)  봉화(奉化) 丙科3

김가경(金可慶) 1694 갑술 선보(善甫)  안동(安東) 丙科18--제학공파

김경필(金景泌) 1701 신사 원중(源仲)  의성(義城) 乙科6

김광국(金光國) 1709 기축 대관(大觀)  안동(安東) 丙科20--군사공파

김굉(金硡) 1703 계미 대숙(大叔)  경주(慶州) 丙科32

김범갑(金范甲) 1690 경오 중만(仲萬)  안동(安東) 乙科2

김상환(金商煥) 1699 기묘   김해(金海) 乙科1

김성탁(金聖鐸) 1684 갑자 진백(振伯)  의성(義城) 乙科1

김수(金脩) 1690 경오 원지(遠之)  광주(光州) 甲科2

김시찬(金時粲) 1700 경진 치명(穉明)  안동(安東) 丙科29

김운(金<0x3D42>) 1694 갑술 구이(久而)  부령(扶寧) 丙科24

김형일(金衡一) 1705 을유 평숙(平叔)  안동(安東) 丙科9

남언욱(南彦彧) 1703 계미 여성(汝成)  의령(宜寧) 乙科4

남용진(南龍震) 1708 무자 국보(國輔)  영양(英陽) 丙科20

남태운(南泰運) 1695 을해 여대(汝大)  영양(英陽) 丙科14

남태혁(南泰赫) 1684 갑자 여휘(汝輝)  의령(宜寧) 丙科4

문복형(文復亨) 1678 무오 래양(來陽)  남평(南平) 乙科6

민수언(閔洙彦) 1686 병인 성원(聖源)  여흥(驪興) 丙科25

박창윤(朴昌潤) 1699 기묘 군탁(君擢)  밀양(密陽) 丙科5

박창조(朴昌朝) 1682 임술 자성(子盛)  고령(高靈) 丙科21

박평(朴玶) 1700 경진 평보(平甫)  밀양(密陽) 丙科19

박필간(朴弼幹) 1683 계해 계직(季直)  반남(潘南) 丙科1

박필리(朴弼理) 1687 정묘 경옥(景玉)  반남(潘南) 甲科1

박해윤(朴海潤) 1696 병자 여중(汝重)  밀양(密陽) 丙科6

박홍준(朴弘儁) 1704 갑신 자의(子毅)  반남(潘南) 丙科23

서성경(徐性慶) 1690 경오 사선(士善)  남양(南陽) 丙科6

서해조(徐海朝) 1691 신미 종지(宗之)  연산(連山) 丙科12

신명좌(申命佐) 1685 을축 계량(季良)  미상(未詳) 乙科4

신수(申ࢢ) 1693 계유 사순(士純)  평산(平山) 甲科1

심경선(沈景先) 1700 경진 사행(士行)  풍산(豊山) 乙科7

심곡(沈瑴) 1695 을해 군옥(君玉)  청송(靑松) 丙科15

심윤해(沈潤海) 1710 경인 덕수(德粹)  청송(靑松) 丙科12

안택중(安宅重) 1695 을해 인로(仁老)  순흥(順興) 丙科30

오명서(吳命瑞) 1688 무진 신경(信卿)  해주(海州) 甲科3

오수채(吳遂采) 1692 임신 사수(士受)  미상(未詳) 丙科9

유관현(柳觀鉉) 1692 임신 용빈(用賓)  전주(全州) 丙科8

유동원(柳東垣) 1688 무진 숙야(叔野)  진주(晉州) 甲科2

유억기(柳億基) 1699 기묘 대년(大年)  진주(晉州) 丙科17

유언국(兪彦國) 1701 신사 군필(君弼)  미상(未詳) 丙科11

유언호(兪彦好) 1706 병술 자용(子容)  기계(杞溪) 丙科2

유정원(柳正源) 1703 계미 순백(淳伯)  전주(全州) 乙科5

유현장(柳顯章) 1696 병자 달보(達甫)  진주(晉州) 丙科3

유홍관(兪鴻觀) 1686 병인 성규(聖逵)  기계(杞溪) 乙科3

윤동준(尹東浚) 1693 계유 사심(士深)  파평(坡平) 丙科16

윤지태(尹志泰) 1700 경진 대첨(大瞻)  칠원(漆原) 丙科13

윤택후(尹澤厚) 1686 병인 중심(仲深)  해평(海平) 乙科5

윤택휴(尹澤休) 1687 정묘 미중(美仲)  해평(海平) 甲科1

윤학보(尹學輔) 1690 경오 래수(來修)  파평(坡平) 丙科1

윤형기(尹亨基) 1711 신묘 성원(聖元)  파평(坡平) 丙科5

이덕관(李德觀) 1700 경진 사빈(士賓)  경주(慶州) 甲科3

이상정(李象靖) 1711 신묘 경문(景文)  한산(韓山) 丙科28

이석희(李錫禧) 1681 신유 여옥(汝玉)  전주(全州) 乙科7

이성중(李成中) 1706 병술 사득(士得)  전주(全州) 丙科10

이세진(李世震) 1680 경신 형백(亨伯)  진보(眞寶) 丙科27

이윤항(李胤沆) 1704 갑신 계정(季靖)  전주(全州) 丙科16

이이장(李彛章) 1708 무자 군칙(君則)  한산(韓山) 丙科27

이징규(李徵奎) 1682 임술 천장(天章)  연안(延安) 丙科4

이창유(李昌儒) 1713 계사 이진(而珍)  전주(全州) 丙科19

이창의(李昌誼) 1704 갑신 성방(聖方)  전주(全州) 丙科3

이형거(李衡擧) 1685 을축 평보(平輔)  성주(星州) 丙科24

이형만(李衡萬) 1711 신묘 평일(平一)  경주(慶州) 丙科17

이홍직(李弘稷) 1705 을유 계장(季長)  함평(咸平) 丙科4

이회원(李會元) 1697 정축 도성(道成)  부평(富平) 丙科5

임덕승(林德升) 1683 계해 덕형(德亨)  순창(淳昌) 乙科2

임상원(林象元) 1709 기축 언춘(彦春)  나주(羅州) 丙科21

임원(任遠) 1688 무진 치숙(致叔)  풍천(豊川) 丙科26

정동윤(鄭東潤) 1696 병자 윤경(潤卿)  경주(慶州) 丙科26

정순검(鄭純儉) 1710 경인 성종(聖從)  동래(東萊) 丙科14

정승빈(鄭升賓) 1704 갑신 대유(大猷)  경주(慶州) 丙科10

정준일(鄭俊一) 1688 무진 택지(宅之)  연일(延日) 丙科1

정하언(鄭夏彦) 1702 임오 미중(美仲)  연일(延日) 丙科22

조경(趙擎) 1696 병자 주천(柱天)  풍양(豊壤) 丙科7

주기(朱杞) 1683 계해 중량(仲良)  전주(全州) 乙科3

최일규(崔一奎) 1698 무인 찬오(燦五)  강릉(江陵) 丙科23

최진악(崔鎭岳) 1695 을해 치중(峙仲)  철원(鐵原) 丙科13

한덕부(韓德孚) 1705 을유 성문(聖聞)  청주(淸州) 丙科11

한시좌(韓始佐) 1694 갑술 원보(元輔)  청주(淸州) 丙科8

한정욱(韓正旭) 1701 신사 봉명(鳳鳴)  청주(淸州) 丙科25

한처희(韓處熙) 1703 계미 군집(君緝)  청주(淸州) 丙科22

허추(許錘) 1697 정축 덕칭(德稱)  양천(陽川) 丙科18

홍계옥(洪啓沃) 1707 정해 사심(士心)  남양(南陽) 丙科15

홍상한(洪象漢) 1701 신사 운장(雲章)  풍산(豊山) 丙科2

홍성귀(洪聖龜) 1698 무인 군서(君瑞)  남양(南陽) 乙科1

황최언(黃最彦) 1711 신묘 양백(良伯)  창원(昌原) 丙科7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