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1338(충숙왕 복위7)∼1384(우왕10). 고려말 학자. 초명은 제민(濟閔), 자는 경지(敬之), 호는 척약재(小易若齋), 상락군(上洛君) 묘(昴)의 아들. 공민왕 때 16세로 진사(進士)가 되고, 그 후 문과(文科)에 급제, 덕령부 주부(德寧府注簿)를 거쳐 민부의랑(民部議郞)겸 성균 직강(成均直講)이 되었다. 1367년(공민왕 16) 성균관(成均館)이 중영(重營)되자 정몽주(鄭夢周)·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정주학(程朱學)을 일으키고 척불양유(斥佛揚儒)의 선봉이 되었다.
친명파(親明派)로서 1375년(우왕1) 삼사좌윤(三司左尹)으로 있을 때, 이숭인·정도전(鄭 道傳)·권근(權近)등과 북원(北元)에서 온 사신의 영접을 반대하다가 죽주(竹州)에 유배되었다.
1381년(우왕7) 다시 풀려나와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가 되고, 이듬해 대사성, 이어 판 전교시사(判典校侍事)가 되었다. 고려와 명나라와의 국교(國交)가 난관에 부딪치자 1382년 행례사(行禮使)로 명나라에 가던 중, 요동(遼東)에서 붙잡혀 남경(南京)으로 압송된 뒤 대리(大理)로 유배되어 가다가 노주 영녕현(濾州永寧縣)에서 병사했다.
유고 시문집인 <척약재 학음집(小易若齋 學吟集)>이 전하고 있으며, 공의 시문집을 연구한 논문 서적인 <척약재 김구용 문학세계>(성범중저. 울산대 출판부. 1997)이 나왔다. 그 외에 <선수집(選粹集)>, <주관육익(周官六翼)>을 집필한 바도 있다.
경북 예천의 <물계서원>(조선 현종 신축년)에 충렬공(휘 방경)과 함께 배향되었으나 지금은 훼철됨. 단묘가 경기도 포천군 창수면 오가리 金水壇에 있다. 시제는 음력 10월 1일.
■ 연보
고려말의 문신. 본관은 안동. 초명은 제민(齊閔), 자는 경지(敬之). 호는 척약재(小易,若齋), 육우당(六友堂). 고려의 명장 김방경(金方慶)의 현손으로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의 아들이다.
1338년(충숙왕복위7) 태어나서 외가에서 자라며 외조부 민사평(閔思平)에게 수학하였다.
16세 1353년(공민왕2) 송천봉(宋天奉)이 감시한 진사시에 합격하고, 친시에 왕명으로 모란시(牡丹詩)를 지어 장원하여 왕으로부터 산원직(散員職)을 받았다.
18세 1355년 과거에 합격하였다. 덕령부 주부(德寧府注簿)가 되고,
24세 1361년 홍건적의 침입으로 공민왕이 복주(안동)로 피난하였다. 26세 1363년 정언을 거쳐 헌납이 되었다.
30세 1367년(공민왕16) 성균관(成均館)이 중영(重營)되자 정몽주(鄭夢周)·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후학의 훈화에 노력하여 성리학을 일으키는 선봉이 되었다. 31세 1368년 전교부령이 되었다. 동생 김제안이 신돈을 죽이려고 모의하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33세 1370년 외조부 閔思平의 문집 <급암집>을 편찬 간행하였는데, 보물 제708호로 지정되어 있다. 34세 1371년 민부의랑 겸성균직강이 되고,
35세 1372년 총부의랑이 되고, 성절사의 서장관이 되어 중국에 갔다. 전교령에 제수되고, 이듬해 7월 귀국하였다.
38세 1375년(우왕1) 삼사좌윤(三司左尹)이 되었다. 이인임(李仁任) 등 권신들이 북원(北元)이 보낸 사절을 맞으려 하자 이숭인·정도전(鄭道傳)·권근(權近) 등 당시 친명파와 함께 도당(都堂)에 상서하여 이를 반대하다가 죽주(竹州)에 유배되었다. 뒤에 모향(母鄕)인 여흥(驪興)으로 옮겨 7년간 한거하였는데 이때 여강어우(驪江魚友)라 자호하고 강호에 노닐면서 거처하는 곳을 육우당(六友堂)이라 이름하고 ---六友堂은 천령현, 현재의 금사면에 있었는데, 외가가 있던 곳이다--- 시와 술로 날을 보냈다. 침류정(沈流亭)---川寧 金沙里에 있었다--- 승산(勝山)---주 남쪽 5리에 있다---, 보은사(報恩寺)---여강 동쪽 기슭 봉미산에 있는데 옛 신륵사이다---, 여강(驪江) 등지를 다니면서 읊은 시문이 그의 문집 <척약재학음집>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남아 있다.
44세 1381년 다시 풀려나와 나라에서 그 풍의를 숭상하여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제수하였다. 왕의 절제없는 거둥을 경계하는 글을 올려 직간하였고, 45세 1382년 성균대사성이 되었고, 이어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가 되었다.
47세 1384년(우왕10) 고려와 명나라와의 국교(國交)가 난관에 부딪치자 행례사(行禮使)가 되어 명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가던 중 요동(遼東)에서 私交를 했다는 죄목으로 명나라 서울 남경(南京)으로 압송되었고, 명나라 태조의 명으로 운남 대리위(大理衛)로 유배가던 중 사천 노주 영녕현(瀘州永寧縣) 객사에서 병사하였다.
그는 사장(詞章)을 잘하여 특히 시로 유명하였다. 이색(李穡)은 그의 시를 가리켜 “붓을 대면 구름이나 연기처럼 뭉게뭉게 시가 피어나온다.”고 하였다. 《동문선》에 그의 시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특히 무창시(武昌詩)가 유명하다. 허균(許筠)은 이 시를 들어 청섬(淸贍)하다 하였고, 신위(申緯)도 〈동인논시절구>(東人論詩絶句)에서 그의 시를 들어 감탄하고 있다.
전장(典章)을 널리 구해 모아서 한 권의 책을 만들어 『주관육익(周官六翼)』이라고 이름지었고, 또 고금의 시문(時文) 몇 권을 모아 『선수집(選粹集)』이라고 했다. 유고 문집 『척약재 학음집(小易若齋 學吟集)』이 전하고 있다.
1400년 아들 明理가 문집을 간행하였는데 이 초간본은 보물 제100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884년(고종21) 17세손 相元이 문집을 개간하고, 1964년 영천에서 문집이 개간되었으며, 1997년 그의 시문집을 연구한 논문 서적인 <척약재 김구용의 문학세계>(성범중, 울산대 출판)이 출간되었다.
1600년대 중반 경북 예천의 <물계서원>(勿溪書院)에 고조부 김방경과 함께 배향되었으나 현재는 훼철되었고, 현재 전북 남원의 <용장서원>에 배향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