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1) 東征過次福州登映湖樓吟詩 (일본을 정벌하러 가는 도중 안동의 영호루에 올라 읊은 시)
가) 作者 : 金方慶(1212--1300)
음보(蔭補)로 산원(散員)에 올라 대장군, 형부상서(大將軍·刑部尙書)가 됐으며, 삼별초란(三別抄亂)을 토벌(討伐)한 후 시중(侍中)에 올랐다. 일본원정(日本征伐-1274)에 참여했고, 후에 고려 추충정난정원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첨의중찬 세자사(高麗 推忠靖難定遠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 僉議中贊 世子師)에 오름. 상라군 개국공(上洛郡 開國公)에 추봉(追封)됐고 시호(諡號)는 충열(忠烈)임. 나) 年代 : 1274(忠烈 元年) 10월. 고려도독사(高麗都督使)로 아들 흔과 사위 조변(趙抟)과 함께 원군(元軍)과 연합하여 일본 원정시(日本 遠征時) 고향인 안동(安東-福州)을 지나며 영호루(映湖樓)에 올라 지은 시. 다) 出典 : <東文選>, <韓國歷代名詩全集> 라) 註解 : 東征--1274년 일본 정벌시. 福州--慶北 安東의 舊地名.
(2)過次福州登映湖樓吟詩(안동을 지나면서 영호루에 올라 읊은 시)
가) 作者 : 金 小斤(1251 高宗38--1309. 忠宣1)
충열공(忠烈公)의 차자(次子). 음보(蔭補)로 올라 장군(將軍)에 이름. 부친(父親)과 함께 일본원정(日本遠征)에 참여. 상장군(上將軍), 만호(萬戶), 삼중대광 첨의사사(三重大匡都 僉議司事)에 올랐고. 상락군(上洛君)에 봉(奉)해짐. 나) 年代 : 1281년 제2차 일본 정벌시 안동을 지나며 지은 것으로 추정. 다) 出典 : <東文選>, <韓國歷代名詩全集> 라) 註解 : 次詩 -- 父親의 詩를 次韻하여 쓴 시. 堪 --(견딜,하늘)감. 咤 --(꾸짖을 )타. 萬戶 -고려 관직의 하나.
(3) 扈從白馬山應御製 (임금을 모시고 백마산에 올라 임금의 시에 응하여 지은 시)
가) 作者 : 金永暾(1285. 忠烈11---1348. 忠穆4) 문과(文科). 삼중대광 첨의사사(三重大匡僉議司事)를 거쳐 정치도감(整治都監)에 오름.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 짐. 좌정승(左政丞)에 오름. 시호(諡號)는 문숙(文肅)임. 나) 年代 : 1347(高麗 忠穆 3) 좌정승(左政丞) 때. 다) 註解 : 扈從(호종)--高麗 忠穆王을 扈從함. 翠拺(취보)--아름다운 새깃으로 꾸민 임금의 깃발.
(4) 次槐山板上韻(괴산 누각의 시에 차운하여)
가) 作者 : 金忠甲(1515. 중종 10.--1575. 선조 8) 문과(文科). 북평사(北評事), 을사당인(乙巳黨人)으로 몰려 20年間 서청주에 유배(流配)됨. 안악군수(安岳郡守) 역임. 증 좌찬성(贈 左贊成). 상락군(上洛君)에 봉(奉)해짐. 호 구암(號 龜巖). 나) 年代 : 1568(선조1). 爲忠淸救荒敬差時作(충청지역 전염병을 관리하는 특별관리로 파견됐을 때의 작) 다) 出典 : <龜巖文集> 라) 註解 : 羈--(나그네)기. 梓--(가래나무)재 惹--(이끌)야 纏--(묶을)전
(5) 題詩刻石 (시를 돌에 새긴 것에 제하여)
가) 作者 : 金悌甲(1525. 중종 20. -- 1592. 선조 25) 문과(文科). 부승지(副丞旨). 대사간(大司諫). 충청,황해감사(忠淸·黃海 監司) 역임. 임진왜란(壬辰倭亂) 시 원주목사(原州牧使)로서 수성(守城)하다가 순절함. 증(贈) 영의정(領議政). 시호(諡號)는 문숙(文肅). 나) 年代 : 1588년(선조 21) 충청도 관찰사(忠淸道 觀察使) 재직시. 다) 出典 : <毅齊公文集> 라) 註解 : 偃--(누울, 쉴)언. 嘯--(휘파람)소
(6) 別恨 (이별의 한)
가) 作者 : 金應河(1580. 선조13 --1619. 광해11)
무과(武科). 1618년 明나라 건주위의 반란 사건이 일자 明은 조선군 지원 요청하게 됨. 이때 公은 도원수 강홍립(都元師 姜弘立)의 부하로 종군(從軍)하게 됨. 명장수 유정((明將帥 劉綎)의 군사와 연합하여 적병 수십명을 단신으로 죽이고 전사함. 증 영의정(贈 領議政). 시호(諡號)는 충무(忠武). 나) 年代 : 1610 -- 1619 추정. 다) 出典 :<韓國歷代名詩全集>
(7) 陽德公 碑銘(양덕공 비명)
가) 作者 : 金相馨(龜巖公 諱 忠甲 13世孫. 道山書院長.) 나) 年代 : 1990년 다) 註解 : 慤--(삼갈)각 * 陽德公<1569(선조2)--1645(인조33)>--字는 여습(汝習). 휘(諱)는 시열(時說). 광해 12년 무과 급제. 양덕현감(陽德縣監)을 지냄. 증 병조참판(贈 兵曺參判). 충열공(忠烈公) 13世孫.
(8) 紫海筆談中(<자해필담>중에서)
가) 作者 : 金時讓(1581. 선조14--1643. 인조21)
문과(文科). 전라도사(全羅都事)로 있을 때 시제사건(試題事件)으로 유배(流配)감. 경상감사(慶尙監司), 병조,호조판서(兵曺,戶曹判書), 도원수(都元帥), 사도체찰사(四道體察使), 청백리 녹선(淸白吏 錄選),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시호 충익(諡號 忠翼).
나) 年代 : 1612(광해 4) 10월. 전라도사(全羅都事)로 있을 때 향시(鄕試)를 관장(管掌)하게 되었는데 시제(試題)에 왕(王)의 실정(失政)을 비난한 것('신하가 임금 보기를 원수처럼 여기다'라는 시제)이 문제(問題)가 되어 종성(鍾城)으로 유배(流配)를 갔다가 유배지(流配地)가 영남 매죽(嶺南 梅竹-현 경남 영덕의 영해)으로 옮겨지는 꿈을 꾸고 난 뒤 지은 시.
다) 註解 : 紫海筆談 -- 鐘城 流配時 지은 野史, 奇問, 人物書. 孤臣--임금의 신임을 받지 못하는 신하. 渥--(젖을, 후할, 은혜)악. 跋--(걸음)발. 涉--(건널)섭. 觸犯 -- (받을)촉,(범할) 범, 두려워 피하는 일을 저지름. 佇 -- (우두커니 설, 잠깐 머물)저. 孚 -- (믿을 )부
4) 출전 : <紫海筆談>(金時讓著)
(9) 亂後過新安 (난후 신안을 지나며)
가) 作者 : 金 緻<1577(선조10)--1625(인조3)> 문과(文科). 경상감사(慶尙監司). 증 이조참판(贈 吏曺參判). 안흥군(安興君). 호는 남봉(南峯). 충무공(忠武公) 시민(時敏)의 子 나) 年代 : 1621(광해13)년 후. 다) 出典 : <南峯文集> <韓國歷代名詩全集> 라) 註解 : 亂--後金이 渡江하여 明의 瀋陽, 遼陽을 뺏은 事件. 蘇小--中國 齊나라때 名妓의 이름.
(10) 監司公語錄 (감사공어록)
가) 作者 : 金 素<1602(선조35)--1666(현종7)> 문과(文科). 승정원 승지(丞政院 丞旨). 황해,충청감사(黃海·忠淸監司), 증 이조참판(贈 吏曺參判). 나) 年代 : 1660(현종 1)년경 (추정) 다) 出典 : <上洛家乘>
(11)送再從叔素之海西節度營(재종숙인 소를 황해감사 감영으로 보내며)
가) 作者 : 金得臣<1604(선조37)--1684(숙조10)> 호(號)는 백곡(栢谷). 문과(文科). 지제교(知製敎),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사화(士禍)로 괴산(槐山)에 퇴둔(退遯). 안풍군(安豊君)에 봉(奉)해짐. 나) 年代 : 1568(효종9) 다) 出典 : <栢谷文集> 라) 註解 : 素--文科. 監司公. 詩作 當時 黃海監司. 小阮(소원)--작은조카, 綻--(터질)탄, 裁--(헤아릴)재
(12) 君臣酬酌連句(군신이 서로 주고 받으며 지은 연시)
가) 作者 : 승지(丞旨) 김구만(金龜萬), 숙종대왕(肅宗大王), 영의정 권대운(領議政 權大運),기사관 이주천(記事官 李柱天) 유세중(兪世重), 가주서(假柱書 李德運) 나) 年代 : 1694년(숙종20)년 1월. 영의정 권대운(權大運)이 휴가를 마치고 돌아오매 숙종이 주연을 베풀고 詩作을 함. 다) 出典 : 朝鮮王朝實錄. 숙종조 20년 1월. 라) 註解 : 風雲 -- 名君과 賢臣. 庚歌(경가) -- 임금이 부르는 노래에 신하가 이어 부름. 商家-- 商나라. 麴蘖 (국얼) -- 누룩. 宣觴(선상) -- 술상을 베품. 都兪 -- 중국의 인명. 規磠(규폄) -- 잘못을 바로 잡음. 渥 -- (젖을,후할)악. 惹 -- (이끌)야. 魚水 -- 친밀한 임금과 신하사이. 鴻 -- (클)홍. 稠 -- (빽빽할)조. 臻 -- (미칠,이를)진 . 堯(요) -- 중국 고대 聖天子 堯임금.
(13) 副護軍 碑銘(부호군 비명)
1) 作者 : 김상형(金相馨-前 道山書院長, 龜巖公 諱 忠甲 13世孫) 2) 年代 : 1988년 3) 註解 : 副護軍--諱 南挺, 進士, 嘉善大夫 折衝將軍 壽龍讓衛副護軍, 夷夏--우리나라와 중국 五甲 -- 忠甲, 孝甲, 友甲, 悌甲, 仁甲 曾祖--陽德公 諱 時說. 燕賓--청나라의 심양에 볼모로 있음. 皇祖--監司公 諱 素. 司馬--進士試驗
<세덕사 원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