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온공파(구용)

본문

p02.png 11. 각종 주요 행사 및 답사 소개

      5) 금수단과 가양리 선영 벌초 (2004. 9. 1. 윤식(문) 제공)

  지난 일요일(2004년 8월 26일) 문온공파 금수단 및 가양리 선영 벌초가 있었습니다.

  문온공파 맏집인 직제학공계 별제공종회 일가분들께서 노고가 크셨습니다.

  매년 벌초와 함께 별제공종회 정기총회가 열립니다.

  막내집 사인공계 할아버지 묘소는 두 분상이라 별제공종회 일가분들께 송구하기만 합니다.

  이 날 군사공파 발용 대부님께서도 참여해 주셨습니다. 감사 말씀 올립니다.

 

  벌초를 마치고 시원한 강바람 솔솔 부는 금수정에 누워 까빡 졸았습니다.

  해가 떨어지기 전에 금부도사공(휘 대섭) 할아버지 묘소에 참배하였습니다.

  두 번째 가 본 곳인데 또 가 보고 싶은 곳입니다.

  묘하에 살고 계시는 유만 대부님 댁에서 구경하기 힘든 23도짜리 참이슬과

  한여름날 장작불로 만들어 주신 수제비 푸짐하게 먹고 왔습니다.

  -"쉼터라고 생각하고 근처에 들르실 일 있으시면 언제든지 오세요.

  다른 건 몰라도 수제비와 시원한 음료는 늘 있습니다."

  라고 하시던 대모님 정겨운 말씀에 정이 소록소록 솟습니다.

 

  ankim04-7z222.jpg

  사인공계 영기 종친

 

  ankim04-7z223.jpg

 ankim04-7z224.jpg 

  문온공파종회 부회장 겸 총무이사 영환 종친

 

  ankim04-7z225.jpg

  영환 종친과 군사공파 발용 종친

 

  ankim04-7z226.jpg

 

ankim04-7z227.jpg

ankim04-7z228.jpg

ankim04-7z229.jpg

  직제학공계 음성공종회 윤만 종친

 

ankim04-7z230.jpg

ankim04-7z231.jpg

ankim04-7z232.jpg

  사인공계 영성 종친 아들

 

ankim04-7z233.jpg

ankim04-7z234.jpg

  사인공계 영성 종친

 

ankim04-7z235.jpg

  사인공(휘 계우) 할아버지 설단과 장사랑공(휘 자숙) 할아버지 묘소

 

ankim04-7z236.jpg

  금수단의 안동김씨세천비와 금수정 인근을 벌초 중인 별제공종회 일가분들

 

ankim04-7z237.jpg

  별제공종회 정기총회

 

ankim04-7z238.jpg

ankim04-7z239.jpg

  뒤쪽 비석이 봉래 양사언 선생 시비

 

ankim04-7z240.jpg

  별제공종회 도만 회장님과 광열 총무이사

 

ankim04-7z241.jpg

ankim04-7z242.jpg

  크고 작은 행사 때마다 음식 준비하시느라 애쓰시는 안동김씨 며느님들

 

ankim04-7z243.jpg

  척약재(휘 구용) 할아버지 시비

 

ankim04-7z244.jpg

ankim04-7z245.jpg

  금수정 절벽 아래 큰 바위에 새겨진 <무릉>

 

  ankim04-7z246.jpg

  영평 8경 중 제1경인 금수정 앞 영평천 수중 바위에 새겨진 암각문 <경도>

  - 이 암각문은 <부도>라는 설도 있습니다.

 

  ankim04-7z247.jpg

  한 말 술이 들어간다는 <준암>

  -옛날 말이 무척 컸나 봅니다. 한 말이 아니라 서 말은 들어갈 정도로 웅덩이가 크고 깊습니다.

 

  ankim04-7z248.jpg

  가까이에서 본 <준암>

 

  ankim04-7z249.jpg

  증금옹시

  - 봉래 선생이 초서체로 쓴 글씨가 참 멋집니다.

  - 영환 종친 말씀으로는 '금옹'이란 분이 누구 호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금수정과 관련이 깊은 분으로 이분을 밝혀내면 금수정과 관련된 여러 가지가 새로이 발굴되는 셈입니다.

    우리 문중 자료 보실 때, 눈여겨 봐 주십사 부탁드립니다.

 

  ankim04-7z250.jpg

영환 대부님 말씀으로는 <금옹(琴翁)>이 어느 분이신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해서 무척 궁금해하던 차였습니다.

그런데 포천군지(522쪽)에는 <금옹(琴翁) 김윤복(金胤福)>이라 적혀 있습니다.

오늘 다른 자료를 찾다가 우연히 발견한 내용이라 상세한 것은 아직 모르겠습니다.

<호보(號譜)>에도 <금옹>이란 분은 기록돼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포천군지를 쓴 분은 이 내용을 어디서 찾았는지 궁금하기만 합니다.

 

포천군지에서 말하는 <금옹 김윤복>은 문온공파 선조님으로 청도군수공(휘 예생) 할아버지의 셋째 아드님이십니다.

청도군수공은 일전에 윤만 대부님께서 소개한 것처럼 예안현감 시절 충렬공 할아버지 비석을 개수하신 그 할아버지이십니다.

 

◈문온공(휘 구용) → 2子 부사공(휘 명리)  → 1子 직제학공(휘 맹헌) → 2子 참의공(휘 자양) →  1子 청도군수공(휘 예생) → 1子 윤종, 2子 윤선, 3子 윤복

 

다음은 포천군지에 수록된 관련 내용입니다.

<자료 6> 연화암상 암각문(蓮花巖上 巖刻文) - 증금옹(贈琴翁) 시

<자료 6>의 글씨 하나의 크기는 13.5cm×19cm이다. 초서체로 쓰여 있다. 금수정의 주인인 금옹(琴翁) 김윤복(金胤福)에게 준 시작품 원본을 그대로 각자했을 개연성이 있다. 이 자료를 번역해 보이면 다음과 같다.

        綠綺琴伯牙心       녹기금 백아의 마음

        種子是知音          종자기가 바로 지음을 하는구려

        一鼓復一音          한 번 타고 다시 한 번 읊노라니

        冷冷虛籟起遙岑    허뢰는 선들선들 먼 봉우리서 일어나고

        江月연연江水深     강가의 달은 곱디곱고 강물은 깊고깊네                *연 : 女+員

 

이 자료는 예로부터 여러 문인들 사이에 널리 알려진 자료이다. 그만큼 문헌자료도 풍부하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은 <성호사설>에 “금수정의 돌에 새긴 시는 다음과 같다.……나는 이곳에서 노닌 지가 이미 수십여 년이 지났는데, 몽상이 오히려 괴롭다.(金水亭石刻詩云, 余昔遊此地 已閤數十餘年 而夢想猶勞)”고 자신의 심정을 토로하였다.

이처럼 옛 문인들에게는 널리 알려졌으나, 연화암 윗부분에 각자하였기 때문에 멀리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물에 휩쓸려 심하게 마멸되었기 때문에 자세히 보지 않으면 접할 수 없는 자료이다

  

ankim04-7z251.jpg

    금수정 앞 영평천의 바위들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