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평의공파(구정)

본문

p02.png 21. <만취당 중수기(重修記)>

          

ankim04-9z97.jpg   ankim04-9z98.jpg

<만취당>                            <만취당 현판>(한석봉 서)

 

 ankim04-9z99.jpg

 <만취당 내 류성룡 모친 김씨의 가마틀>

 

소주북계(韶州北界)에 영가(永嘉)와 상접(相接)한 사진고리(沙眞故里)는 퇴도고제(退陶高弟)요 관선증시(觀善贈詩)로 선생(先生)의 심허(心許)를 받은 선조(先祖) 만취당(晩翠堂) 선생(先生)의 선세원향(先世原鄕)으로 동서수리(東西數里)가 연통(連通)하고 남북(南北) 또한 광활(廣闊)하며 전토(田土)가 기름져서 삼남가거(三南可居)의 낙지(樂地)로 향당(鄕黨)에 칭문(稱聞)된다. 여기 촌간(村間)에 용립(聳立)한 만취당(晩翠堂)은 선조(先祖)께서 낙선호의(樂善好義)하고 서수도덕(棲守道德)의 뜻을 기르던 곳으로 43세 되시던 1582년 선조(宣祖) 임오춘(壬午春)에 시역(始役)하고 그 해 6월에 자상(慈喪)으로 중단(中斷)하였다가 상기(喪期)가 끝난 갑신년(甲申年) 10월에 완역(完役)하여 만취(晩翠)라 자편(自扁)함은 만년송(萬年松)의 무궁(無窮)과 증조고(曾祖考) 송은선생(松隱先生)의 송정시(松亭詩)를 흠숭(欽崇)한 연유(緣由)일 것이다. 대개(大蓋) 사물(事物)의 흥괴(興壞)는 세간(世間)의 상사(常事)인데 임란(壬亂)을 비롯한 몇번의 전란(戰亂)과 거듭된 상벽(桑碧)의 풍상부식(風霜腐蝕)에도 원형(原形)이 상존(尙存)함은 시덕(施德)하고 감덕(感德)을 선행(善行)하고 요공(邀功)을 바라지 않는 선조(先祖)의 음혜여운(陰惠餘運)이요 그간(間)의 수보(修補)는 확연(確然)하지 못하다.

 

상고(詳考)하건데 당성지후(堂成之後) 127년이 지난 1711년 숙종(肅宗) 신묘(辛卯)에 동남방(東南方)의 수십연(數十椽)을 갈았으며 16년 후(後)인 영조(英祖) 정미(丁未)에 동북편(東北便)의 침식지실(寢息之室) 삼가이간(三架二間)을 증축(增築)하여 복재(復齋)라 게판(揭板)하고 월(越)37년인 영조(英祖) 갑오(甲午)에 개동이와(改棟易瓦)와 동시(同時) 서편(西便)에 작은 방(房)을 꾸며 생활(生活)의 취편(取便)에 공(貢)하였다.

 

1789년 영조(英祖) 기유(己酉)에는 서남(西南) 추녀의 틈난 자리에 철정(鐵釘)으로 조이고 서주(西柱)가 썩고 좀먹어 지탱(支灐)할 수 없으므로 개체(改替)할 때 문력(門力)을 기울여 분공동사(分功董事)로 도리와 편액(扁額)을 새롭게 하였으며 종택(宗宅 내실(內室)까지 병수(疊修)하는 역사(役事)가 있었고 그 후(後) 180여년간의 치수(治修)는 징(徵)할 수 없다.

 

1971년 신해(辛亥) 모춘(暮春)에 김덕엽지사(金德燁知事)의 심방(尋訪)으로 60만원의 보조(補助)를 받아 도색번와(塗色暢瓦)로 새롭게 단장(丹粧)하였으며 1980년에는 문재(門財)로 원장(垣墻)을 설치(設置)하고 1983년에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 169호로 지정(指定)된 후(後)에 본군(本郡) 김희윤(金熙潤) 군수(郡守)를 비롯한 약간명(若干名)을 초청(招請)하고 자축(自祝)하였다.

 

1986년 병인(丙寅)에 2,500만원의 예산(豫算)으로 문화재(文化財) 보수공사(補修工事)를 시공(施工)함에 동남수연(東南數椽)을 갈아넣고 개와단청(改瓦丹靑)한 후에 서남편(西南便) 기둥 사이의 공허(空虛)에 구제 문창(舊制 門窓)을 달았으며 출입계단(出入階段)에 치석(治石)을 설치(設置)하여 현재(現在)에 이른다.

 

절문(竊聞)컨대 당(堂)의 창건(創建)을 전후(前後)하여 이온계(李溫溪), 류서애(柳西厓), 장여헌(張旅軒) 선생(先生)을 비롯한 제선덕(諸先德)이 등임(登臨)이 아시면계(衿詩勉戒)하고 감개배회(感慨徘徊) 하셨으니 만생(晩生) 묘예(苗裔)의 억석지회(憶昔之懷)가 무궁(無窮)하다. 이제 성상무천(星霜貿遷)하고 풍이세변(風異世變)한 오늘날 문부로(門父老)께서 추선상후(追先尙後)의 미적(美蹟)을 내예(來裔)에 전(傳)하고자 기문(記文)을 촉(囑)하기에 선조(先祖) 천사공(川沙公)이 찬(撰)한 기문(記文)을 상심(詳審)하여 위와 같이 기(記)를 한다.

 

1986년  병인(丙寅)  양부절(陽復節)

 

 <만취당중수기(重修記)>

 

아름다운 강산(江山)과 누대(樓臺)는 승평(昇平)한 세월(歲月)에 청한(淸閑)으로 구지(求志)하는 선비들이 정양(靜養)하던 곳이다. 시사(時事)의 폐흥(廢興)과 문운성쇠(文運盛衰)에 따라 음풍롱월(吟風弄月)의 한가로운 공청으로 이바지하였으나 무상(無常)한 천변(天變)과 현회(顯晦)가 거듭됨은 인세(人世)의 상사(常事)이다. 대령(大嶺)의 남(南)쪽에 문헌(文獻)의 마을로 알려진 사진리(沙眞里)의 만취당(晩翠堂)은 거금(距今) 415년(年) 전(前)인 1582년(年) 선조 임오(宣祖 壬午)에 만취당선생(晩翠堂先生)이 시역창건(始役創建)하고 100여년(餘年)동안 수보(修補)없이 지내다고 숙종(肅宗) 신묘년(辛卯年)에 처음으로 치수(治修)하고 1986년(年) 병인(丙寅)의 문화재(文化財) 보수공사까지 무릇 일곱차례나 중수(重修)하였다. 이 당(堂)은 4세기(世紀)에 15년(年)을 더한 유구(悠久)한 성상(星霜)의 비바람에 씻겼지만 창연(蒼然)한 고색(古色)으로 퇴락(頹落)하였을 뿐이요, 그 굳은 주초(柱礎)와 늙은 기둥은 오히려 당시의 손때를 간직한 채 무양(無恙)하다. 이는 궁달환희(窮達歡喜)에 사색불변하고 보시광제(普施廣濟)한 선조(先祖)의 음덕(陰德)과 창업(創業)보다 어려운 열선조(列先祖)의 수성(守成)이 오늘을 있게 하였으니 실(實)로 만년송(萬年松)과 더불어 오가(吾家)의 장물(長物)이다. 1996년(年) 병자(丙子) 초여름의 어느날 문화재(文化財) 보수공사비 7,000만원과 공사의 개요(槪要) 및 감역(監役) 통지서가 군재(郡宰)로 부터 응진(應振) 성수씨(聲秀氏)에게 전해졌다. 곧 문회(門會)를 열고 설계상(設計上)에 동파와(凍破瓦) 위주의 반수개체(半數改替)를 전면개체(全面改替)코자 하였으나 문력부족(門力不足)으로 뜻과 같지 못하였다. 이에 감역(監役)의 임사(任司) 성수씨(聲秀氏)가 일비(日非)한 세사(世事)에 불원간(不遠間)의 개와(改瓦)를 예방(豫防)하고자 개연(慨然)한 마음으로 부족분(不足分) 600만원을 독당(獨當)하고 전수개와(全數改瓦)로 공정(工程)을 추진하였다. 금회시공(今回施工)은 기와의 전면개체(全面改替)와 앙토의 보수도색, 동발의 부식을 막고자 동서(東西)에 배수로를 설치하였으며 뒷편의 공간(空間)을 한자 가량 낮추어서 저습(低濕)을 예방했다. 서북(西北)편 출입문을 안으로 3척(尺)을 옮겨 세워 손괴(損壞)를 피하였고 마루의 오르내림에 편리한 디딤돌과 동북행단(東北杏壇)에 자연암(自然巖)의 설치로 조형(造形)을 이루었다.

 

공사가 끝날 무렵 말끔이 정리된 대청에 올라서서 계지술선(繼志述先)의 미사(美事)를 회상(回想)하고 사업비(事業費)를 지원(支援)한 당국과 와대부족분(瓦代不足分)을 전담(專擔)한 예손(裔孫)의 단성(丹誠)에 머리를 숙이고 삼가 시말(始末)을 밝혀 기문(記文)을 대신한다.

 

1996年  병자(丙子)  중추절(仲秋節)

 

 의성 만취당 (義城 晩翠堂) (2007. 3. 13. 정중(도) 제공)

 

 ankim04-9z100.gif

 

지정번호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169호

지정일자 : 1983. 06. 20.

소 유 자 : 안동김씨만취당파문중

소 재 지 : 경북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207 ()

 

이 건물은 조선시대 퇴계 이황의 제자이며 부호군을 지낸 김사원(金士元) 선생이 선조(宣祖) 15년(1582)부터 3년간에 걸쳐 완성하였으며, 자신의 호를 따서 만취당이라 하였다. 그 후 숙종(肅宗) 37년 (1711) 건물 동남쪽의 서까래 수십 개를 가는 등 부분적인 보수가 있었고, 영조(英祖)3년(1727)에는 동쪽 방(복제-復齊)을 동왕 40년(1764)에는 서쪽 방(西小翼室)을 증축함으로써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복재와 서소익실이 건물의 후측면 동․서에 각각 돌출하여 전체적인 형태는 'T' 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우물마루가 깔린 누마루의 전면 및 양측 칸과 양 온돌방의 앞쪽에는 폭이 좁은 쪽마루가 돌려져 있으며, 기둥은 전부 원주를 사용하였고 주두의 윗몸은 초익공과 결구되었으며 그 위에 대들보의 보머리가 놓여있다. 누마루의 전면 모서리 기둥위에는 주두위에 첨차를 십자형으로 짜 얹어서 소로를 놓아 장혀를 받고 있으며 전면과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칸의 창방위에는 초각한 화반을 놓아 장혀와 처마도리를 받고 있는데 여러 곳에서 화반형상을 먹으로 그려놓은 판재를 끼워 놓은 것이 보인다. 마루의 상부구조는 5량가로 대들보 위에 초각한 화반을 놓아 종보를 얹었으며 화반의 몸속에 직교하게 첨자를 짜 넣어 소로를 놓아 장혀와 중도리를 받았다.

 

종보 위에는 기묘한 모양으로 초각한 대공을 놓고 그 사이에 첨차를 놓아서 장혀 및 종도리를 받고 있다.

 

부분적인 수리 및 증축이 있었으나 그 건축연대가 임진왜란 이전 건립 된 것으로 그리 흔치않은 건물이다. 조선조 특유의 11간 대청 건물로 400여년전, 신라때의 사찰 문루를 옮겨서 지었다하니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더불어 국내에서 오래된 사가의 목조건물이다. 건축이후 와해(瓦海)라 일컬어지던 사촌마을의 많은 기와집들이 전란에 훼손될 때에도 이 건물은 훼손되지 않았으며, 현판의 글씨는 김사원과 동문 명필가 석봉(石峯) 한호(韓濩)가 썼다.

 

만취당과 인근 사촌리의 가로숲을 배경으로 김문수가 쓴 단편소설 '만취당기'는 20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하게 되었으며 91. 6. 16. TV문예극장에서도 상영되었는 바 관련 소설은 전자책으로 대출받을 수 있으며, 테이프를 구입하여 볼 수 있다.

 

    <만취당 중수 개요>   (2003. 4. 2. 정중(도) 제공)

1. 명  칭 : 의성만취당(義城晩翠堂)

2. 지정별 : 경북(慶北)유형문화재 제169호 (1983. 6. 20 지정)

3. 소재지 : 경북 의성군 점곡면 사촌동 207

4. 예  산 : 25,000천원 (국비 12,500천원, 지방비 12,500천원)

5. 연  혁

 

본 건물은 조선 선조 15년(1582)부터 3년간에 걸쳐 축조하여 완성되었으며 숙종(肅宗) 37년(1711) 부분적인 보수를 하였고 영조(英祖) 3년(1727)에 복재(復齋)를 영조(英祖) 40년(1764)에 서소익실(西小翼室)을 증축(增築)하여 현재의 모양이 되었다고 한다.

조선 선조(宣祖)때 부호군(副護軍)을 지냈으며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시호는 문충(文忠), 1542∼1607)의 외종질(外從姪)인 김사원(金士元)(성종∼선조)의 호(號)를 따서 만취당(晩翠堂)이라 하였다. 현판글씨는 한호(韓濩)(호(號) : 석봉(石峯), 1543∼1605)의 친필(親筆)이다.

 

6. 주변현황

의성군 단촌면(丹村面)에서 지방도를 따라 약 6㎞ 떨어진 점곡면(點谷面) 소재지(所在地) 중앙에 위치하여, 주변 민가들과 토석담을 경계로 인접하여 서 있다. 부속건물로는 관리사(管理舍)가 있으며 만취당(晩翠堂)의 복재(復齋)는 현재 종중제실(宗中祭室)(安東金氏 晩翠堂 派)로 사용되고 있다.

 

7. 보수대상건물현황

晩翠堂의 평면형태는 정면 4간, 측면 2간의 누각(樓閣) 건물에 복재(復齋)와 서소익실(西小翼室)이 누각 우측면 측간 동서편에 붙어 있어 전체적으로 T자형을 이루고 있다. 루(樓)는 5량(梁) 가구(架構)에 팔작집으로 우물마루 바닥 연등천정이며, 기둥머리에는 초익공(初翼工)으로 짜여져 있다. 양익사(兩翼舍)는 3량(梁) 가구(架構)에 맞배집으로 온돌방과 고미반자로 되어 있다. 각부분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기단 및 계단 : 콘크리트로 그 규격은 아래와 같다.

-익사창호(翼舍窓戶) 전면 기단(전장(全長): 8.8m, 높이: 36㎝)

-누각(樓閣) 우측면 기단(전장: 15.21m, 높이: 13㎝)

-누각(樓閣) 전면 계단(階壇)(높이: 1.15m, 폭: 1.86m, 6단)

-누각(樓閣) 우측면 계단(階壇)(높이: 65㎝, 폭: 1.36m, 3단)

 

초석(礎石) 및 기둥 : 초석은 직경 60∼120㎝ 크기의 자연석 덤벙주초로 기단면에서 약 7∼20㎝ 돌출되어 있다. 누(樓)의 기둥은 상부직경 30㎝내외, 하부직경 36㎝내외, 길이 3.6m이고, 양익사(兩翼舍)의 기둥은 상부직경 23㎝, 하부직경 27㎝, 길이 2.3m이며, 양쪽 다 원주(圓柱)로 강한 민흘림을 가지고 있으며 상태는 양호하다

대량(大梁), 종량(宗梁), 도리(道里) : 대량(大梁)의 규격은 가로 56㎝, 세로 46㎝, 길이 6.2㎝로 모서리를 굴린 장방형(長方形)이며 종량은 가로 33㎝, 세로 33㎝, 길이 2.8㎝의 정방형(正方形) 보이며, 도리는 직경 24㎝로 이음은 누(樓)는 나비장으로, 양익사(兩翼舍)는 두겁 주먹장으로 이음되어 있다. 연목, 부연(浮緣) : 연목(椽木)은 모두 239개로 장연(長椽)(굵기: 13㎝, 길이: 3.06m) 128개, 단연(短椽)(굵기: 12㎝, 길이: 2.02m) 73개, 선자연(扇子緣)(굵기: 13.5㎝, 길이 4.29m) 38개가 있으며 이중 장연(長椽) 63, 단연(短椽) 21, 선자연(扇子緣) 22개가 부식이 심하다. 또 연목이 흘러내려 처마앙곡이 거의 없으며 구조적으로도 위험하다. 부연(浮緣)은 길이가 9㎝각으로 길이 1.1 m이며 27본이 부식되어 있다.

 

기와상태 : 암기와는 폭 30㎝, 길이는 45㎝인데 풍화가 심하고 2겹이음정도로 늘어지게 이어졌으며, 숫기와는 산란(散亂)이 심하다.

벽체(壁體), 창호(窓戶) : 벽체는 회반죽 바름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기울어진 기둥에 밀려 모서리 부분의 탈락이 심하다. 누(樓)의 창호(窓戶)는 모두 인멸(湮滅)되어 문선(門線) 등에 나오는 창호철문의 홈을 조사하여 당초의 모양을 추정할 수 밖에 없는 상태이며 익사(翼舍)는 양여닫이 띠살문 3개소, 외여닫이 띠살문 2개소가 있으며 상태는 양호하다.협문, 담장 : 협문은 동서(東西)담장에 1개소씩, 모두 2개소가 있으며 건물에 비해 규모가 적으며 일식문(日式門)으로 변형(變形)되어 있다. 담장은 높이 1.6m, 길이 93m인 장방형(長方形)으로 만취당(晩翠堂)을 둘러쌓고 있으나 옥개부(屋蓋部)는 양기와로 이어졌으며 맛벽이 탈락(脫落)된 곳이 많다.

 

8. 사업개요

가. 지  침

 만취당(晩翠堂) : 번와보수 및 부식재 교체,  창호, 기단보수        협문 : 1동은 해체후 복원하며 1동은 신축한다.       담장 : 기와고르기를 한다.    

나. 공사내용

1) 만취당(萬翠堂) 보수(28.12평)

연목이상 해체

부식목부재 교체시 발생되는 부식재중 재사용 가능한 부분을 선별 치목(治木)하여 적심(積心)으로 이용하였으며 목부재 교체수량은 다음과 같다.

 

-평연재 : 장연 63본, 단연 21본, 부연 27본, 목기연 6본     -축부재 : 부연개판 30% 교체, 기둥 6개소 드잡이      -선연재 : 선자연 22본, 연함, 평고대 100%

 지붕공사는 적심(積心), 강회다짐(18.17㎥), 보토다짐(36.35㎥)을 한 후 암기와 4,176매(70%), 숫기와 1,605매(60%)를 보충하여 기와잇기를 하였음

 기존 회반죽 바름벽을 해체하고 재사벽치기(면적: 36.53㎡)를 했으며 연골사이는 재사 앙벽바르기(164.48㎡)시행

 창호설치는 누각(樓閣) 좌측면(남측)은 띠살문으로 배면(서측)은 판문으로 복원

 복재(復齋)와 서소익실(西小翼室)의 벽, 천정, 바닥을 수장했으며 교체 목부재는 고색가칠(146.5㎡)을 하였음

 

2) 협문복원 1동

 서측 출입문인 일본식 협문을 한식 협문으로 복원

-최고높이 : 2.8m     -처마높이 : 2.06m     -주간거리(柱間距離) : 1.5m     

 

다. 설계현황

접 수 일 : '85. 12. 27      

설 계 자 : 금성종합건축 김상식     

설계금액 : 28,622천원      

승 인 일 : '86. 2. 10      

검 토 자 : 건축기원 오석근       

검토금액 : 26,840천원

 

라. 공사감독현황

계 약 일 : '86. 4. 25      

도 급 자 : 대화기업(주) 이실근     

공사기간 : '86. 5. 2∼'86. 7. 30      

감 독 관 : 건축기사보 남기송     

검 수 관 : 건축기사 변철수      

계약금액 : 21,800천원     

준공금액 : 21,800천원      

현장대리인: 보수 제173호 김한승     

기 능 공 : 목공 제492호 이 운, 와공 제498호 김병호      검 수 일 : '86. 8. 5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