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2005. 12. 12. 글-상석(제), 사진-발용(군) 제공)
일 시 : 2005년 12월 11일(日)10:00<시간엄수> 장 소 : 지하철 상일역(5호선 끝역)--하남지역(유홍 신도비,민응협 묘소外)과 민 점,익원공 묘역 참석자 : 영윤,상석,윤만,발용,태우,태영,용주 (무순)
토요일 밤 초등학교 친구들과 밤을 지새우고 인천에서 차를 몰아 하남을 향한다. 한 주 빠짐없이 모임을 하다 보니 일요일 새벽닭이 우는 소리(모닝콜)를 차에서 듣는다. 버튼을 눌러 라디오를 켜니 <정겨운 소리를 찾아서>시그널이 울린다. 오늘은 태백, 삼척지구에서 현재는 씨앗도 구하기 어렵다는 귀리농사를 지으며 살아가는 노인편을 취재하고 돌아 와 들려 주는 코너인데 진행자는 산간오지 만을 탐방하며 잊혀져가는 우리 것을 찾아 떠다니며 겪은 소중한 기억의 편린들을 소개한다.
가끔 민담이나 그 지방 특유의 노동요를 들려 주기도 하는데 구수한 입담이 늘 정겹기만 하다. 아련한 기억 속의 "귀리"라는 곡식의 낱알처럼 척박했던 어린 날의 추억들-----,주저리 주저리 따라오는 문명의 이기 뒤로 사라져 가는 많은 것들이 아궁이 속의 뜨거운 장작불과 어울려 굴뚝연기로 피어오른다. 겨울날 극히 짧은 햇살이 봉당에 잠시 다가와 머물 때 연을 만들던 소년은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고 다만 탐방길로 접어드는 나그네의 발길이 한결 가뿐하다.
만남의 장소 : 상일역 3번 출구
동행한 분들:영윤,상석,윤만,발용,태우,태영,용주
급강한 날씨에 부르르 떨며 인사를 나누고 유 홍(兪 泓1524-0594)신도비로 향한다. 공은 낙서공(휘自點)의 외조부가 되신다. 비신이 정사각형(600*540)으로 우뚝 서있는 것이 특이하였고 공의 신도비 근처에는 공의 후손들로 보이는 기계(杞溪)유씨들의 집들이 아직 많이 남아 있었다. 자세한 자료는 발용님께서 올려 주신 홈 게시물로 확인 할 수 있다.
곧 민응협(閔應協1597-1663)의 묘소로 이동하였는데 공은 충익공(휘時讓)과는 사돈으로 공의 아들 민 점(閔 點)이 충익공의 사위가 되었다. 이 역시 홈에 소개 되어 있다.
자리를 옮겨 능성구씨의 묘역에 도착하니 묘역 맨 위쪽에 능성구씨에서 외손봉사를 해 오고 있는 성경온의 묘소가 있고 그 옆에 묘갈이 있다. 신용개 찬, 유연재공(휘 希壽)께서 서하셨다
.
두물머리로 향하는 길에 조선조 세종의 손자가 되는 운산군(雲山君1453-1510) 이계의 묘소에 도착하니 새로이 설치한 신도비각 안에 남곤이 찬하고 유연재공(휘 希壽)께서 서하신 신도비가 보인다.
능내의 다산묘소를 뒤로하고 두물머리를 지나 점심을 한 후 익원공 묘역으로 가는 길에 정창손 묘역 맞은편 능선에 오르니 양지바른 쪽에 반쯤 눈을 뒤덮고 있는 묘소가 나타나 다다르니 주인공은 민 점이며 배위가 안동김씨이니 바로 충익공의 따님이시다. 예를 올리고 논둑을 가로질러 건너편 정창손의 묘소로 이동한다.
새로이 단장한 정창손의 묘역은 원래 서울에 있던 것을 30년 전에 이장하였으며 한글로 신도비를 새로이 조성하였는데 만보당(휘壽童)께서 전을 서하신 기록이 보인다. 그 위로 사당 우측에 원래의 신도비각이 자리하고 있었는데. 많이 훼손 되어 판독이 불가능하였고 묘소로 올라가 비문으로 행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은 문정공(諱 질)의 장인이신데 비문에 기록이 되어 있었다. 이로써 세칭 구정승골이 열을 채웠으니 선초부터 명인들의 음택지로 선정 된 까닭을 알 수 있었다.
낙포재에 차를 세워 두고서 익원공(휘 士衡)묘역으로 오르는 길에 해는 산허리를 감고 사라져 가고 달과 함께 하얗게 쌓여 있는 흰 눈만이 후손들을 맞아 준다. 예를 올리고 잠시 언 손을 녹이며 차 한 잔을 나눈다. 하산길에 낙포재에 모신 존영에 인사하고 되돌아 나와 길가의 신도비각을 들리는 것을 끝으로 행사를 마무리하였다.
늘 그러하지만 손가락도 펴지질 않는 날씨에 중간 중간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고 종일 운전을 도맡아 하시느라 애쓰신 발용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