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음애일기(陰崖日記) - 해제
페이지 정보
김태서 작성일05-04-03 10:43 조회1,339회 댓글0건본문
음애일기(陰崖日記) 해제
음애(陰崖) 이자 (李?) 찬
본 일기는 이자가 중종 4년(정덕 4년, 1509) 기사 윤9월로부터 시작하여 중종 11년 병자 12월에 끝내었다. 그러나 음애 연보(年譜)에는 중종 6, 7년ㆍ신미ㆍ임신 10, 11년ㆍ을해ㆍ병자년은 상중(喪中)에 있었으므로 기록한 것이 없다고 하였다. 본 일기는 저자가 그 당시 직접 듣고 보던 정부 요인 및 야인들에 관한 행적과 일사들을 기록하였으며 그 외에도 왜구(倭寇)들과의 교섭 실사와 농사에 관한 구속(舊俗)들이 적혀 있고 권말에는 소릉(昭陵)의 복명(復命)과 유자광(柳子光)의 공훈의 삭제, 여말(麗末)의 유종(儒宗) 이색의 아들 이종학(李種學)의 행적기가 부록되어 있어서 사료로서 널리 이용되었다.
본서는 음애잡기(陰崖雜記) 또는〈음애일록(陰崖日錄)〉등의 이름으로도 전해지고 있는데 《연려실기술》별집 야사류나, 프랑스인 쿠랑의 《한국도서해제》670페이지에는 〈음애잡기〉로 되어 있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의 인용 서목 중에는 이자(음애집, 부, 일록)로 되어 있다.
김두종 씀
음애(陰崖) 이자 (李?) 찬
본 일기는 이자가 중종 4년(정덕 4년, 1509) 기사 윤9월로부터 시작하여 중종 11년 병자 12월에 끝내었다. 그러나 음애 연보(年譜)에는 중종 6, 7년ㆍ신미ㆍ임신 10, 11년ㆍ을해ㆍ병자년은 상중(喪中)에 있었으므로 기록한 것이 없다고 하였다. 본 일기는 저자가 그 당시 직접 듣고 보던 정부 요인 및 야인들에 관한 행적과 일사들을 기록하였으며 그 외에도 왜구(倭寇)들과의 교섭 실사와 농사에 관한 구속(舊俗)들이 적혀 있고 권말에는 소릉(昭陵)의 복명(復命)과 유자광(柳子光)의 공훈의 삭제, 여말(麗末)의 유종(儒宗) 이색의 아들 이종학(李種學)의 행적기가 부록되어 있어서 사료로서 널리 이용되었다.
본서는 음애잡기(陰崖雜記) 또는〈음애일록(陰崖日錄)〉등의 이름으로도 전해지고 있는데 《연려실기술》별집 야사류나, 프랑스인 쿠랑의 《한국도서해제》670페이지에는 〈음애잡기〉로 되어 있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의 인용 서목 중에는 이자(음애집, 부, 일록)로 되어 있다.
김두종 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