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김문과 성주이문의 세계 순서 검토
페이지 정보
김순대 작성일05-08-25 13:30 조회1,503회 댓글6건본문
상세한 답변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과연 안동 김문이 명문이라 여러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답해 주시네요.
작성해 주신 자료로서 안동김문과 성주이문의
세계도를 분석해 보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견됩니다.
참고바랍니다.
각 선조의 휘 앞의 숫자는 편리상 세계의순서를 나타내 본 것입니다.
안동김문과 성주이문은 사돈지간이 되므로 사위도 세계의 순서에 포함시켰습니다.
1.안동 김방경
2.자,안동 김순
3.자,안동 김영후
4.자,안동 김천 4.자,안동 김장
5.자,안동 김사렴(안렴사공파) 5.자,안동 김수(서운관정공파)
6.자,안동 김약 6.자,안동 김질
7.자,안동 김우주 7.자,안동 김자행
8.자,안동 김환 8.사위,고령 신회
9.자,안동 김종손 9.사위,성주 이윤탁
10.자,안동 김지 10.자,성주 이문건
11.사위,경주 김증수 11.자,성주 이온
12.사위,성주 이온
위와 같이 안렴사공파 계통으로 내려오면 성주 이온이 12번째가 되나
서운관정공파 계통으로 내려오면 동일인인 성주 이온이 11번째가 됩니다.
모순이 있는것 같습니다.
김해김 순대 드림
댓글목록
김순대님의 댓글
![]() |
김순대 |
---|---|
작성일 |
그리고 다음 내용도 가능하시면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우리 김해김씨 보첩에 영정->세균->증수의 계통에 있는 김증수의 장인이 안동인 김지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혹시 안동 김지의 사위인 김증수는 경주인이 아니고 김해인이 아닌지요.
전에 말씀드린 이문건의 묵재일기에서 말하는 김증수(김해인)은 아마도 이문건의 사돈 김증수를 언급한 것일 것이고 그렇다면 그 김증수는 김해인으로 김응수와는 6촌간이 분명합니다.
(만일 경주인 김증수가 있다고 하여도 이문건이 자기와는 관련없는 경주인 김증수를 언급하지는 안았을 것입니다.)
참고로 김해인 김증수는 안동 김지의 따님을 부인으로 맞이하여 2자(希復,希律), 6녀(고령신여즙, 청주한익,문화류경행, 성주이온, ??박종윤, 전의이향?란)를 두신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왕섭님의 댓글
![]() |
이왕섭 |
---|---|
작성일 |
申汝楫, 韓翊, 柳景行.....에서 [전의이향?란]의 한자표기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알려주실 수 있겠는지요?
김순대님의 댓글
![]() |
김순대 |
---|---|
작성일 |
이왕섭님 안녕하십니까.
멀리서(안동김문)에서 뵙니다.
적어주신 바 대로 김해인 金增壽의 사위는
고령申汝楫,
청주韓翊,
문화柳景荇(行이 아님),
성주李(火+溫-水=온),
??朴宗胤(徹같기도 함),
전의李馨蘭(이전에는 馨자가 잘 보이지 않아 부수를 풀초(艸)로 보고 (啓-口) 밑에 香자가 있는 것으로 짐작하고
아무리 찾을려고 해도 옥편에 없어 돋보기를 두고 자세히 보니 향기 형자였습니다.)
귀 문중 선조의 휘자를 자세히 보지않고 향?으로 표기한 점 사과 드립니다.
이왕섭님의 댓글
![]() |
이왕섭 |
---|---|
작성일 |
[高靈申氏 신여즙(申汝楫)의 계보]
신숙주(申叔舟) 領議政 신숙주(申叔舟)→신면(申면) 觀察使→신용관(申用灌) 郡守→신충(申沖) 參奉→신여즙(申汝楫)
[淸州韓氏 한익(韓翊) 계보]
한영정(韓永정) 知淳昌郡事, 贈領議政府事→한확(韓確) 左議政,襄節公→한치례(韓致禮) 西陵君→한익(韓翊) 判官
[文化柳氏 류경행(柳景荇)의 계보]
류성비(柳成庇) 文山君,忠誠公→류당(柳塘) 侍郞→류송절(柳松節) 郞將→류광수(柳光秀) 判繕工→류총(柳叢) 忠順衛→류익번(柳益蕃)→류미(柳水+眉)→류지형(柳之亨) 僉使→류홍종(柳洪宗) 司僕→류경행(柳景荇)
[全義李氏 이형란(李馨蘭)의 계보]
이도(李棹:統合三韓開國翊贊 二等 功臣/三重大匡太師/전의이씨시조)→ 이강(李康:精勇衛大將軍)→ 이수영(李秀英:兵部尙書)→ 이문경(李文景:千牛衛大將軍)→ 이윤관(李允寬:刑部侍郞)→ 이순(李順:保勝別將)→ 이천(李仟/李阡:鷹揚軍大將軍)→ 이자화(李子華:選部典書)→ 이득영(李得榮:典法佐郎)→ 이구직(李丘直:交州道按廉使/刑曹判書/戶曹典書/開國原從功臣/公州牧使)▶ 이정간(李貞幹:江原道都觀察使/中樞院事/孝靖公)→ 이사혜(李士惠) 知靈岩郡事→ 이효석(李孝碩) 定平府使→繼後 이말경(李末瓊) 迪順副尉→ 이응규(李應奎)→이희수(李熙壽)→이형란(李馨蘭)
[星州李氏 이온의 계보]
이직(李稷) 성산 부원군(星山府院君)→ 이사후[李師厚:?∼1435(세종 17)] 漢城府尹→ 이함녕(李咸寧) 교리(校理)→ 이숙생(李叔生) 公州牧使→ 이윤탁(李允濯) 正字→ 이문건(李文楗) 承旨→ 이온(李瑥:瑥에서 王이 빠지고 火가 들어가 만들어진 글자)
김주회님의 댓글
![]() |
김주회 |
---|---|
작성일 |
이왕섭 님 오랫만에 뵙습니다.
상기 기록 중에 있는
'이윤관(李允寬:刑部侍郞)' 과 비슷한 시기에 '밀직(密直) 학사(學士) 이윤온(李允蘊)' 이라는 분이 있는지요? 이윤온(李允蘊)의 사위 중에 청주이씨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김성회님의 댓글
![]() |
김성회 |
---|---|
작성일 |
귀하가 질문하신 내용중 연대가 맞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김증수의 배위와 김수증의배위 출생연도는 어떻게 기록되엇는지 알려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