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김좌회님의 선대 외가인 전의이씨(全義李氏)
페이지 정보
이왕섭 작성일05-08-28 15:26 조회1,489회 댓글2건본문
김좌회님!
처음 뵙겠습니다. 온라인상에서나마 이렇게 인사드립니다.
김좌회님의 선대조의 외가가 本宗의 이응진(李應軫)이라고 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이응진의 사위는 김언침(金彦:가라앉다; 빠지다; 잠기다의 뜻을 가진 침의 異體字, 이하 異體字로 약칭함)으로 전의이씨보에는 李應軫女金彦
監司 子瓚以判書贈爵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국조방목에는 김언침(金彦
:異體字) 국조문과방목에는 김언심(金彦沈)으로, 관직을 形議(刑曹參議의 略字) 두 문헌 모두에서 똑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沈을 침으로 봐야 할 것인지, 심으로 봐야 할 것인지는 후손들의 몫이 되겠지만, 저의 짧은 식견으로는 침으로 봐야 하지 않을 까 조심스런 생각을 곁들여 봅니다. 참고로 김언침(金彦침)의 침자가 國朝榜目, 文化柳氏嘉靖譜(1565년간행), 全義李氏姓譜(1574년간행)에는 모두 침()으로 적혀 있습니다.
국조방목과 국조문과방목에는 김언침(金彦)의 外祖로 우즙(禹楫), 妻父로 이응진(李應軫)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김언침의 침자가 인지 아니면
인지 김좌회님의 확실한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김언침의 아들인 김찬(金瓚)은 문과급제후 경기감사, 대사간, 대사헌을 거쳐 1595년(선조 28) 예조판서에 오른후 대사헌, 이조판서, 우참찬을 두루 역임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조문과방목에는 이응진(李應軫)의 진을 올바르게, 국조방목에는 이응진(李應軫)의 진을 珍의 異體字인 진()자로 誤書하고 있습니다. 1990년에 간행된 전의이씨 경오보에는 김언침(金彦
)을 김언갱(金彦坑)으로 적고 있어 초판을 찍은 뒤 교정(校訂)을 거칠 때 미처 수정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응진(李應軫)의 계보]
이도(李棹:統合三韓開國翊贊 二等 功臣/三重大匡太師/전의이씨시조)→ 이강(李康:精勇衛大將軍)→ 이수영(李秀英:兵部尙書)→ 이문경(李文景:千牛衛大將軍)→ 이윤관(李允寬:刑部侍郞)→ 이순(李順:保勝別將)→ 이천(李仟/李阡:鷹揚軍大將軍)→ 이자화(李子華:選部典書)→ 이득영(李得榮:典法佐郎)→ 이구직(李丘直:交州道按廉使/刑曹判書/戶曹典書/開國原從功臣/公州牧使)→ 이정간(李貞幹:江原道都觀察使/中樞院事/孝靖公)→ 이사혜(李士惠) 知靈岩郡事→ 이의석(李義碩) 종사랑(從仕郞),홍주 판관(洪州判官) 역임. 태종(太宗)과 신녕 옹주(愼寧翁主) 신씨(辛氏)사이의 딸 숙진 옹주(淑眞翁主)와 혼인한 영일정씨(迎日鄭氏) 일성위(日城尉) 정효전[鄭孝全:?∼1454(단종 02)]의 사위[女壻], 정효전은 형조 판서(刑曹判書),공조 판서(工曹判書),도총제(都摠制) 등을 지낸 정진(鄭鎭)의 아들임.→ 이종경(李從瓊) 진용 부위(進勇副尉)→ 이응진(李應軫) 장사랑(將仕郞),이사권(李思權) 郡守의 사위(女壻)
[경주이씨(慶州李氏) 이사권(李思權) 계보] 이응진(李應軫)의 妻父
이진(李王眞) 檢校政丞→이제현(李齊賢) 政丞,諡文忠→이달존(李達尊) 典理摠郞,28歲卒→이학림(李學林) 郡事→이담[李擔:1370∼1405(태종 05).4.23] 1393년(태조 02,계유) 식년시(式年試) 을과3(乙科3) 등 文科及第,우부대언(右副代言)→이안경(李安敬) 이희(李日+喜)로 개명(改名)함,持平,戶曹正郞,掌令,內資尹,奉常寺尹,春川府使,司宰判事,判禮賓寺事,刑曹參議,工曹參議,慶尙道觀察使역임→이계번(李繼藩) 部將→이식(李埴) 縣監→이사권(李思權) 郡守역임,이조판서(吏曹判書) 문강공(文剛公) 이사균(李思鈞)의 동생→女壻 이응진(李應軫)
[영산신씨(靈山辛氏) 신자정(辛自)] 이종경(李從瓊)의 妻父
신근(辛:근은 一作 謹)→신자정(辛自金+呈) 郡守→女壻 이종경(李從瓊) 진용 부위(進勇副尉)
※신자정(辛自金+呈)은 적량 만호(赤梁萬戶)와 호군(護軍)을 지낸 신자금(辛自金)의 형(兄)이다.
※신근(辛근)의 처부(妻父)는 직장(直長) 봉림(奉霖), 처조(妻祖)는 규정(糾正) 봉유례(奉由禮)이다.
[영일정씨(迎日鄭氏) 정효전(鄭孝全)] 이의석(李義碩)의 妻父
정홍[鄭洪:?∼1420년(세종 02).6.26]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대제학(大提學),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역임,시호(諡號)는 공간(恭簡)→정진[鄭鎭:1378∼1418년(세종 즉위).12.6] 20세에 중추(中樞)에 임명된 기록 보유,형조 판서(刑曹判書),공조 판서(工曹判書),도총제(都摠制)역임,시호(諡號)는 정원(靖元)→정효전(鄭孝全) 일성위(日城尉)→女壻 이의석(李義碩) 종사랑(從仕郞)
※정홍(鄭洪)의 최종관직에 관하여 《국조황각록 國朝黃閣錄》에는 우상이라 기록되어 있으나 공인되지 않고 있다. 시호는 공간(恭簡)이다.-인명사전 정홍(鄭洪) 참고-
※정효전(鄭孝全)은 태종(太宗)과 신녕 옹주(愼寧翁主) 신씨(辛氏)사이의 딸 숙진 옹주(淑眞翁主)와 혼인하여 부마 일성위(日城尉)가 되었다.
[안동김씨(安東金氏) 김언침(金彦침)]
김방경(金方慶) 첨의 중찬(僉議中贊) 상락공(上洛公)→김순(金恂) 삼사사(三司使)→김영후(金永煦) 첨의 정승(僉議政丞) 상락후(上洛侯)→김천(金천) 상락백(上洛伯)→김사형[金士衡:1333(충혜왕 02)∼1407(태종 07).7.30] 좌정승(左政丞),상락 부원군(上洛府院君),시호(諡號)는 익원(翼元)→김승(金陞) 중추(中樞),참찬(參贊)→김종숙[金宗淑:?∼1470(성종 01).9.13]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김질[金질:1422(세종 4)∼1478(성종 9).2.24] 좌의정(左議政),상락 부원군(上洛府院君),시호(諡號)는 문정(文靖)→김성동[金誠 童:1452(문종 02)∼1495(연산 01).10.29] 부평 부사(富平府使),동지(同知)→김려(金濾) 충의위(忠義衛)→김언침[金彦침:1514(중종 09)∼?] 군수(郡守),참의(參議),관찰사(觀察使)???→김찬(金瓚) 판서(判書),참찬(參贊)
---------- 全城李門 왕섭
댓글목록
김좌회님의 댓글
![]() |
김좌회 |
---|---|
작성일 |
우리 자손은 침자로 읽고있습니다.
누군가가 언자 심자로 기록하면 몹시 언잖은 부분입니다.
그래서 늘 지적을 많이 해주지만 옥편을 찾아보면 그럴수도 있어서 안탑갑기만 합니다. 전의이씨 할머님의 훌륭한 가르침이 효행가문과 장수가문의 명맥을 잇고 있습니다. 훌륭한 전의이씨 가문에 경의를 표합니다.더불어 보학에 해박한 지식을 전파하시는 이왕섭님께도 경의를 표합니다. 메일로 연락한번 드리겠습니다.
이왕섭님의 댓글
![]() |
이왕섭 |
---|---|
작성일 |
김좌회님의 말씀에 고개를 숙입니다. 저에 대한 경의는 과분한 것 같습니다. 단지 도움주고 받는 마음에 기분 들뜨는 바입니다. 본종의 할머니로 인해 가문의 중흥을 이루었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자세를 낮추는 바입니다.
김언침 선조의 침자가 이체자인지,본자인지(위에 한자로 표시함) 알고 싶은 마음 간절하며, 또한 김언침 선조가 참의를 거쳐 관찰사를 지낸 것으로 사료되나 제가 보아온 자료로서는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관찰사를 지내셨다고 한다면 아마도 통정대부 守로서 역임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 묘갈이나 신도비가 있다면 확인이 되겠지만, 제가 직접 살펴보지를 않았기에 모르겠습니다. 위 자료는 1634년 전의이씨성보의 기록이라 확실해 보이지만 가능하다면 확인해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김좌회님으로 인해 귀문에 대해 관심을 더 가지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 여겨집니다. 이응진 선조의 방계손으로 다시한번 김좌회님에게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全城後裔 이왕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