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 제 26회, 안사연 정기산행(하남)공고-미리보기-도미나루

페이지 정보

김발용 작성일05-12-10 19:00 조회1,959회 댓글1건

본문

 

도미나루 전설

   창우동의 한강변에는 도미부부가 떠났다는 도미나루의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도미는 신분은 보잘 것 없었지만 의리 있는 사람이었고, 그의 부인은 아름다우며 절조가 있어 당시 사람들의 칭찬이 자자했다. 백제의 개로왕이 이 말을 듣고 도미를 궁 안으로 불러 도미부인의 지조를 시험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왕은 한 신하를 왕으로 위장시켜 도미부인에게 보냈다. 도미부인을 찾아간 신하가 말하기를 “내가 너의 아름다움을 오래 전부터 듣고 도미와 장기내기를 하여 이겼다. 내일 너를 궁녀로 삼을 것이니 네 몸은 나의 것이다”라고 하며 난행(亂行)을 하려고 하였다. 이에 도미부인은 왕의 말에 순종하며 옷을 갈아입고 오겠다고 하고서 여종을 단장시켜 수청들게 하였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개로왕은 크게 노하여 도미에게 죄를 얽어 씌워 도미의 두 눈알을 뽑아버리게 하고, 작은 배에 태워 강물에 띄어 보냈다. 그후 왕은 다시 도미부인을 끌어 들여 강탈하려 하였다. 부인은 지금 월경 중이니 다른 날에 모시겠다고 하고 그 길로 도망하였다. 강가에 이르러 마침 지나는 배를 타고서 천성도(泉城島)라는 섬에 도착하였는데, 그 섬에서 아직 살아있는 남편을 만나게 되었다.
   이들은 다시 고구려의 산산(蒜山)이라는 지역으로 가서 살다가 일생을 마쳤다고 한다. 지금의 창우동 한강변은 이와 같이 도미부부가 이곳을 떠났다 하여 도미나루라는 지명으로 불리고 있다. 이 이야기는 정절의 표상으로서 후대까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에는 그림과 함께 이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두미강의 사랑」 역사동화 발간
사학계 '하남 도미나루터' 고증에 기초한 첫 작품

각종 문헌에서 정조관의 대표격으로 명명받고 있는 '도미부인'이 하남시를 배경으로 했다는 사실과 이를 통해 하남 향토사를 특화시켜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삼국사기를 시작으로 동사열전 동국통감 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등 여러 문헌에서 언급되고 있는 '도미부인' 설화의 배경이 되는 도미나루가 하남시 창우동 한강변에 위치해 있다는 사학계의 고증을 바탕으로 한 첫 역사장편동화 「두미강의 사랑」이 발간됐다.

2005100558323119.jpg
▲하남시 검단산과 남양주 에봉산을 사이에 두고 있는 두미강에 위치한 도미나루를 배경으로 한 역사동화 '두미강의 사랑'    © 시티뉴스

 도서출판 '시간의 물레'가 출판한 「두미강의 사랑」은 지난 2003년 경기대학교박물관 발굴조사팀에 의해 발표된 '하남 도미나루 유적' 제하의 보고서에서 "도미나루에 대한 문헌·위치·설화 등에 대해 검토한 결과 한강줄기에서 하남시 구간, 특히 검단산과 예봉산 사이를 도미(두미)강으로 불렀는데 도미강에는 도미나루와 도미원이 있었다"고 전제 "도미의 어원은 도미부인 설화에서 비롯됐다"는 사학계의 고증을 토대로 했다는 점에서 하남시 설화 전승에 큰 의미를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두미강의 사랑」은 지금까지 도미부인의 정조관을 주제로 소설가 박종화·최인호씨의 소설들이 도미나루에 대한 고증이 밝혀지기전 한강을 무대로 한데 반해 '도미나루'가 하남시 두미강에 그 역사적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고증을 토대로 하남시를 무대로 쓰여졌다는 점에서 뚜렸한 차별성을 띠고 있다.

 아울러 현재 전설로 내려오고 있는 송파의 도미나루설화와 보령시의 도미설화가 역사적으로 고증되지 않은 채 구전되고 있는 설화에 의존한 반면 하남시 창우동의 도미나루설화가 그에 해당하는 유구와 고지도들이 존재한다는 점에 입각, 이 책이 구성됐다는 점에서 구전설화와도 구별되고 있다.      

 이 동화책에서는 경기대박물관 발굴조사팀에서 고증한 도미나루터 사진과 위치도 그리고 고지도속에 나타난 두미강을 부록으로 엮어 역사성을 배경으로 한 동화라는 점을 명시, 향토교재로의 가치도 부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동화는 경기대박물관팀에 의해 도미나루터가 고증된 이후 '광주 하남 대표 인터넷 전자신문'을 표방하는 <시티뉴스>가 하남 향토사를 특화시키자는 차원에서 기획, <시티뉴스>의 지원하에 도서출판 '시간의 물레'에서 역사장편동화로 출판하게 됐다. 

 글은 동아일보 신춘문예 아동문학 심사위원인 중견 동화작가 김문기씨가 또 그림은 이순영 작가가 참여했다.

이 책은 8일부터 국내 서점 어디에서나 구입해 볼 수 있다. 

 

댓글목록

솔내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솔내
작성일

  시간과 물레에서 출간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