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정(좌)랑공 김구(金榘)

페이지 정보

김발용 작성일06-03-07 17:21 조회1,597회 댓글0건

본문

 

각파 문중회 소개 문온공파란에서 옮김(2004. 6. 2 윤만 제공)

  1) 김구(金榘)  1582년(선조15)--1627년(인조 5)  

  자는 방숙(方叔), 호는 청창(聽蒼), 본관은 안동, 문온공(文溫公) 척약재(척若齋) 구용(九容)의 9세손으로 1582년(선조15) 임오(壬午) 3월26일 생, 1627년(인조 5) 정묘(丁卯) 4월28일 향년(享年) 36세에 졸(卒)하시다. 1603년(선조 36) 계묘(癸卯) 생원, 1613년(광해군 5) 계축(癸丑)에 진사(進士), 1615년(광해군 7) 을묘(乙卯)에 식년시(式年試) 병과16(丙科16)에 합격, 승문참하(承文參下)를 하시다가 광해정란(光海政亂)으로 고향 충주(☞지금의 음성 감곡 상촌)로 물러나셨고 인조개옥(仁祖改玉) 후 예조정랑<禮曹正郞-문과방목 壬申譜에는 예·형 양조좌랑으로 기록되어있고 구전으로도 좌랑공이라 하고 있다군수(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증조부(曾祖父)는 병사공(兵使公) 윤종(胤宗)·조부(祖父)는 음성공(陰城公) 진강(震綱)·부(父)는 상촌(桑村) 입향조(入鄕祖) 하양공(河陽公) 대하(大河)·외조부(外祖父) 이양형(李陽亨)이다.

  배(配)는 숙인(淑人) 상산김씨이다. 1586년(선조 19) 병술(丙戌) 7월28일에 나시어 1658년(효종 9, 壬申譜의 1958년은 오기이다) 무술(戊戌) 11월27일 수(壽) 73세(임신보의 63세는 오기이다)에 돌아가시다. 부(父)는 참의(參議) 김홍미(金弘微)이시고 처 외조부(妻外祖父)는 경북 안동 하회마을 서애 류성용 선생의 형님이신 겸암 류운용 선생이시다.

  후사(後嗣)가 없어 아우 계(棨)의 맏이 영희(永熙)에게 입후(立後)하였다.

  유고(遺稿) 2권이 집에 전하고 있다.

  묘(墓)는 음성공 묘역 우측(서쪽) 아래로 20m~30m를 내려가면 우측 하양공 묘역 뒤편으로 50m~60m 거리에 있는데 임좌(壬坐)이다. 석물은 옛 모습 그대로이고 봉분에도 호석이 없다. 봉분 앞에는 혼유석, 상석, 향로석이 있고 배계절에는 망주석 한 쌍이 있다.

《參考文獻 : 壬申譜/1992·家譜·陰城郡誌/1979·디지탈한국학 조선조방목》

munpaku01.jpg

<정(좌)랑공 김구 묘소>

 

munpaku02.jpg

<정(좌)랑공 김구 묘소 상석>


[挽: 김구를 조의함]

師門恩契最知心。(사문은계최지심) 스승의 문하에서 은혜로 맺어 그 마음을 잘 알아

行誼平生夙所欽。(행의평생숙소흠) 행동 규범을 평생 우의로 대하여 일찍이 흠모했네.

泉裏相逢應不遠。(천리상봉응불원) 황천에서 서로 만날 날이 멀지 않은데

挽章何必更悲吟。(만장하필경비음) 조의하는 글에 꼭 슬픈 가사만을 쓸 필요가 있겠는가.

《출전 : 草廬先生文集卷之十 詩》

초려(草廬) : 이유태<李惟泰 1607(선조 40)~1684(숙종 10), 호 초려(草廬) 사계 김장생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병자호란 후 일체의 벼슬을 거절하고 학문과 후진의 교육에만 몰두하였다. 효종 즉위 후 잠시 벼슬길에 나아갔으나 곧 귀향하여 "기해봉사(己亥封事)"-당시의 국정 전반에 걸친 정치개혁안-을 작성하여 올림. 김집·송시열·송준길·이유태·권시를 충청 오현(忠淸五賢)이라고 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