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 문온공의 교류인물(3) 도은 이숭인 교류시- 중구감회 전문

페이지 정보

김태영 작성일06-04-10 18:34 조회1,230회 댓글1건

본문

重九感懷
중구날에 느낌

去年重九龍山巓 坐客望若登神仙
達可放歌徹寥廓 敬之下筆橫雲烟
曾吾醉談聽不厭 子庚詩句淸且姸
民望長身鸞鶴姿 落帽起舞何翩旋
지난해 중구날엔 용산에 올랐었지
앉은 손님 바라봄에 신선 하늘에 오르는듯하이
달가(達可)는 노래 불러 고요를 깨고
경지(敬之)는 붓을 놀리니 구름 안개가 이네
증오(曾吾)의 취담은 들어 싫지 않고
자경(子庚)의 시귀는 맑고 아름다웠네
민망(民望)의 큰 키는 참으로 난새와 학의 자태처럼 아름다워
모자 떨어뜨리며 일어나 춤춤이 어쩌면 그리도 빙글 도는지

顧余亦是澹蕩者 痛飮不讓鯨吸川
美人年紀才二八 戴花細步踏華筵
人生歡樂惜此日 月明滿地猶未還
今年重九在流落 忍憶往事如夢間
나를 돌아 봄에 나 또한 호탕하여
고래가 물을 키듯 술을 통음 했노라
어여쁜 아가씨는 방년 겨우 열여섯
머리에 꽃꽂고 예쁜 걸음으로 꽃자리를 사분이 밟아라
인생의 즐거움 이날이 가는 것이 아까워
달빛 땅에 가득 차도록 돌아 갈줄 몰랐었지
올해 중구날은 떠도는 신세
문득 옛날 일이 꿈속 같아라

數子飄零各異縣 尺書寂寞長懸懸
古城一邱足登覽 黃花一枝且芳鮮
田夫野叟好看客 白酒不論靑銅錢
富貴貧賤從何有 掇花泛酒卽頹然
몇이는 헤어져 각기 멀리 귀양가 버리고
편지조차 없으니 정막하고 그리워라
옛성 언덕에 올라와 놀매
국화 한 가지 향기도 고와라
농부도 들늙은이도 손님을 따듯이 맞아
막걸리를 돈없이도 대접하네
부귀와 빈천은 어데서 왔는고
꽃꺽어 술에 띄워 곧 거나하게 취하여라

[註]
중구 重九…음력9월9일날 한가위 같이 좋은 명절이다.
달가 達可…정몽주의 字다  호는 포은(圃隱)
경지 敬之…김구용의 字다. 호는 척약재(惕若齋)
증오 曾吾  정도전의 별칭으로 호는 삼봉(三峰) 또다른 별칭으로 종지.
자허 子虛…박의중의 字다. 호는 정재(貞齋)
민망 民望…염정수의 字다. 호는 훤정(萱庭)

<도은선생문집에서 옮김.>

 

댓글목록

솔내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솔내
작성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