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삭줍기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6-12-20 11:11 조회1,503회 댓글1건본문
<이삭1-권금성 위의 봉화대>
<이삭2-봉화대를 오르는데>
<이삭3-봉화대 위에서 본 설악산>
<이삭4-봉화대 위의 한 쌍>
<이삭5-봉화대 위의 등반대장(상석)과 은회님>
<이삭6-봉화대에서 내려다 본 권금성>
<이삭7-봉화대에서 나도>
<이삭8-울산바위에서부터 몰려오는 눈구름>
<이삭9-동남쪽 산에서도 눈구름이>
<이삭10-폭설이 시작되는 봉화대를 뒤로 하고>
<이삭11-케이블카 타는 잠시 후의 설악동>
<이삭12-설악동의 설경>
<이삭13-불과 2시간전엔 멀쩡하던 반달곰 앞에서>
<이삭14-2시간의 폭설 뒤엔 햇빛도 나고>
댓글목록
김태영님의 댓글
![]() |
김태영 |
---|---|
작성일 |
"날이 차가워진 이후라야 송백의 시들지 않음을 안다(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也)"라는 공자 말씀으로 완당이 세한도(歲寒圖)에 쓴 명문이지요. 소나무 두 그루는 세한도를 연상시키네요.
함박눈과 어우러진 그림(사진) 시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