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 백곡(김득신)선조님 묘갈(金得臣墓碣) 원문 찬자 이현석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7-03-02 09:51 조회1,462회 댓글0건

본문

이현석(李玄錫)
1647(인조 25)∼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하서(夏瑞), 호는 유재(游齋). 서울출생.

실학자인 수광(睟光)의 증손으로, 상규(尙揆)의 아들이다.
1667년(현종 8) 진사가 되고, 1675년(숙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이듬해 예문관검열에 보직된 뒤 삼사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1682년 우승지가 되었으나 송시열(宋時烈) 등 서인의 예론(禮論)을 반대하다가 철원에 부처되었다.
1688년 다시 동래부사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경상도관찰사, 1691년 동지중추부사, 1693년 춘천부사를 지냈다.
이듬해 청풍현감을 자원하여 나가 《명사강목 明史綱目》을 저술하였으며, 그뒤 한성부판윤·우참찬·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관직에 있는 동안 군학(君學)과 시무(時務)에 관한 여러 소장(疏章)과 저서를 제진(製進)하였다. 탕평책과 중농정책을 건의하였으며,

경연강의(經筵講義)교재의 개편을 진언하였다. 국방정책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 강화도 축성방안과 봉수제도의 개선방안 등을 건의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춘천부사 등 지방관으로 있을 때는 진휼에 심혈을 기울였다.
또 경제세무(經濟稅務)에 관한 실용적인 사상을 가지고 조세의 감면 등 각종 정책을 입안하였고, 역리(易理)로써 군도(君道)와

치술(治術)을 설명한 《역의규반 易義窺斑》을 저술하여 임금에게 올렸다.
성리학에도 조예가 깊었는데, 이론보다는 존심양성(存心養性) 등 실천적인 덕목에 치중하였다.
저서로는 《명사강목》 24권, 《역의규반》 1권, 《유재집》 24권 등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