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고유제 의식 진행절차 시나리오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7-11-02 08:43 조회2,116회 댓글1건

본문

   <고유제 의식 진행 절차>

*제복 입기 (제복입는 방법 설명)

*지금부터 고유제를 시작하겠습니다. 

*고유제 제막식 관련 몇 가지 안내말씀

  오늘의 의식 진행 원칙은

  (1)<婚喪祭禮抄>(1988.안동김씨대종회 간),

  (2)<실천예절개론>(1998, 교문사)

  (3)<우리의 전통예절>(1988.한국문화재보호협회)

  (4)<제사는 이렇게 지낸다>(2004. 춘강, 김명회 등 편집)을 근간으로 삼아 진행하겠습니다.

*의식 진행 절차는 국문 약식 홀기를 사용하겠으며, 제문도 국문으로 준비하였습니다. 

*안경은 쓰셔도 됩니다. 다만 선그라스는 벗어주시기 바랍니다.

*휴대폰은 모두 꺼주시기 바랍니다.

*의식 진행중은 절대 정숙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개인적 사담은 일체 금해 주시기 바랍니다.

*의식 절차에 대한 이의가 계신 분은 급한 것은 제게 귓속말로 말씀해 주시고 그 외의 것은 제례 봉행이 끝난 뒤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먼저 분방을 발표하겠습니다. 호명 되시는 분들은 제복을 입고 묘전으로 모이시는데 헌관은 묘전 좌측에, 집사들은 상석 좌우에 자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유제 분방>

  구분

선조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축관

좌집사

우집사

집례

산신제

재철

항용

재구

재우

항용

고유제

창회

용회

재찬

항용

준회

지묵

항용

 

1)산신제 봉행

     (진설이 끝나면 먼저 헌관은 진설물을 확인하시오)

  1) 참신 (모든 참사자는 재배하시오)

  2) 분향 강신(헌관은 분향하고 재배하시오, 잔에 술을 받아 땅에 3번 나누어 붓고 재배하시오)

  3) 헌관헌작(헌관은 잔에 술을 받아 1잔만 올리시오)

  4) 정시저 (좌집사는 시저를 세 번 굴려 가지런히 하여 포 위에 올리시오)

  5) 독축 (참사자는 모두 엎드리고 축관은 독축하시오-모두 일어서시오)

  6) 헌관재배 (헌관만 재배하시오)

  7) 낙시저, 퇴잔 (좌우 집사는 시저를 거두고 잔을 물리시오)

  8) 사신 (모든 참사자는 재배하시오)

  9) 분축 (축관과 초헌관은 축문을 태우시오-생략)

  10)음복 (헌관과 참사자들은 음복하시오)

  11)예필 (산신제를 마쳤습니다. 감사합니다.)

  12)철상 (좌우 집사들은 제수를 거두시오)


2) 고유제 봉행

 *그럼 곧 고유제를 봉행하겠습니다. 모두 경건한자세로 임해주시고 공수법에 따라 좌측손은 우측손 위를 감싸고 약간 들어 배꼽 위에 올려 주시며 고개는 약간 앞으로 숙이십시오, 여성의 손 잡는 방법은 남성의 반대입니다.

  절을 할 때도 남자는 좌측 손이 우측 손 위로 올라가야 하고 여성은 반대입니다.


 *고유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신-강신-초헌관재배-초헌관헌작-정시저-독축(개부복)-초헌관재배-아헌관헌작,재배-종헌관헌작,재배-낙시저,퇴잔-고예성-사신(개재배)-분축-음복.

 

      (진설이 끝나면 초헌관은 진설물을 확인하시오)

 1) 참신 (개재배-참사자는 모두 재배하시오)

            (묘제-참신을 먼저, 방, 사당-강신을 먼저함)

  2) 강신 (초헌관은 분향하고 재배하시오, 강신잔에 술을 받아 상석 아래에 세 번 나누어 붓고 재배하시오)

  3) 초헌관 재배 (초헌관만 재배하시오)

  4) 초헌관 헌작 (초헌관은 잔에 술을 받아 양위분께 올리시오)

  5) 정시저 (좌집사는 시저를 세 번 굴려 가지런히 하여 포 위에 올리시오)

  6) 독축 (참사자는 모두 엎드리고 축관은 독축하시오-모두 일어서시오)

  7) 초헌관 재배 (초헌관만 재배하시오)

  8) 아헌관 헌작, 재배 (아헌관은 잔을 올리시오. 재배하시오)

  9) 종헌관 헌작, 재배 (종헌관은 잔을 올리시오. 재배하시오)   

  10) 낙시저, 퇴잔 (좌우 집사는 시저를 거두고 잔을 물리시오)

  11) 고예성 (축관은 동쪽을 향해 서서 ‘예성’을 고하고 초헌관은 서쪽을 향해 서서 복창하시오)

  12) 사신 (개재배-참사자는 모두 재배하시오), (메가 없어 유식, 첨작은 생략함)

  14) 분축 (축관과 초헌관은 축문을 태우시오--(생략)

  15) 음복 (헌관들과 참사자들은 음복하시오)

  16) 예필(모든 의식을 마쳤습니다. 감사합니다)

  17) 철상


3) 제막식 거행

  이어서 이 자리에서 간단한 묘비 제막식을 거행하겠습니다. 모두 그 자리에 잠시 서 주시기 바랍니다”

    

 가)경과보고

   먼저 묘비건립 추진위원회 총무이신 태영종친으로부터 직제학공 선조님 묘비 건립에 대한 경과보고 말씀이 있겠습니다.

 

 나)회장님 인사말씀

   추진회장(수인)님의 병원 입원으로 중묵 부회장님이 대신하시겠습니다.

   <인사소개>

 

 다)축사 말씀

   안사연을 대표하여 문온공파(전 대종회 감사) 영환종친께서 해 주시겠습니다.

 

 라)제막식 거행

   1)제막 방법 설명 : 호명하는 제막자들은 앞에 보이는 천막 끈을 하나씩 잡은 뒤, 사회자와 함께 남아 있는 여러분들의 하나, 둘, 셋, 구령에 끈을 잡아 당기시면 됩니다.

   2)제막자를 호명하겠습니다. 순서대로 천막 끈을 잡아 주십시오

 재갑 고문님, 중묵 추진회부회장님, 창회 운영위원님, 재철종친님,  재찬종친님, 영환종친님, 태영종친님

   3)제막 실시


 마) 기념촬영

 

 바) 전달사항 전달

  1)기념품 소개,  2)묘비건립 찬조자 명단 발표,


 사) 이상 모든 행사를 마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예절과 의식을 잘 알지도 못하는 제가 감히 집례와 사회를 보았습니다. 잘못 된 것 많다고 봅니다. 많은 지적과 가르침을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김태영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태영
작성일

  엄숙하고 질서있는 진행과 제문을 봉독할때에 경청하는 후손들은 숙연함과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감동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