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함 신도비 참고자료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8-05-17 10:46 조회1,348회 댓글0건본문
2) <海豊君(해풍군) 이함(李函) 신도비 답사 - 동고공(東皐公) 필적> (2005. 5. 25. 발용(군) 제공)
동고공(東皐公) 휘 노(諱 魯) 선조님이 서(書)하신 이함(李函)의 신도비가 성남시 고등동에 있다는 태영종친으로 부터의 전화입니다. 성남 지역은 향토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선조님들의 필적이 존재치 않는다고 생각했었는데 여간 기쁜 소식이 아닙니다. 일요일 답사를 계획하고 일요일 아침 태영(군), 은회(익), 진회(밀), 발용(군)은 답사에 올랐습니다.
이함(1470∼1534)은 조선초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德水(덕수)이다. 공은 나면서부터 재주와 슬기가 남보다 달랐다. 中宗反正(중종반정) (1506)시 공을 세워 靖國功臣(정국공신) 이 되고 이 일로 折衝將軍(절충장군) 에 제수되었다. 1507년(중종 2) 嘉善(가선) 에 오르고 다음 해 嘉善大夫朔州府使兼兵馬僉節制使 海豊君(가선대부삭주부사겸병마첨절제사 해풍군) 에 봉해졌다. 1532년(중종 27) 順天府使(순천부사) 재임 중 1534년(중종 29) 병으로 관사에서 壽(수)65세로 卒(졸)하였다. 그의 부음에 중종은 예조좌랑 金璣(김기)에게 제문을 보내어 애도를 표하였다.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이라는 주소만 가지고 신도비를 찾아 나서는 무모한(?) 답사가 시작됩니다. 맑은 날씨라는 예보와는 달리 가랑비가 내리는가 싶더니 해풍군 이함의 묘소를 찾았을 때쯤에는 제법 굵은 빗줄기로 변하여 답사일행을 비에 젖은 생쥐가 따로 없습니다.
이함의 묘소는 배위 정부인 밀양박씨와의 원형 쌍분으로, 각 봉분은 용미와 활개를 갖추고 있으며, 묘역에는 봉분 중앙에 묘표, 혼유석, 상석, 4각향로석, 장명등이 있고, 상석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 등의 석물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버지 이함의 묘소 아래에는 아들인 덕안군(德安君) 이인상(李麟祥)의 묘소가 있는데 그 묘표에는 배증정부인안동김씨(配贈貞夫人安東金氏)라 쓰여 있어 일행의 눈길을 끕니다. 미리 준비해간 자료에는 안동김씨 판관 김홍(金洪)의 따님이라 하는데 김홍(金洪)이란 분이 누구신지....
▲ 위는 해풍군 이함의 묘소. 아래는 해풍군의 아들인 덕안군 이인상의 묘소
▲ 해풍군 이함의 묘표
▲ 덕안군 이인상의 묘표. 배증정부인안동김씨지묘(配贈貞夫人安東金氏之墓)
기록에 의하면 신도비는 묘소에서 4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하는데 빗줄기에 쫓겨 하산 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산하는 길에 항상 그러했듯이 보이지 않는 힘이 일행의 시선을 잡아끕니다.
그곳 수풀 속에 동고공(東皐公)께서 쓰신 신도비가 서있습니다.
▲ 해풍군 이함 신도비
▲ 신도비 전면
▲ 신도비 뒷면
▲ 동고공(東皐公)의 필적인 전액 및 신도비명
비는 비좌와 일석(一石)의 비신 및 반월 모양의 관석 형태이다. 비신은 백색 대리석제로 비문은 앞면에만 있다. 비신 상부의 전서(篆書)는 “海豊君李公碑銘(해풍군이공비명)”이며, 비문은 조인규(趙仁奎)가 짓고, 김노(金魯)가 썼다. 관석은 앞면에 화려한 운문을 배경으로 상부 중앙에 높이 18cm, 너비 22cm의 일문(日文)이 조각되고, 뒷면 역시 운문에 높이17cm, 너비 6cm인 초승달 모양의 월문(月文)이 조각되어 있다. 비의 건립연대는 1538년(중종 33)이다. 현재 비신은 앞으로 5° 가량 기울어져 있다. 비의 총높이는 225cm로, 비좌 높이 28cm, 너비 96cm, 두께 59cm, 비신 높이 137cm, 너비 67cm, 두께 17cm, 옥개석 높이 60cm, 너비 74cm, 두께 23cm이다.
신도비는 마멸로 인하여 훼손된 상태이며 손을 대면 돌가루가 떨어질 정도입니다. 안타깝습니다. 더 늦기 전에 탁본이라도 해놓아야 할 것 같습니다.
<李函 墓(이함 묘) 및 神道碑(신도비)관련 자료 소개> (2005. 5. 26. 영윤(문) 제공)
![]() 수정구 고등동 산13 |
| ||||||
| |||||||
| |||||||
| |||||||
| |||||||
![]() | |||||||
![]() | |||||||
德水李氏 孝貞公派宗會(덕수이씨 효정공파종회) , 『眉江 李景曾 行狀 및 神道碑文-附 그 直系一門의 墓碑銘集(미강 이경증 행장 및 신도비문-부 그 직계일문의 묘비명집) 』, 1994. |
<이함(李函) 신도비문 및 탁본> (2005. 6. 4. 발용(군)제공
동고공(東皐公)께서 서(書)하신 이함(李函)의 신도비의 탁본이 『성남금석문대관』(2003년 성남문화원 발간)에 사진이 실려 있습니다.
<原文>
有明朝鮮國秉忠奮義靖國功臣嘉善大夫奉朝賀贈正憲大夫議政府左參贊兼知義禁府事海豊君 李公神道碑銘幷序
通政大夫刑曹參議知製敎 趙仁奎 撰,
□□□□承仕郞兼春秋館記事官 金魯 書.
<後略>
<번역문>
유명 조선국 병춘충분의정국공신 가선대부 봉조하 증자헌대부 의정부좌참찬 겸 지의금부사 해풍군 이공 신도비명 병서
통정대부 형조참의 지제교 조인규는 짓고,
□□□□승사랑 겸 춘추관기사관 김노는 글을 씀.
<후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