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이함 신도비 참고자료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8-05-17 10:46 조회1,348회 댓글0건

본문

  2) <海豊君(해풍군) 이함(李函) 신도비 답사 - 동고공(東皐公) 필적> (2005. 5. 25. 발용(군) 제공)

동고공(東皐公) 휘 노(諱 魯) 선조님이 서(書)하신 이함(李函)의 신도비가  성남시 고등동에 있다는 태영종친으로 부터의 전화입니다. 성남 지역은 향토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선조님들의 필적이 존재치 않는다고 생각했었는데 여간 기쁜 소식이 아닙니다. 일요일 답사를 계획하고 일요일 아침 태영(군), 은회(익), 진회(밀), 발용(군)은 답사에 올랐습니다.

 

이함(1470∼1534)은 조선초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德水(덕수)이다. 공은 나면서부터 재주와 슬기가 남보다 달랐다. 中宗反正(중종반정) (1506)시 공을 세워 靖國功臣(정국공신) 이 되고 이 일로 折衝將軍(절충장군) 에 제수되었다. 1507년(중종 2) 嘉善(가선) 에 오르고 다음 해 嘉善大夫朔州府使兼兵馬僉節制使 海豊君(가선대부삭주부사겸병마첨절제사 해풍군) 에 봉해졌다. 1532년(중종 27) 順天府使(순천부사) 재임 중 1534년(중종 29) 병으로 관사에서 壽(수)65세로 卒(졸)하였다. 그의 부음에 중종은 예조좌랑 金璣(김기)에게 제문을 보내어 애도를 표하였다.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이라는 주소만 가지고 신도비를 찾아 나서는 무모한(?) 답사가 시작됩니다. 맑은 날씨라는 예보와는 달리 가랑비가 내리는가 싶더니 해풍군 이함의 묘소를 찾았을 때쯤에는 제법 굵은 빗줄기로 변하여 답사일행을 비에 젖은 생쥐가 따로 없습니다.

이함의 묘소는 배위 정부인 밀양박씨와의 원형 쌍분으로, 각 봉분은 용미와 활개를 갖추고 있으며, 묘역에는 봉분 중앙에 묘표, 혼유석, 상석, 4각향로석, 장명등이 있고, 상석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 등의 석물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버지 이함의 묘소 아래에는 아들인 덕안군(德安君) 이인상(李麟祥)의 묘소가 있는데 그 묘표에는 배증정부인안동김씨(配贈貞夫人安東金氏)라 쓰여 있어 일행의 눈길을 끕니다. 미리 준비해간 자료에는 안동김씨 판관 김홍(金洪)의 따님이라 하는데 김홍(金洪)이란 분이 누구신지....

sungnam001.jpg

 ▲  위는 해풍군 이함의 묘소. 아래는 해풍군의 아들인 덕안군 이인상의 묘소

sungnam002.jpg

 ▲  해풍군 이함의 묘표

sungnam003.jpg

▲  덕안군 이인상의 묘표. 배증정부인안동김씨지묘(配贈貞夫人安東金氏之墓)

   기록에 의하면 신도비는 묘소에서 4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하는데 빗줄기에 쫓겨 하산 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산하는 길에 항상 그러했듯이 보이지 않는 힘이 일행의 시선을 잡아끕니다.

그곳 수풀 속에 동고공(東皐公)께서 쓰신 신도비가 서있습니다.

sungnam004.jpg

sungnam005.jpg

sungnam006.jpg


 ▲  해풍군 이함 신도비

sungnam007.jpg

 ▲  신도비 전면

sungnam008.jpg

▲  신도비 뒷면

sungnam009.jpg

 ▲  동고공(東皐公)의 필적인 전액 및 신도비명

비는 비좌와 일석(一石)의 비신 및 반월 모양의 관석 형태이다. 비신은 백색 대리석제로 비문은 앞면에만 있다. 비신 상부의 전서(篆書)는 “海豊君李公碑銘(해풍군이공비명)”이며, 비문은 조인규(趙仁奎)가 짓고, 김노(金魯)가 썼다. 관석은 앞면에 화려한 운문을 배경으로 상부 중앙에 높이 18cm, 너비 22cm의 일문(日文)이 조각되고, 뒷면 역시 운문에 높이17cm, 너비 6cm인 초승달 모양의 월문(月文)이 조각되어 있다. 비의 건립연대는 1538년(중종 33)이다. 현재 비신은 앞으로 5° 가량 기울어져 있다. 비의 총높이는 225cm로, 비좌 높이 28cm, 너비 96cm, 두께 59cm, 비신 높이 137cm, 너비 67cm, 두께 17cm, 옥개석 높이 60cm, 너비 74cm, 두께 23cm이다.

 

신도비는 마멸로 인하여 훼손된 상태이며 손을 대면 돌가루가 떨어질 정도입니다. 안타깝습니다.  더 늦기 전에 탁본이라도 해놓아야 할 것 같습니다.

 

<函 墓(이함 묘) 및 神道碑(신도비)관련 자료 소개> (2005. 5. 26. 영윤(문) 제공)


46-1.jpg
수정구 고등동 산13
 
mark.gif 소재지 : 수정구 고등동 산13(지도38 참조)
mark.gif 시 대 : 조선시대
mark.gif 종 류 : 墓(묘)
mark.gif 내 용
이함(1470∼1534)은 조선초기의 무신. 字(자)는 子實(자실). 본관은 德水(덕수) . 이의번의 5子(자)중 3子(자)이다. 공은 나면서 재주와 슬기가 남보다 달랐다. 장성하면서 얼굴 생김새가 魁偉(괴위)하고 氣局(기괴)과 도량이 깊고 침착하였다.

용맹스러운 힘은 남보다 뛰어났고 활쏘는 재주가 극히 절묘하여 20세에 武才(무재)로 뽑혀서 궁중을 숙직하며 지키는 장교가 되었다. 1491년(성종 22) 오랑캐가 北邊(북변)을 침범하자 左議政都元帥 許琮(좌의정도원수 허종) 의 휘하장교로 종군하여 정벌하는데 공이 있었다. 回軍(회군)후 그 공으로 修義副尉(수의부위) 와 定略將軍(정략장군) 에 제수되었고, 1505년(연산군 11) 建功將軍(건공장군) 에 올랐다. 中宗反正(중종반정) (1506)시 공을 세워 靖國功臣(정국공신) 이 되고 이 일로 2계급 특진하여 折衝將軍절충장군) 에 제수되었다. 1507년(중종 2) 嘉善(가선) 에 오르고 다음 해 嘉善大夫朔州府使兼兵馬僉節制使 海豊君(가선대부삭주부사겸병마첨절제사 해풍군) 에 봉해졌다. 이후로 네 고을을 역임하였는데 모두 선정을 베풀어서 명성과 치적이 높았다. 1529년(중종 24) 聖節使(성절사) 로 明(명)에 다녀왔으며, 귀국 후에는 海豊君 奉朝賀(해풍군 봉조하) 로 임명되었다. 1532년(중종 27) 順天府使(순천부사) 재임 중 1534년(중종 29) 병으로 관사에서 壽(수)65세로 卒(졸)하였다. 그의 부음에 중종은 예조좌랑 金璣(김기)에게 제문을 보내어 애도를 표하였다.
46-2.jpg
이함 신도비
46-3.jpg
이함 신도비 관석

묘역은 고등동 등자리마을 父(부)의번의 묘 남쪽 구릉 중턱에 北東向(북동향)하며 配貞夫人密陽朴氏(배정부인밀양박씨) 와의 원형 雙墳(쌍분)이다. 마을을 한 눈에 내려다보는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마을내로 진입하면 父(부)의번의 묘역과 함께 멀리서도 그 위치가 쉽게 확인된다. 묘역 바로 아래에는 장남 麟祥(인상)과 配(배)의 원형쌍분 2기가 안장되어 있다.
각 봉분은 용미와 활개를 갖추고 있으며 봉분 높이 150㎝, 직경 480㎝이다.

묘역에는 봉분 중앙에 묘표·상석·4각 향로석·장명등과 상석 좌우에 망주석·문인석 등의 석물을 갖추고 있으며, 상석은 1994년 3월 새로 마련한 것이다. 한편 1994년 3월 20일, 해풍군 묘역을 사초하던 중 床石(상석)밑에서 灰白磁 陶板(회백자 도판) 으로 된 11장의 誌石(지석) 이 출토되었다. 크기는 17.5×23×1.5㎝ 정도로 글씨는 음각으로 정교하였고 색조도 청자와 같이 아름다웠다고 한다. 현재 이 지석은 덕수이씨 문중에서 보관하고 있다.
46-4.jpg
이함 신도비 관석

봉분 중앙의 장명등은 높이 164㎝로 간주석에 5각형태의 화창이 4면에 있으며, 상부 4모지붕을 갖추고 있다. 망주석은 좌우 높이 150㎝로 작지만 굵고 우람하다. 문인석은 按頭(안두)로 좌우 높이 145㎝에 얼굴부분 54㎝인 3등신의 신체비율이다. 얼굴에서 씩씩한 기상이 느껴지며 엄지를 치켜들어 笏을 잡고 있다. 관복은 길게 발목까지 늘어뜨리고 있다.
墓表(묘표)는 비좌와 비신 월두형이다. 비좌는 백색화강암제로 상부에 복련문이 조식되어 있다. 비신은 백색대리석제로 비문은 前後 2面(전후 2면)에 있다. 前面(전면)에는 종3열로 ‘秉忠○義靖國功臣嘉善大夫海豊君贈議政府左參贊李公?之墓 貞夫人密陽朴氏?左(병충○의정국공신가선대부해풍군증의정부좌참찬이공함지묘 정부인밀양박씨부좌) ’의 비문이 있다. 후면에는 건립연기와 書者(서자)가 새겨져 있다. 건립연기는 崇禎紀元後再壬子(숭정기원후재임자) (1732, 영조 8) 8月(월)日(일) 改立(개립)이며, 書者(서자)는 6대손 原任 左議政○(원임 좌의정○) 이다.
크기는 비좌 높이 10㎝·너비 84㎝·두께 43㎝, 비신 높이 114㎝·너비 上(상)51㎝·下(하)50㎝·두께 20㎝이며 總高(총고)124㎝이다.
神道碑(신도비)는 묘역에서 서쪽으로 400∼500m 떨어진 등산로변에 東向(동향)하여 있는데, 바로 아래는 배밭이다. 비는 비좌와 一石(일석)의 비신 및 반월 형태의 관석에 화려한 운문과 일월문을 조식한 유례가 드문 특이한 형태이다. 비좌는 백색화강암제로 아무런 무늬가 없다. 비신은 백색대리석제로 비문은 前面에만 있다. 비신 상부의 篆書(전서)와 비문은 일부 마모로 뚜렷하지 않다. 비문은 趙仁奎(조인규)가 撰(찬)하였으며, 書者(서자)와 篆者(전자)는 마모로 인해 불명하다. 관석은 前面(전면)에 화려한 운문과 상부 중앙에 높이 18㎝, 너비 22㎝의 日紋(일문)이 뚜렷하다. 반면 後面(후면)은 화려한 운문에 높이 17㎝, 너비 6㎝인 초승달 모양의 月紋(월문)이 조식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각양식은 율동 (한사개)묘역의 神道碑(신도비)와 더불어 성남 지역에서는 유례가 드물다. 다만 아쉽게도 신도비는 수풀잡목 속에 방치되어 관리가 안되고 있으며, 현재 비신은 앞으로 5°가량 기울어져 있다.
크기는 비좌 높이 28㎝·너비 96㎝·두께 59㎝, 비신 높이 137㎝·너비 67㎝·두께 17㎝, 관석 높이 60㎝·너비 74㎝·두께 23㎝이며 總高(총고)225㎝이다.


mark.gif
지도번호 : 둔전 190-3
mark.gif 참고문헌
德水李氏 孝貞公派宗會(덕수이씨 효정공파종회) , 『眉江 李景曾 行狀 및 神道碑文-附 그 直系一門의 墓碑銘集(미강 이경증 행장 및 신도비문-부 그 직계일문의 묘비명집) 』, 1994.

 

<이함(李函) 신도비문 및 탁본> (2005. 6. 4. 발용(군)제공


동고공(東皐公)께서 서(書)하신 이함(李函)의 신도비의 탁본이 『성남금석문대관』(2003년 성남문화원 발간)에 사진이 실려 있습니다.

<原文>

有明朝鮮國秉忠奮義靖國功臣嘉善大夫奉朝賀贈正憲大夫議政府左參贊兼知義禁府事海豊君 李公神道碑銘幷序
通政大夫刑曹參議知製敎 趙仁奎 撰,
□□□□承仕郞兼春秋館記事官 金魯 書.
 <後略>


<번역문>

유명 조선국 병춘충분의정국공신 가선대부 봉조하 증자헌대부 의정부좌참찬 겸 지의금부사 해풍군 이공 신도비명 병서
통정대부 형조참의 지제교 조인규는 짓고,
□□□□승사랑 겸 춘추관기사관 김노는 글을 씀.
<후략>

leeham.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