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문과방목 ③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1-07-11 22:38 조회2,287회 댓글0건본문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http://www.koreandb.net/)의 조선조방목에 나와있는 [안동김씨의 입격자들] 중에서 우리 구안동김씨 입격자를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습니다.
⊙ 장원급제(1등) 하신 분은 22분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서) 김경(金憬) 경심(景心) 정조14(경술, 1790) 춘당대시(春塘臺試) 甲科1
★문) 김계우(金季友) 세종18(병진, 1436) 친시(親試) 同進士1
★안) 김련(金璉) 여기(汝器) 광해군13(신유, 1621) 알성시(謁聖試) 丙科1
★문) 김맹헌(金孟獻) 세종8(병오, 1426) 식년시(式年試) 同進士1
★군) 김상룡(金相龍) 고종3(병인, 1866) 알성시(謁聖試) 丙科1
★제) 김소(金素) 지백(知白) 인조13(을해, 1635) 알성시(謁聖試) 丙科1
★서) 김수(金<수0x6759>) 자앙(子<앙0x6935>) 몽촌(夢村) 선조6(계유, 1573) 알성시(謁聖試) 丙科1
★전) 김수녕(金壽寧) 단종1(계유, 1453) 식년시(式年試) 乙科1
★서) 김수신(金秀臣) 사길(士吉) 정조20(병진, 1796) 별시(別試) 甲科1
★제) 김시헌(金時獻) 자징(子徵) 선조21(무자, 1588) 식년시(式年試) 甲科1
★익) 김언심(金彦沈) 정중(靜仲) 명종3(무신, 1548) 별시(別試) 乙科1
★익) 김엄(金淹) 희문(希文) 연산군10(갑자, 1504) 별시(別試) 丁科1
★부) 김영섭(金永燮) 화중(和仲) 영조23(정묘, 1747) 식년시(式年試) 丙科1
★익) 김이경(金以鏡) 군회(君晦) 인조14(병자, 1636) 별시(別試) 丙科1
★전) 김익정(金益精) 태조5(병자, 1396) 식년시(式年試) 乙科1
★부) 김인상(金麟祥) 상지(祥之) 중종8(계유, 1513) 식년시(式年試) 丙科1
★안) 김적(金適) 선오(善吾) 광해군2(경술, 1610) 별시(別試) 乙科1
★군) 김정호(金正浩) 고종4(정묘, 1867) 식년시(式年試) 甲科1
★안) 김주(金澍) 응림(應霖) 우암(寓庵) 중종34(기해, 1539) 별시(別試) 甲科1
★서) 김홍도(金弘度) 중원(重遠) 남봉(南峯) 명종3(무신, 1548) 별시(別試) 甲科1
★안) 김환(金丸) 세종24(임술, 1442) 친시(親試) 丙科1
★익) 김흠(金欽) 거경(居敬) 선조16(계미, 1583) 별시(別試) 丙科1
⊙ 최연소로 합격하신 분은
18세에 되신 분이 1분 (김수녕), 21세에 되신 분이 3분(김수동, 김치, 김경) 입니다.
★전) 김수녕(金壽寧) 단종1(계유, 1453) 식년시(式年試) 乙科1
★익) 김수동(金壽童) 미수(眉<0x3CE4>) 성종8(정유, 1477) 춘당대시(春塘臺試) 丙科18
★제) 김치(金緻) 사정(士精) 남봉(南峰) 선조30(정유, 1597) 알성시(謁聖試) 丙科2
★서) 김경(金憬) 경심(景心) 정조14(경술, 1790) 춘당대시(春塘臺試) 甲科1
⊙ 최고령으로 합격하신 분은
69세에 되신 분이 1분(김명저), 59세에 되신 분이 1분(김득신), 57세에 되신 분이 1분(김항광)입니다.
★제) 김명저(金明著) 정조10(병오, 1786) 식년시(式年試) 丙科9
★제) 김득신(金得臣) 자공(子公) 백곡(栢谷) 현종3(임인, 1662) 증광시(增廣試) 丙科19
★제) 김항광(金恒光) 영조49(계사, 1773) 증광시(增廣試) 丙科44
⊙ 여러대에 계속 급제하신 분은
(서운관정공파) 김희수-김로-김홍도-김첨-김성립-김진은 6대째
(익원공파) 김질-김성동-김언-김억령은 4대째
(서운관정공파) 김수신-김유헌-김회명
(제학공파) 김충갑-김시회-김경은 3대째 계속 급제하였습니다.
⊙ 형제분이 급제하신 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군사공파) 김칠양- 김진, 김돈
(도평의공파) 김남응- 김종발, 김종경
(문온공파) 김명리- 김맹헌, 김계우
(부사공파) 김중화- 김유, 김호
(서운관정공파) 김홍도- 김첨, 김수
(안렴사공파) 김낙서- 김욱, 김언
(익원공파) 김종숙- 김질, 김작
(전서공파) 김휴- 김익정, 김익렴
(제학공파) 김석- 김충갑, 김제갑
(제학공파) 김시회- 김경, 김치
(익원공파) 김해- 김덕룡, 김덕곤
( ) 김계종- 김명원, 김진원
(부사공파) 김진- 김인상, 김인명
⊙ 조선조 무과방목
우리 안동김씨 족보의 등과방목에는 김시민, 김응하 등 무과에 급제하신 분이 184분이 있는데 현재 인터넷이나 자료에서 무과방목이 게재된 것이 없어 확인할 수 없습니다.
아마도 조선조에는 문신우대 풍조로 말미암아 무신들은 낮추어 보았고, 또한 무신들은 전쟁터에서 젊은 나이에 많이 죽게 되는 관계로 무과방목 서류가 많이 전해지지 않아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보았습니다.
⊙ 조선조 사마방목
현재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되는 사마방목은 없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이나 서울대학교 도서관, 청주대학교 도서관 등 대형도서관에 사마방목CD를 비치하여 구내에서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몇해전에 국립중앙도서관 5층에 있는 전산정보실에서 우리 구안동김씨의 사마방목을 복사를 시도한 적이 있으나 신안동김씨와 같이 "안동김씨"로 게재되어 있어 누가 구안동인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고 자료가 워낙 방대하여 중단한 적이 있습니다.
인근에 사시는 종친께서 대종회 관계자 등과 상의해서 복사를 해서 본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고려방목
고려시대에도 우리 구안동김씨는 김민성, 김효공, 김효인 할아버지를 필두로 많은 분들이 과거에 합격하였으나 별도로 정리된 것은 없습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국의 족보] 홈페이지(http://www.gamoon.co.kr/) 에서 고려방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완료되어 검색이 가능해지면 본 게시판에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