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한국 금석문 종합 영상 정보 시스템>내의 내용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0-02-04 09:54 조회1,690회 댓글0건

본문

 

한국 금석문 종합 영상 정보 시스템(http://gsm.nricp.go.kr) 내에 있는 소개 내용입니다.

 
07.gif 김수동신도비(金壽童神道碑) 08.gif
  copy_05.gif
some_t01.gif
now_image.gif
 
some_t04.gif
시대 some_t06.gif
조선
연대 some_t06.gif
1517년(중종12년)
유형/재질 some_t06.gif
비문 / 돌
문화재지정 some_t06.gif
비지정
크기 some_t06.gif
출토지 some_t06.gif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소재지 some_t06.gif
(일본)경도대학(京都大學)
서체 some_t06.gif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some_t06.gif
  신용개(申用漑) / 김희수(金希壽) / 미상
some_t05.gif
some_t03.gif
list_botton.gif
3th_menu_01.gif 3th_menu_02.gif 3th_menu_03.gif 3th_menu_04.gif
point.gif list01.gif more.gif
1517년(중종 12) 동생 수경(壽卿)에 의해 세워진 김수동(金壽童)의 신도비이다. 찬자는 우의정·좌의정 등을 역임한 조선 전기의 문신 신용개(1463~1519)이며, 서자는 해서체를 잘 썼던 조선 중기의 문신 김희수(1475~1527)이다.
김수동(1457~1512)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1474년(성종 5)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477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를 거쳐 사헌부장령에 올랐고, 연산군이 즉위하자 홍문관으로 다시 자리를 옮겨 전한(典翰)·직제학·부제학을 역임하였다. 1497년(연산군 3)에는 승정원동부승지를 제수받고, 이듬해 좌승지를 거쳐, 그해 여름에 외직으로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예조참판이 되었다. 다시 이듬해에 성절사로 명나라에 가서『성학동심법(聖學心法)』4권을 구하여 왔다. 그 뒤 경상도관찰사·경기관찰사·형조판서겸지춘추관사·홍문관제학 등의 요직을 두루 거치고, 1504년(연산군 10) 47세 때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이해 갑자사화 때 그는 폐비윤씨의 회릉(懷陵) 추숭을 주장, 시행함으로써 연산군의 신임을 받아 정헌대부(正憲大夫)에 가자(加資)되었다. 연산군에게 충실하였다고 사림으로부터 비난을 받았으나, 1510년(중종 5) 영의정에 올라, 그때 일어난 왜변의 진압을 총지휘하였다. 연산군 때에는 많은 문신들의 화를 면하게 하였다. 품성이 단정하였으며, 청탁을 모두 거절하고 검약한 생활을 즐겼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비문의 초반부에는 가계도와 어려서부터 재주가 출중하였다는 내용이 있으며, 중반부에는 승문원정자(兼承文院正字)로 있을 때 예서(隷書)를 잘 쓰고 중국에 바치는 표문(表文)과 주문(奏文)을 잘 썼으므로 동료들이 모두 김수동을 제일인자로 추대했다는 내용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후반부에는 문과전시(文科殿試)를 고시하여 여러 관리들을 선발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