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 금수정 주위 암각문(琴臺 尊巖 瓊島) 書者는?

페이지 정보

김영윤 작성일10-02-08 23:53 조회2,418회 댓글4건

본문

유교넷>영남사림일기>서행정력(西行程曆)>이월 계사 십오일

..................................전략....................................

▣ 071
橋。訪金都事春卿丈惕若齋后。屋宇華暢。不似鄊士模樣。叩之則曰。此地舊為靑烏所贊。閔氏欲以一縣官博之。不得已而與之。既作之室。無意償官。及亂作而棄之。故復来居之云。噫。身為宰相。不能使之無亂。而乃反作避亂之計耶。此一事也。而招亂之道備焉。縣官。王爵也。用以博私家基址。一也。私門華暢。擬扵公室。二也。旣欲與之。旋不踐言。三也。向使閔氏恪勤奉上。莊敬臨下。則亂既無自而生。而君民共享泰平之福矣。今不能然。而乃扵深山窮谷之中。逐處只作避亂之室。其為計亦踈奏。登金水亭。亭舊為金氏別業。有孽子胤福。不能守。則以 

▣ 072
亭傳之楊蓬萊士彦。其后蓬萊復還之金家云。尭舜以天下與人。此固守天下之達權。余嘗以為亭榭之傳。必得其主。然后可以久遠。嘗觀世之人。父兄辛勤作業而或不免子孫酒食之料。若金楊両家者。可以為法矣。金水亭三字。楊蓬萊筆也。記重修者。蔡相濟恭也。亭前無寸階。而金水之江直衝其下。亦一竒觀也。曰洞天石門。曰浮雲壁者。韓石峯筆也。曰囬瀾石者。明儒許國筆也。曰白雲樓者。玉洞李溆筆也。曰睿楷洞天。曰鶴汀。曰白雲溪。曰喚仙䑓。曰琴䑓者。不知誰人所書也。亭西三里。有巨石起江邉。其背凹然。容受數斗。蓬萊嘗以酒實其中而飮

▣ 073

之。故名曰尊喦。尊喦二字。亦蓬萊筆也。又刻瓊島者。金上舍都事。曾祖名某筆也。其東。又刻三五七言六句曰。綠綺琴。伯牙心。鐘子是知音。一皷復一吟。冷冷虗籟起遥岑。江月娟娟江水深。字爛㡬不卞。蓬萊作仍筆者也。又刻一絶詩曰。金水銀沙一樣平。峽雲江雨白鷗明。尋真誤入桃源路。莫遣漁舟出洞行。漢隂七嵗時所作云。亦永平八景之一也。都事翁家甚寒。頗有韻致。留客甚勤曰。吾家有二十萬貫。公䓁無吾貧也。因問何謂也。曰。江山十萬貫也。屋子十萬貫也。余因戯之曰。如此則丈人身上官啣。又是十萬貫也。由是言之。三十萬貫也。遂相笑而別。中遇雨。投涧月李

 

金上舍都事=>榮國(相元)->문온공 17대손(榮行)(1833-1918) 척약재 학음집 중간

曾祖=>宅仁(1753-1825)->문온공 14대손 榮國의 증조 <택인(증조)-의우(조)-정호(부)-영국>

댓글목록

김영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영윤
작성일

  앞의 보만재 서명응(1716-1787)의 동유산수기 내용(1751년 당시 이미 씌여져 있음)으로 보아
又刻瓊島者 金上舍都事。曾祖(宅仁1753-1825)名某筆也은 성립할수 없고 착오인듯 합니다

솔내영환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솔내영환
작성일

  원본을 윤식씨 도움으로 확인 할 수 있엇습니다.
又刻瓊島者金上舍-(都事曾祖名某)-筆也  (괄호안)글씨는 작은 글씨이므로...  [경도는 김상사(도사-김상원-의 증조 모씨)의 글씨이다.]라고 해석해야 맞을 듯 합니다.

김영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영윤
작성일

  서명응(1716-1787)의 東遊山水記 외 많은 자료에서 적어도 金上舍(相元(1833-1918)생년 이전에 瓊島의 刻字를 확인한 기록이 발견됩니다

솔내영환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솔내영환
작성일

  글의 문맥으로 보아 여기서 말하는 上舍는 도사공(김상원)아니라 도사공의증조를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만
도사공의 증조는 김택인공으로 상사(생원시에 합격한 사람)에 등제되셨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사마방목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방목에 등재되지 않은 분도 많으니 단정하기는 어렵네요.
김택인공의 글씨가 맞지 않느냐와는 별도로 글의 문맥이 그렇다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