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 댓글에 대한 작성자의 답변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1-05-29 20:37 조회1,509회 댓글1건

본문

답변자의 말과 글

○구(俱, 具) 자에 관한 답변
먼저, 이 같은 질문을 예상하지 못하였습니다. 구(俱)와 구(具)는 갖춤이라는 뜻에서 동의자로 나란히 쓸 수 있다. 하지만 엄격한 의미에서는 부모구존(父母俱存-부모님 모두 계시는가?)이라는 질문에 관한 답이어야 하기 때문에 마땅히 그 답변은 구(俱-모두, 다, 함께 - 갖추고)가 되어야 옳다고 생각하여 본문의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또한 구존(俱存)의 반대 의미(반의어)로는 구몰(俱歿, 俱沒), 구졸(俱卒)이 옳기 때문에 그러한 것입니다. 그러나 구경하(俱慶下)를 구경하(具慶下)라 하는 게 잘못은 아닙니다.

○재, 당(한글로 입력합니다)에 대한 답변
먼저, 질문에서 지적하신 것처럼 구경(俱慶)당과 구경(具慶)당을 혼용하여 쓴 기록은 잘못될 게 없습니다. 하지만 앞서 살핀 것처럼 구경(俱慶)당으로 쓰는 게 옳습니다. 구경당의 구경은 당호로 "구경당 어머니!"라고 하면 이미 구경당에 거처하시는 이(안주인, 여자 주인)를 말하는 것이며, 같은 용례로 "취선당 마마"라고 할 때, 이미 취선당의 여자 주인을 호칭하므로 "취선당에 거주하는 (장희빈, 혹은 장숙원 등 아무개는 생략) 마마"니 장(숙원, 희빈)녀(낮춤)를 지칭하는 겁니다.

○건축물의 호칭 - 다양한 호칭(명명)을 두서없이 간략부기 하겠습니다(괄호 안은 쓰임새)
전(편전, 대전, 숭의전, 대웅전, 대성전, 개똥이 전하, 집현전)
각(김태식 대통령 각하, 규장각, 삼성각, 재각, 신도비각)
합(소원이 합하)
청(배신청, 대청, 전사청, 통계청)
당(취선당 마마, 포천 구경당 어머니, 명륜당)
헌(동헌, 오죽헌)
무(동무, 서무)
댁(택, 주인댁, 반야월 댁, 안성 댁, 저택, 고택, 택호)
옥(가옥, 합천옥, 푸주옥, 전주옥, 옥호)
실(거실, 재실, 유사실, 첩실, 소실, 측실, 측실-변소)
루(영호루, 함벽루)
대(상락대, 경포대, 의상대)
정(고산정, 금수정, 초간정)
방(집방, 승방 외 앵계방, 방방곡곡 등의 행정구역 칭)

○제, 제사, 사당, 재실, 사우의 용어
사(사당, 사우, 충렬사, 충민사)
재(제는 오용, 음수재, 상락재, 書재, 동재. 西재)
당(사당, 家묘, 성황당)
묘(묘우, 묘당, 종묘, 태묘, 가묘)

○신주를 모신 사당은 "**사"를 가장 많이 쓰고 있으며, 흔히 제례를 준비하거나 유사 외 참례자 등이 머무는(기숙) 곳은 "**재"라 하나, 사당과 재실이 별도로 분리되지 않은 경우, 즉 단독건물일 때는 문중 종회를 통해 상의 후 결정하시면 좋겠지요.

댓글목록

김재영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재영
작성일

  감사합니다.  잘 알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