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여주군지 제출자료---화산군 연보8 (사후)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4-11-18 10:15 조회1,236회 댓글0건

본문


 

경진, 선조 13년(1580)

? 윤4월 23일, 정부인(貞夫人) 전주이씨가 졸하였다.

? 8월 17일, 정부인을 공의 묘에 합장하였다.


계미, 선조 16년(1583)

? 5월, 비갈(碑碣)을 세웠다.


기축, 선조 22년(1589)

? 11월 22일, 성절사(聖節使) 윤근수(尹根壽)가 ?대명회전(大明會典)? 전질(全帙)과 칙서(勅書)를 받아가지고 돌아오자, 상이 홍화문(弘化門) 밖에 나가 맞아 명정전(明政殿)에 임어하여 하례를 받았다. -----


경인, 선조 23년(1590)

? 8월 1일, 수충익모 광국공신(輸忠翼謨光國功臣) 화산군(花山君)에 사후 책봉되었다. 책훈(策勳)하는 날에 교서가 내려왔다. -----

그리고 이어서, 사당에서 신주를 옮기지 말고 늘 제사하도록 명하였다. 공의 장자 정남(正男)은 일찍 죽었는데, 증 형조좌랑에 추증하였다. 또 차남 후남(厚男)은 광릉참봉(光陵參奉)에 배수되었다.

? 공의 부친에게 순충적덕 보조공신(純忠積德補祚功臣) 정헌대부(正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겸 지경연의금부사 오위도총부도총관 홍문관대제학 지춘추성균관사(兼知經筵義禁府事 五衛都摠府都摠管 弘文館大提學 知春秋成均館事) 안원군(安原君)을 추증하였다.



기유, 정조 13년(1789)

? 4월, 문집이 이루어졌다. 옛 문집은 원래 7권이었다고 하지만, 임진병자의 병란에 없어졌다. 이때에 이르러 6세손 래(■)1)와 그 종질 득현(得顯)2)이 집안에 소장된 것과 공이 관찰사로 나갔을 때 군현의 정자나 숙소에서 제영(題詠)한 것을 수집하여 1권으로 합하여, 목판으로 새겼다. 판목(板木)은 득현의 집에 보관하였다.


경술, 정조 14년(1790)

? 4월 11일, 태상시(太常寺)가 시호를 의논하였다. 시장(諡狀)은 행 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 이복원(李福源)이 지었다.

? 3망을 올렸는데, 문간(文簡), 문단(文端), 정민(貞敏)이었다. 상(여기서는 정조)이 문단에 비점을 쳐서 내려 보냈다. 시법(諡法)에 따르면 박학능문(博學能文)을 문(文)이라 하고 수례집의(守禮執義)를 단(端)이라 한다.


계축, 정조 17년(1793)

? 봄, 연시연(延諡宴)을 행하였다.



1884년 이전

<김주 신도비명>

그렇거늘 그 후손인 진사 호윤(好胤) 뒷사람이 혹 공의 훈적(勳績)과 덕업(德業)이 이와 같이 탁월함을 잘 모르지 않을까 염려하여, 다시 목판으로 새기려고 하면서 묘지명을 이 돈우(敦宇)에게 부탁하였다. 아마 만년에 서로 사귀어 우의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비록 늙고 글을 하지 못하지만 의리상 사양할 수가 없기에, 마침내 명묘지장(明廟誌狀), ?국조보감(國朝寶鑑)?, 및 야사(野史)에 실려 있는 내용을 엮어서 기록한다.



갑술(1934)

? 봄, 후손 문연(文演)이 시문과 공사간의 유적(遺蹟)을 수집하여 문집 4권 연보 2권을 엮었다.




1) 김래 : ?안동김씨세보? 을해보에 의하면, 임진(조선 숙종 38, 1712)년 생이다. 자는 이주(貽周)이다. 부인은 청주 한씨이다. 


 

2) 김래 : ?안동김씨세보? 을해보에 의하면, 영조 갑인(영조 10, 1734)년에 나서 병오(정조 10, 1790)년에 몰하였다. 부인은 능성 구씨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