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 숭정기원후(崇頂紀元後)라는 말은.....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4-11-16 11:30 조회1,294회 댓글0건

본문

 

 

전에 숭정기원후(崇頂紀元後) 에 대해서

디지털한국학에 문의하여 받은 답변을

소개했던 내용입니다.

참고로 보아주시기를.....

 

 

 

김주회  (2003-04-19 21:04:00, Hit : 51, Vote : 0)  
Re:숭정기원후(崇頂紀元後)라는 말은..... 

예전에 숭정기원후(崇頂紀元後) 에 대해서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에 문의하여 받은 답변입니다. 참고로 소개해 봅니다.

[답변] 숭정기원후(崇頂紀元後)라는 말은.....

숭정(崇頂)은 중국 명나라 마지막 황제인 의종(毅宗) 장렬제(莊烈帝) 때의 연호로 서기로는 1628년에서 1644년까지입니다.

숭정기원후삼년(崇頂紀元後三年)은 간지로 경오(庚午)년이며 서기로는 1630년(인조 08)이 됩니다.
보통 숭정기원후(崇頂紀元後)라는 말이 들어가면 숭정연간(서기 1628년에서 1644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그 후대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질문자께서 숭정기원후삼년이라고 하셨는데 아마 "숭정기원후삼○○"이라고 ○○의 간지를 빠뜨리고 기록하셨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가령 어떤 고서나 고문서에 "숭정기원후삼갑자(崇禎紀元後三甲子)"라는 문구가 있을때를 예를 들어봅시다.
"숭정기원후삼갑자(崇禎紀元後三甲子)" 숭정3년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숭정(崇禎)의 연호를 쓴 때부터 계산하여 갑자년이 3번째로 돌아온 해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숭정연호를 시작하여 첫 번째 갑자년을 찾고, 60년 후에 돌아온 두 번째 갑자년, 또 60년후인 세 번째 갑자년을 찾아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찾아가면, 서기로 1804년(순조 04)의 기록임을 알수 있습니다. "숭정삼갑자(崇禎三甲子)"라는 말도 같은 내용의 뜻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