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김씨 조선사마방목 11---顯宗조2 (1659 - 1674)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4-12-11 19:35 조회1,216회 댓글0건본문
--------------------------------------------------------------------------
안렴-?화산) 김휴(金) / 顯宗 04 式年 生員
【시험년도】 현종(顯宗) 04 (1663) 식년(式年) 생원(生員)
【합격등위】 3등 0048
【본인성명】 김휴(金)
【본인 자】 명세(鳴世)
【본인생년】 병자(丙子) 1636
【본인본관】 안동(安東) 김(金)
【본인거주】 보령(保寧)
【본인구존】 자시하(慈侍下)
【본인전력】 유학(幼學)
【부친성명】 김석기(金碩基)
【부친관직】 /학생(學生)
【안항(제)】 김영(金鍈)
【시험관 명단】顯宗 04 (1663) 式年
【시험관】김수항(金壽恒) 대제학(大提學), 이시매(李時) 형조참판(刑曹參判), 허적(許積) 형조판서(刑曹判書), 박장원(朴長遠) 이조참판(吏曹參判), 남구만(南九萬) 홍문관응교(弘文館應敎), 민유중(閔維重) 이조정랑(吏曹正郞), 정절(鄭)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이유상(李有相)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오시수(吳始壽) 이조좌랑(吏曹佐郞), 곽세익(郭世翼)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이숙(李) 이조좌랑(吏曹佐郞), 원격(元格)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시험장소】한성부(漢城府), 동학(東學)
--------------------------------------------------------------------------
안렴-논산) 김세필(金世弼) / 顯宗 04 式年 進士
【시험년도】 현종(顯宗) 04 (1663) 식년(式年) 진사(進士)
【합격등위】 2등 0030
【본인성명】 김세필(金世弼)
【본인 자】 중해(仲諧)
【본인생년】 신미(辛未) 1631
【본인본관】 안동(安東) 김(金)
【본인거주】 경(京)
【본인구존】 자시하(慈侍下)
【본인전력】 유학(幼學)
【부친성명】 김언(金)
【부친품계】 통훈대부(通訓大夫)
【부친관직】 성천(成川)/행도호부사(行都護府使)
【안항(형)】 김세홍(金世弘), 김세보(金世輔)
【안항(제)】 김세익(金世翊)
【용어사전】도호부사(都護府使)
고려 · 조선 시대 지방행정구역의 하나인 도호부에 파견되었던 지방 관직. 고려 시대에는 4품 이상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종3품이었다.
--------------------------------------------------------------------------
익원) 김일성(金日省) / 顯宗 07 式年 生員
【시험년도】 현종(顯宗) 07 (1666) 식년(式年) 생원(生員)
【합격등위】 1등 0003
【본인성명】 김일성(金日省)
【본인 자】 척연(然)
【본인생년】 임오(壬午) 1642
【본인본관】 안동(安東) 김(金)
【본인거주】 이산(尼山)
【본인구존】 구경하(具慶下)
【본인문과】 을묘(乙卯) 1675 식(式)
【본인전력】 유학(幼學)
【부친성명】 김적(金績)
【부친관직】 충의위(忠義衛) /
【안항(제)】 김일취(金日就), 김일진(金日進)
--------------------------------------------------------------------------
제학) 김구만(金龜萬) / 顯宗 07 式年 生員
【시험년도】 현종(顯宗) 07 (1666) 식년(式年) 생원(生員)
【합격등위】 1등 0004
【본인성명】 김구만(金龜萬)
【본인 자】 원서(元瑞)
【본인생년】 임신(壬申) 1632
【본인본관】 안동(安東) 김(金)
【본인거주】 경(京)
【본인구존】 구경하(具慶下)
【본인문과】 무오(戊午) 1678 증(增)
【본인전력】 유학(幼學)
【본인관직】 /승지(承旨)
【부친성명】 김소(金素)
【부친품계】 절충장군(折衝將軍)
【부친관직】 충좌위(忠佐衛) /행부사직(行副司直)
--------------------------------------------------------------------------
익원) 김정아(金正雅) / 顯宗 10 式年 生員
【시험년도】 현종(顯宗) 10 (1669) 식년(式年) 생원(生員)
【합격등위】 3등 0067
【본인성명】 김정아(金正雅)
【본인 자】 자인(子寅)
【본인생년】 신사(辛巳) 1641
【본인본관】 안동(安東) 김(金)
【본인거주】 아산(牙山)
【본인구존】 영감하(永感下)
【본인전력】 유학(幼學)
【부친성명】 김주(金周)
【부친품계】 통훈대부(通訓大夫)
【부친관직】 공조(工曹) /행좌랑(行佐郞)
【안항(형)】 김정표(金正彪), 김정휘(金正徽), 김정의(金正誼), 김정하(金正夏), 김정회(金正會)
【용어사전】공조(工曹)
<1> 고려 시대 서경에 두었던 관부의 하나. 서경은 태조 때부터 관심을 가지고 경략되었던 곳으로, 그 행정조직도 다른 지역과는 달리 개경과 흡사한 구조로 운영되었다. 묘청의 난 후로는 행정조직이 축소되어 1136년(인종 14)에 군사와 감찰업무를 관장하는 기구만을 두고 폐지하였다. 공조는 1138년에 6조를 두면서 그 중 하나로 성립을 보게 되었다.
<2> 조선 시대 중앙관서인 육조의 하나. 고려 시대 육부 가운데 하나인 공부(工部)를 계승, 확대 개편한 정2품 아문이다. 1392년(태조 1)에 설치되어, 산림 · 소택(沼澤) · 공장(工匠) · 건축 · 도요공(陶窯工) · 야금(冶金) 등에 관한 일들을 관장하였다. 소관 부서로는 영조사(營造司) · 공야사(攻冶司) · 산택사(山澤司) 등이 있었다.
【용어사전】좌랑(佐郞)
고려 · 조선 시대 육부 또는 육조에 두었던 정6품 문관직. 중간 행정 실무자였다.
【시험관 명단】顯宗 10 (1669) 式年
【시험관】강백년(姜栢年) 예조참판(禮曹參判), 김만기(金萬基) 호군(護軍), 조형(趙珩) 의정부좌참찬(議政府左參贊), 이민적(李敏迪)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남이성(南二星) 홍문관응교(弘文館應敎), 이단하(李端夏) 이조정랑(吏曹正郞), 박증휘(朴增輝) 호군(護軍), 김덕원(金德遠) 병조좌랑(兵曹佐郞), 원만리(元萬里) 병조정랑(兵曹正郞), 송상주(宋尙周)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윤심(尹深)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이순선(李循先)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시험장소】한성부(漢城府), 성균관(成均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