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남(金季男, 1552~?)과 채유후(蔡裕後, 1599-1660)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4-12-30 14:34 조회2,268회 댓글0건본문
김계남(金季男, 1552~?)은
화산군 김주의 세째아들이다. 자 언경(彦卿). 1588년(선조21) 식년(式年) 생원(生員)시에 급제하였다. 음사로 전별사 별제(典設司別提)가 되어, 한성부 참군 통례원 인의 사헌부 감찰(漢城府參軍 通禮院引儀 司憲府監察)을 역임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에 이르렀다. 향년 75세로 광주농사(廣州農舍)에서 졸하여 광주중대(廣州中臺)에 장례를 지냈다. 묘비명은 채유후(蔡裕後, 1599-1660)의 호주집(湖洲集)에 실려 있다. 묘는 장지동에 있었으나 군부대 부지로 편입되어 실전되었다.
■ 조선 사마방목
김계남(金季男) / 宣祖 21 式年 生員
【시험년도】 선조(宣祖) 21 (1588) 식년(式年) 생원(生員)
【합격등위】 2등 0009
【본인성명】 김계남(金季男)
【본인 자】 언경(彦卿)
【본인생년】 임자(壬子) 1552
【본인본관】 안동(安東) 김(金)
【본인거주】 경(京)
【본인구존】 영감하(永感下)
【본인전력】 유학(幼學)
【부친성명】 김주(金澍)
【부친품계】 가선대부(嘉善大夫)
【부친관직】 예조(禮曹) /행참판(行參判)
【안항(형)】 김정남(金正男), 김의남(金義男)
【용어사전】예조(禮曹)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육조(六曹)의 하나. 남궁(南宮) · 춘관(春官) 또는 의조(儀曹)라고도 한다.
【용어사전】참판(參判)
조선 시대 육조에 소속되었던 종2품 관직. 정원은 각 1인씩이며 판서(判書) 다음가는 벼슬이다.
【시험관 명단】宣祖 21 (1588) 式年
【시험관】★이산해(李山海) 이조판서(吏曹判書), ★윤근수(尹根壽) 공조참판(工曹參判), 홍성민(洪聖民) 호조판서(戶曹判書), 이제민(李齊閔) 병조참판(兵曹參判), 심충겸(沈忠謙) 봉상시정(奉常寺正), 오억령(吳億齡)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이충원(李忠元) 군기시정(軍器寺正), 윤승길(尹承吉) 상의원정(尙衣院正), 홍인상(洪麟祥) 이조정랑(吏曹正郞), 조대중(曹大中)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유몽정(柳夢鼎) 제용감정(濟用監正), 권희(權憘)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시험장소】성균관(成均館), 장악원(掌樂院)
호주집(湖洲集)
서지사항 :
채유후(蔡裕後) 저. 분량은 원집7권, 습유 합3책(193판) 목판본【장】연대. 한국문집총간 101집.
저자소개 :
채유후(蔡裕後·1599:선조32~1660:현종1)의 자는 백창(伯昌). 호는 호주(湖洲). 본관은 평강(平康). 시호는 문혜(文惠). 부천(復泉) 강학연(姜鶴年)의 문인(門人). 이안눌(李安訥), 이민구(李敏求) 등과 교유.
문집구성 :
본집은 저자의 자 장성도호부사(長城都護府使) 시구(時龜)가 저자의 수필(手筆) 시고(詩稿) 1책을 1677년경 장성에서 초간한 후 종손(從孫) 명윤(明胤)·팽윤(彭胤) 형제가 증보·편차하여 1705년 함경도관찰사(咸鏡道觀察使) 홍만조(洪萬朝)의 협조를 받아 감영(監營)에서 본판(本板)으로 간행한 중간본이다.
목차보기
贈別忠?水使金素/二首 311
縣監金公墓碑銘 370 ***화산군 김주 3자 김계남
湖洲先生集卷之六
碑銘
縣監金公墓碑銘
公姓金氏。諱某字某。安東人。卽新羅敬順王後。而上洛公方慶之十三世孫也。高祖贈戶曹參議諱宗孫。曾祖贈兵曹參判諱城。祖贈吏曹判書諱公亮。考光國功臣花山君諱澍。(?)貞夫人李氏。宗室鎭陽守渶之女。坡城府院君尹金孫外孫女也。公生於嘉靖壬子。中萬曆戊子司馬。癸卯筮仕。典設司別提。歷漢城府參軍通禮院引儀司憲府監察大興縣監。天啓丙寅二月十三日。卒于廣州農舍。享年七十五。葬于廣州中臺子坐原。公賦性慈詳。處事剛明。恒務儉約。不喜紛華。配淑人安氏。順興望族。司果景武之女。先公二十一年而卒。公之卒也。合葬焉。生一男五女。長女適都事金昌址。生一男圭。次適察訪李大任。生二男受謙,尙謙。次適監役卞謹元。次適幼學朴弘式。生三男大有,大鼎,大昇。次適幼學柳爾昌。生一女。男娶贈戶曹參判李天賚女。生三男三女。長敬基生一男鍵。次碩基生二男五女。男曰鐫,錡。次顯基生二男二女皆幼。銘曰。
旣秀而文。終靡大闡。不咸其惠。專于小縣。天? 以壽。而後且蕃。厥流必長。試看其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