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익원공 부조묘와 영정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5-01-19 17:28 조회1,146회 댓글3건

본문

 

1. 익원공 부조묘(불천위사당) 는


1872년 (부조묘 이건)

전남 영암에 익원공의 사당인 부조묘(不?廟)를 충북 청원군 강내면 용실동으로 이전,

---1870년∼1872년 8월에 영정은 처음 황해도 평산엽동에 봉안, 그후 영암 이전까지는 사실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1900년

익원공 부조묘를 용실동에서 강내면 궁현리로 이건,

주창자 김영필 간사 김태로, 김윤원, 김민상, 김재경, 이건기는 행주 기우만이 쓰다.


1916년 (부조묘 이관)

익원공 부조묘를 궁현리에서 부여읍 저석리 석탄 이전,

신주, 익원공 김사형 회맹철권 보존


1934년 (부조묘 이건)

익원공 부조묘를 부여읍 저석리에서 전북 고창읍 도산리로 이전,

상량문은 도산 김정회가 쓰다.

 


2. 익원공 영정은


원래 고창(高敞)의 종손가 김영필(金榮珌) 집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1936년에 

17세손 참봉 김영주(金榮珠) 등이 종손과 상의하여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초동리 매각마을 낙포영각(洛圃影閣)에 옮겨와


1938년에 

영정각을 세우고 봉안하였다. 4월에 김영주가 이봉사실기를 지었고, 12월에 정도현(鄭道鉉)이 김익원공 영정각 상량문을, 9월에 17세손 김영석(金榮錫)이 영정각서를 지었다.


1955년에 

최훈교(崔薰敎)가 영정각기를 지었다.


2000. 12. 6일

익원공 영정을 고창종가 사당에서 목왕리 낙포재로 이송 봉안하였다.


2004. 1. 18일

익원공 영정을 제작하여 서울 영등포 익원공파 회관에 봉안하였다.




▣ 문화유적총람

【유적명칭】낙포영각(洛圃影閣) 

【관리번호】676-820-279-32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초동리 매각마을

【시 대】근대

【관 리 자】

【유적내용】

낙포 김사형(1333∼1407)의 영정을 봉안한 영정각(影幀閣)이다. 김사형(金士衡)은 안동 김씨로 고려 공민왕때 문과에 급제, 삼사우사(三司右使)까지 올랐다. 태조 이성계를 추대, 조선 개국공신이 되고 상락백(上洛佰)에 봉해졌다. 정종(正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이 되고 태종때 좌정승, 상락부원군으로 퇴사하였다. 시호는 익원공(翼元公)이다.

낙포의 영정은 원래 고창(高敞)의 종손가 김영필(金榮珌) 집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1936년에 17세손 참봉 김영주(金榮珠) 등이 종손과 상의하여 이곳에 옮겨와 1938년에 영정각을 세우고 봉안하였다. 1938년 4월에 김영주가 이봉사실기를 지었고, 12월에 정도현(鄭道鉉)이 김익원공 영정각 상량문을 9월에 17세손 김영석(金榮錫)이 영정각서를 1955년에 최훈교(崔薰敎)가 영정각기를 지었다.

【참고문헌】함양군, 1996, <<문화재도록>>

【비 고】


댓글목록

김항용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항용
작성일

  최초의 익원공 영정이 그려진 것이 1870년 이전이라면 약 124년 이전에 제작되었던 것인가요

솔내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솔내
작성일

  ....

김주회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주회
작성일

  김영주 &lt;이봉사실기&gt;, 정도현(鄭道鉉) &lt;영정각 상량문&gt;, 김영석(金榮錫) &lt;영정각서&gt;,
최훈교(崔薰敎) &lt;영정각기&gt;를 보면 익원공 영정에 대한 더 자세한 내력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익원공파보에 실려 있나요? 파보 열람 가능하신 분 소개해 주시기를.....
이번의 &lt;영정제작봉안기&gt;는 아직 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