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중국의 설날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5-02-08 08:34 조회1,321회 댓글1건본문
중국의 전통명절은 음력으로 날짜가 정해져 있다. 우리의 명절과 날짜가 같지만 풍속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우리가 중히 여기던 명절들이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라고 해서 유감스럽게 생각할 필요는 없으며, 일본이나 동남이 국가들도 그 기원은 마찬가지이다. 참고로 서양의 명절들은 대부분 기독교와 관련이 있는데, 서양의 모든 국가가 함께 공유하고 있다.
춘절(春節, 1춘2지에)
음력 정월 초하루로 중국 최대의 전통명절이다. 이미 3,000년의 역사가 있으며, 우리가 음력설을 중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시하고 있다. 객지에 나간 사람들이 모두 고향에 돌아가느라고 기차편이 북새통을 이룬다. 추석도 중시되지만 음력설을 중시하는 것에는 훨씬 못 미친다. 이 음력설을 없애자는 건의나 이중과세는 논의된 적조차 없다.
예전에는 ‘춘절’이라는 말조차 없었고, ‘원단(元旦)’ 또는 ‘원일(元日)’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1912년 중화민국이 건국하여 양력을 채택한 이후 양력 1월 1일을 원단이라고 부름에 따라 ‘춘절’이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입춘의 바로 직전에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춘절을 보내는 것을 ‘과년(過年, 4꾸어2니앤)’ 이라고도 말하는데, 문자대로 번역하면 ‘해를 보낸다’의 뜻이다. 또는 ‘年’이 머리에 긴 뿔이 난 사납고 괴상스런 동물이라는 전설도 있다. 매년 겨울이 지나가고 봄이 오기 직전에 ‘年’이 출몰하여 사람을 해쳤다. 후에 사람들은 그것이 붉은색, 불빛, 큰 소리를 무서워한다는 사실을 알아내어 붉은색의 춘련을 붙이고 불에 대나무통을 태워 큰 소리가 나게 해서 쫓아 낸 뒤에 ‘年’이 지나가 잘 되었다는 뜻으로 ‘과년호(過年好, 4꾸어2니앤3하오)’ 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런데 ‘年’ 글자에 대한 갑골문의 설명에 따르면 사람이 곡물을 수확한다는 뜻인데, 해마다 한 번 수확하기 때문에 ‘한 해’를 뜻하게 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이 날부터 초사흘까지 3일간 모든 관공서와 기관이 휴무이며, 일반 민간에서는 명절 분위기가 대보름까지 2주 정도 이어진다. 이 기간중 중국인들은 실컷 먹고 놀며, 음력으로 12월이 되면 벌써 명절 분위기가 충만해진다.
? 납팥죽(臘八粥)
음력 12월 초파일에 먹는데 쌀, 좁쌀, 찹쌀, 수수, 팥, 대추, 호두, 땅콩 등 여덟 가지를 끓인 것으로 농사가 잘 된 것을 경축하는 뜻이 있다.
? 조왕야(?王爺)
‘조왕신(?王神)’이라고도 하는데, 우리의 부뚜막신에 해당한다. 연말에 하늘에 올라가 식구들의 소행을 보고하는 것으로 믿어져 부엌에 엿을 바치는 데, 이를 먹고 좋은 말만 보고해 달라는 뜻이다. 1년을 반성하는 뜻도 들어 있을 것이다.
? 춘련(春聯)과 연화(年畵)
춘련은 ‘대련(對聯)’, ‘춘첩(春帖)’이라고도 하는데, 좋은 뜻의 글귀를 금색 또는 검은색으로 써서 문의 양편 기둥에 붙이는 것이다. 우리와 다른 점은 붉은 종이에 쓴다는 것이다.
연화는 문신화(門神畵)에서 변형된 목판화로 아기가 잉어와 노는 모습이나 황소, 용주(龍舟)의 시합 등을 그린 것이다. 대문이나 거실 벽에 붙인다.
참고로 중국인들은 붉은 색을 귀신을 쫓는 상서로운 색깔로 간주하여 우리의 눈에 매우 자극적인 이 색깔을 많이 사용한다. 주로 거리의 상점 간판이나 구호, 대문이나 기둥의 도색 또는 광고 등에 사용한다.
‘복(福)’, ‘춘(春)’자를 써서 거꾸로 붙이기도 한다. 이것은 ‘거꾸로’의 의미를 가진 도(倒, 4따오)‘와 ’오다‘의 의미를 가진 도(到, 4따오)’가 발음이 완전히 같아서 거꾸로 붙이면 그것이 왔다는 뜻이 되는 것으로 보는 중국인들의 재미있는 생각에서 유래된 것이다.
? 제석(除夕)
음력 섣달 그믐날 밤을 가리킨다. ‘제(除)’는 ‘제거한다’는 뜻으로, 제석은 지난 1년을 정리한다는 뜻이 들어 있다. 조상과 신령(대문신, 부엌신, 마당신, 토지신)들에게 향을 태우고 음식을 차려 새해의 평안을 기원한다. 저녁에는 온 가족이 풍성한 식사를 하는데 연야반(年夜飯)이라고 하며, 또 이 날 저녁은 밤을 새우는데 이를 수세(守勢)라고 한다.
? 압세전(壓歲錢)과 홍포(紅包, 2홍1빠오)
제석에 연야반을 먹은 이후 아이들이 잠자는 베개 옆에 세뱃돈을 놓아 주는데 이를 압세전이라고 한다. 압세전이란 ‘귀신의 화를 누르는 돈’이라는 뜻인데, 압세전의 ‘세(歲, 4쑤이)’는 귀신의 화를 뜻하는 ‘숭(崇, 4쑤이)’와 발음이 같다. 이 때 압세전을 붉은 봉투에 넣어서 주는 관습이 있는데, 이를 홍포라고 한다. 결혼 축의금과 같이 기쁜 일을 축하할 때 주는 돈은 모두 홍포를 사용한다.
? 폭죽(爆竹)
섣달 그믐날 밤 12시가 되면 집집마다 일제히 폭죽을 터뜨린다. 마치 도시의 시가지에서 총싸움이라도 벌어진 듯한데,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한다(送舊迎新)’의 뜻이 있다. 상술한 ‘年’이라는 괴물이 큰 소리를 가장 싫어하여 이를 쫓는다는 뜻도 담겨 있다.
대나무는 태우면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나중에는 폭발음을 내기 때문에 이를 ‘爆竹’이라고 한다. 폭죽(爆竹, 4빠오4쥬)의 중국어 발음은 보축(報祝 축하를 알리다, 4빠오4쥬)의 해음(諧音)이다. 나중에는 화약을 대나무에 넣어 터뜨렸다가 다시 종이에 화약을 넣어 소리도 크고 불꽃도 예쁜 것을 만들었는데, 이는 ‘편포(鞭 火包, 1삐앤4파오)‘ 라고 한다. 요즘은 모두 이것을 사용하는데, 결혼식 개관식 개업식 등의 경사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한다. 최근에는 화재와 부상의 위험이 있다고 해서 대도시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 교자(餃子, 3쟈오5즈), 연고(年?, 2니앤1까오), 탕원(湯圓, 1탕2위앤)
폭죽을 터뜨린 다음 바로 새해 0시에 먹는 것이다. 쟈오즈는 일종의 물만두로서 북방 사람이 먹는 것인데, 우리의 떡국처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餃子는 交子(교자, 1쟈오5즈)와 해음인데, ‘갱세교자(更歲交子)’란 나이를 먹으며 한 해를 보낸다는 뜻이 있다.
니엔까오는 일종의 쌀떡으로 ‘해마다 높아진다’ 라는 뜻의 ‘연고(年?, 2니앤1까오)’와 해음(諧音)이다.
탕웬은 쌀가루 또는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엿이나 깻가루 등의 소를 넣어 둥글게 만든 것으로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인다 라는 뜻의 ‘전가단원(全家團圓)’의 ‘단원(團圓, 2투안2위앤)’과 해음이다.
? 배년(拜年, 4빠이2니앤)과 공희발재(恭喜發財, 1꽁3씨1파2차이)
빠이니엔이란 춘절 아침식사를 하고 난 뒤에 친척과 친구집에 다니면서 인사를 나누는 것을 가리킨다. 이때 서로 만나면 ‘꽁시(축하합니다)’ 또는 ‘꽁시파차이(돈 많이 버십시오)’ 또는 ‘과년호’ 라고 경축의 인사를 나눈다.
댓글목록
솔내님의 댓글
![]() |
솔내 |
---|---|
작성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