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자세한 것은 본 홈 <역사적 주요 인물>란에서 볼 수 있음)
* 김효인(孝印) : 방경의 父. 병부상서·한림 학사(兵部尙書翰林學士)를 지냄.
* 김방경(方慶) : 고려 충렬왕 때의 명신. 삼별초 평정, 2차에 걸친 일본 정벌에 고려 도원수로 참전하여 혁혁한 전과를 올림. 최고 관직인 삼중대광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三重大匡 僉議中贊 判典理司事 世子師)로 치사(致仕)하고 상락군 개국공(上洛郡開國公)에 봉해짐. 첨의령(僉議令)에 가자되고 몰 후 충선왕때 선충협모 정난정국공신 벽상삼한 삼중대광(宣忠協謀 定難靖國功臣 壁上三韓 三重大匡)에 추증.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안동김씨의 중시조(中始祖)로 삼고 세수(世數)를 정(定)한다.
* 김선(愃) : 방경의 장자. 밀직사부지사(密直司副知事)를 지냈다.
* 김흔(忻) : 방경의 차자. 찬성사를 지냈다.
* 김순(恂) : 방경의 三子. 삼사판사(三司判事)를 지냈다.
* 김윤(惀) : 방경의 四子. 밀직사지사(密直司知事)를 지냈다.
* 김승용(承用) : 선의 아들. 대제학을 지냈다.
* 김승택(承澤) : 평장사를 지냈다.
* 김영돈(永暾) : 고려조에 좌정승역임. 조적의 난 평정. 1등공신. 상락부원군이 되었다.
* 김영후(永煦) : 우정승을 지내고 후손이 조선 전기에 세력을 크게 떨쳤다.
* 김구용(九容) : 고려말 정몽주(鄭夢周) 등과 교류하며 정주학(程朱學)을 일으켰으며, 명나라 사신으로 갔다가 그곳에서 병사했다.
* 김사형(士衡) : 조선조 개국공신, 좌정승을 역임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제작하고 대마도를 정벌했다.
* 김질(礩) : 좌의정을 지냈다.
* 김시민(時敏) : 진주목사로 임진왜란 때 진주대첩을 이루었다. 영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 김수동(壽童) : 영의정을 지냈다.
* 김찬(瓚) : 이조판서를 지냈다.
* 김자점(自點) :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 김제갑(悌甲) : 원주목사로 임진왜란 때 아들 시백, 부인 전주이씨와 함께 순절했다.
* 김시양(時讓) : 병조판서를 지내고 판중추부사를 역임했으며 청백리에 녹선 되었다.
* 김휘(徽) : 김시양의 아들. 이조판서를 지냈다.
* 김득신(得臣) : 숙종 때의 유명한 시인이며 참판을 지냈다.
* 김응하(應河) : 무장(武將)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김응해(應海) : 김응하의 동생. 훈련대장을 지냈다.
* 김중기(重器) : 훈련대장을 지냈다.
* 김구(九) : 백범(白凡). 독립운동가, 정치가. 3.1운동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의 경무국장과 내무총장을 지냈으며, 1928년에 한국독립당을 결성했다. 1940년 임시정부의 주석이 되었으며, 해방이 되자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귀국하여 독립당 당수 등으로 있다가 안두희에게 암살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