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통도 소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상계도(上系圖)

2. 계통도(系統圖)

3. 신라김씨 세부 원류도 및 안동김씨 분파도

4. 신라김씨 역대 제왕 및 자료 소개

5. 대안군(大安君 諱 殷說) 소개

6. 신라삼성연원보 소개

 

본문

p02.png 수안김씨 탐방 및 사진 자료 소개

(2002. 2. 7. 2. 18. 재원씨(문)의 2차에 걸친 현지 탐방 및 사진 제공)

1) 1차 탐방기

나는 오래전 부터 항상 관심거리고 궁금한 문제가 하나 있었다. 충렬공에서 장자 장손으로 이어져 내려가다가 안동김씨에서 수안김씨로 가버린 수안김씨 후손 들이었다. 그 후손들은 어디에 살고 있을까. 충렬공 묘소에 참배는 할까. 우리 안동김씨에 대해서 관심은 있을까. 등등의 문제로 궁금하고 관심거리였지만 남한 전체를 다 뒤질수도 없고 엄두가 나질 않았다. 그러던 중 서점에 들러 성씨에 관한 책을 열람하던 중 수안김씨 집성촌이 영덕일대에 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아하.. 이럴수가!!그래서 영해면, 병곡면, 축산면, 창수면, 남정면, 지품면, 강구면, 달산면 일대의 이장댁의 전화 번호를 전부 알아내어 수안김씨 집성촌을 문의하기 시작했다. 전화를 몇번쯤 하였을까. 나 자신이 지칠 때쯤 되었을 때 포기할까 생각하다가 지품면 송천동 이장댁에 전화를 하였을때 노력한 댓가가 있었다. 매우 기뻤다. 옛날에는 송천 1,2,3동 전체가 수안김씨였데 이제 도시로 다 떠나고 10가구만 남았다 한다. 그리고 강구면 원직리 수안김씨 집성촌이 있다고 하였고 수안김씨 종가댁도 있다고 하였다. 그 곳 종친회 고문 김순현씨(78세)를 찾아가라고 하였다. 그래서 오늘은 만사 접어두고 수안김씨 집성촌 김순현옹을 찾아 길을 나선다. 포항에서 4차선 7번 동해안국도를 따라 영덕방향으로 20분 달리면 보경사가 있는 송라에 도착하고 5분 더 달리면 동해의 푸르고 넓은 바다가 펼쳐지는 화진 해수욕장이 나온다.

 

여기서부터 강구까지는 7분거리인데 동해안 7번 국도가 처음으로 시원한 푸른바다가 펼쳐지는 낭만의 드라이브 코스다. 기분이 매우 좋고 머리가 시원하였다. 해안 도로를 달려 강구 삼사 해맞이 해상공원을 지나 강구에 도착하는데 여기가 영덕 대게의 고장 영덕군 강구항이다. 강구터미널 앞을 지나 두번째 지하통로로 좌회전하여 원직 2리에 도착하여 김순현옹댁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본인이 안동김가라고 소개하자 같은 일가라고 하시면서 두 노부부께서 매우 반가워하시고 수안김씨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셨다. 그래서 가지고 간 질문보따리를 풀어 수없이 많은 질문을 하였고 몇 시간이 흐르도록 주고받는 이야기로 시간 가는 줄 몰랐다. 수안이란 황해도 북쪽지명으로 충렬공의 장자이신 판서공께서 수안군에 봉해지시면서 선조님을수안김씨 시조로 모신다고 하였으며 현재 3개 파가 현존하며 이 지역이 남한의 유일한 수안김씨 집성촌이라 하였다. 수안김씨 세계도를 보면,

상서공 효인 - 충렬공 방경 - 판서공선(시조 1세) - 도첨의공 자 - 전리판서공 위 - 전리판서공 득남 - 정(장자에서 후손이 절손되었고) 차자에서 정량공 수 - 성정 - 계몽 - 한경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후손들이다. 그리고 어르신께 말씀드리기를 바로 옆에 있는 보경사에 상서공 할아버지의 글씨가 있다고 하자 깜짝 놀라시면서 기뻐하셨다.

 

알려주어서 고맙다고 하였다. 2월 9일날 KBS 1TV에 충렬공 할아버지 방영된다고 했더니 알려주어서 고맙다고 몇번이나 고마워하셨다. 그리고 마을 입구에 170여년된 종택과 수안김씨 위패를 모신 170 여년된 장춘당이 있었고 기둥이 싸리나무라고 소개해 주셨다. 집주변에 수십년된 꽃나무도 소개해 주셨다. 종택을 지키고 있는 종가 며느리라고 소개해 주시면서 안동김씨 일가가 찾아왔다고 소개해 주셨다. 발길을 돌리려고 하니 몇번이고 김순현 어르신께서 나의 손을 잡아 주시면서 안동김씨 일가들이 자주 찾아 오도록 일가들에게 좀 알려주시오....이로써 나의 수년간 궁금하고 관심거리였던 문제가 오늘로써 완전히 풀리고 해결되었다.

 

수안김씨 집성촌(현재)

영덕군 강구면 원직 1,2리 : 66가구

영덕군 강구면 상직 1,2,3리 : 65가구

영덕군 지품면 송천 1,2리 : 10가구

영덕군 영해면 원황동 : 10가구

총 151가구

종친회 고문 김순현 옹(78세) Tel : (054) 733-0281

종택 김지목 Tel : (054) 732-4819

마을이장 김갑용 Tel : (054) 732-7236

 

찾아가는 길 서울, 경기 - 경부(중부)고속도 - 대전 - 대구 - 영천IC - 28번 국도(4차선) - 포항영덕방향 - 안강 - 강동IC - 7번국도 - 울진, 영덕방향 - 대련IC통과 - 성곡IC - 7번국도 - 영덕, 울진방향 - 흥해 - 청하 - 송라 - 화진 - 구계 - 삼사 - 강구 - 지하도 - 원직 2리

* 강구에서 500m쯤 주행하면 두번째 지하도 입구에서 표지판 원직리 상직리 표지판이 있습니다.

* 경주IC를 이용하기보다 영천IC를 이용하면 20분 시간단축이 되고 7번국도보다 28번국도가 교통이한산합니다.

* 되돌아갈 때 중앙고속도 이용하시려면 거기서 15분거리에 있는 송라보경사가 있고송라 - 흥해 - 성곡IC - 영천, 경주방향 - 5분 주행후 - 대련IC - 31번국도 진입 - 기계, 청송방향 - 한 티터널 - 죽장 - 현동(도평)삼거리 - 영천,대구방향 좌회전 - 안덕 - 현서삼거리 - 35번국도 진입 - 안동방향 - 송사터널 - 길안 - 임하 - 포전교우회전 - 안동대학교 - 안동 - 34번국도 예천방향 - 서안동IC - 중앙고속도로 - 서울, 경기

 

2) 2차 탐방기 (2002. 2. 18)

오늘 수안김씨에 대한 2차 취재길에 나섰습니다.강구면 상직리, 지품면 신안동, 지품면 송천동 일대를 방문하여 마을 회관에 수안김씨 어르신 몇분씩 모셔 놓고 장장 7시간에 걸쳐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조만간 방대한 분량의 대화내용 잘 정리하여 올리겠습니다.

질문1 : 수안김씨 본?

어르신 말씀 :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안동김씨가 처음 족보를 만들때 우리 맏집한테 연락도 없이 족보를 만들어 버려 우리는 족보도 없이 후손 수대로 내려왔지...! 그러니 본을 다른 걸 쓰려고 조상을 찾아 올라가다 보니 수안군이신 선자 선조 까지 올라가지 않았겠남...!

질문2 : 충렬공 묘소 참배?어르신 말씀 : 안동김씨와 담을 쌓을려고 본을 따로 썼는데 참배하러 갔을 리가 있었겠남?

질문3 : 참배에 대한 향후 계획?어르신 말씀 : 수안군이신 선자 어른 윗대 어른이 방자 경자 어른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묘소가 안동에 있다는 것은 아무도 몰랐다. 앞으로 참배하러 가야지! ~ 암 가야하구 말구...!

재원 : 수안김씨 울산공파 후손에게 충렬공 묘소 약도 제출 수안김씨 부장공파 후손에게 충렬공 묘소 약도 제출

 

수안김씨 현재 설단 현황(영덕, 축산, 기암동네 입구 야산 90년도 시공)

1. 판서공 휘선 : 설단

2. 도첨의공 휘자 : 설단

3. 전리판서공 휘 위 : 설단

* 현재 3위가 설단되어 있고 이하 설단은 아직 계획없음.

 

<탐방 사진>

ankim02-3-5a.jpg

<영덕 강구면 입구.행상공원> <영덕 강구면 항구 입구> <영덕군 강구면 원직리 입구 지하 통로>

 

ankim02-3-5b.jpg

<원직리 마을 입구>     <원직리 수안김씨 세거지>     <수안김씨 울산공파 종택>

 

ankim02-3-5c.jpg

<울산공파 후손 재실>(원직2리. 長春堂) <3위(선,자,위) 재실 겸 종친회 사무실>

 

ankim02-3-5d.jpg

<1세 휘 선 설단>(영덕 기암 입구 야산)         <2세 휘 자 설단>         <3세 휘 위 설단>

 

ankim02-3-5e.jpg

<지품면 오지 가는 길>                <돈수재>

(수안김씨 부장공파 위패를 모신 곳. 영덕 지방 문화재 632호)

3) 수안김씨에 대한 여러 기록 자료 종합

가. 윤만씨(문) 조사 내용(2002. 5. 15)

1) 안동김씨대동보(1979년 기미) 권지1에 의거 선안동김씨에서 분관된 7개 성씨의 선계(先系)는 다음과 같습니다.

(1)수안김씨 : 효인→ 방경(장자) → 선(장자) → 자(장자) - 후손위수적수안김씨

(2)정산김씨 : 효인→ 방경(장자) → 선(장자) → 승용(차자) → 구(차자) →- - - - - - - - 성목(장자) - 후손 일파위 분적정산김씨

(3)사천김씨 : 효인→ 방경(장자) → 선(장자) → 승택(3자) → 묘(장자) →- - - - - - - - 제안(차자) - 분적사천김씨

(4)청주김씨 : 효인→ 방경(장자) → 선(장자) → 승우(4자) → 지연(장자) →- - - - - - - - 윤(장자) - 분적청주김씨

(5)영해김씨 : 효인→ 방경(장자) → 윤(4자) → 영요(차자) → 행(장자) →- - - - - - - - 철(차자) - 분적영해김씨일파(후손 억민)

(6)대구김씨 : 효인→ 방경(장자) → 윤(4자) → 영요(차자) → 백(3자) →- - - - - - - - 달 - 위분적대구김씨

(7)수성최씨 : 효인→ 현경(3자) → 준 → 영규(차자) - 사성최씨

 

2) 분관된 7개 성씨족보의 근거와 그분들의 족보에서 주장하는 선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수안김씨(수안김씨대동보 권지상. 1986년 병인)---효인→ 방경(장자) → 선(장자. 시조) → 자(장자) → 위 → 득남 → 이(履), ---수(綏), 정(精)

(2)정산김씨(안동후인 정산김씨족보 전(2000년))---효인→ 방경(장자) → 선(장자) → 승용(차자) → 구(차자) → 성목(장자) →---휴 → 익염(차자) → 한(차자) → 복수(일명 : 광유, 차자, 관조)

(3)사천김씨(사천김씨족보전. 1991년 신미)---효인→ 방경(장자) → 선(장자) → 승택(3자) → 묘(장자) → 제안(차자) →---부(관조)

(4)청주김씨(청주김씨대동보(문헌. 세적, 1993년 계유)---경순왕자 청주군 김정〈☞ 확인할 수 없음〉

(5)영해김씨(영해김씨족보. 2001년)---효인→ 방경(장자) → 윤(4자) → 영요(차자) → 행(장자) → 철(차자) →---성호(차자) → 억민(일명 : 억동, 잉관(仍貫)영해)

(6)대구김씨(대구김씨족보전. 1978년 무오)---효인→ 방경(장자) → 윤(4자) → 영요(차자) → 백(3자) → 달(시조) →---부형 → 호연(장자, 서포파조), 호견(차자, 용만파조)

(7)수성최씨(수성최씨세보 권지1. 1997년 정축)---효인→ 현경(3자) → 준 → 영규(차자, 賜姓崔氏)

 

● 분관성씨순례Ⅰ.(수안김씨)

수안김씨 대동보중 서문 일부.(상기족보 pp2∼6)

서기 1986년 병인보 발간에 즈음하여

(전략)

아무리 종시속(從時俗)이라 하나 여사자세(如斯姿勢)가 과연 타당하다고는 생각되지 않을 것이다. 이유인즉 내가 어찌해서 김씨성을 갖게 되었으며 김씨성중에서도 유독 수안(遂安)이란 본관을 갖게 된 것인지를 지실(知悉)코저 한다면 족보의 필요성은 설명을 불요하는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그러면 이제 우리 시조님께서 물려주신 수안김씨의 유래를 살펴보는 것이 긴요하며 순서라 생각됨에 그 내력을 약술코져 한다. 구보서문에 누누이 상술되어 다시 복언할 필요가 없다 하겠으나 구보서문은 순 한문이라 번역을 하여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없지 않기에 송구불이(悚懼不已)이오나 후세들이 고열(考閱)에 편의가 될까 사료되어 감히 첨기(添記)하는 바이다.

 

즉, 김씨라는 성은 신라 대보공 알지께서 금궤에서 탄생하셨기에 사성(賜姓)되었으며 그후 왕성씨(王姓氏)로 계승되어 왔으며, 28세손이신 경순왕의 제4자 대안군『은열(殷說)』의 8세손 상락군(上洛君)『방경(方慶)』의 장자『선(愃)』시조님이 수안군(遂安君)에 봉해지신 이후로 수안으로 위관(爲貫)되었다.

 

『선』시조님께서는 려조 중신으로서 원충단력안사보정공신봉익대부지밀직사전법판서상장군(元忠端力安社保定功臣奉翊大夫知密直司典法判書上將軍)으로 계셨다. 또한 8세조이신 휘『순몽(順蒙)』께서는 이조 중종 18년 2월 계미 당상관도제조통정대부(堂上官都制調通政大夫)로서 이조정원실록일지에 과적(科績)이 등재되었으며, 10세손 휘『필경(必慶)』께서는 성균진사로서 성품이 순후하시고 학덕겸비효우돈독하시며, 향리 후진 양성에 유공하셨고, 11세손이신 울산군 (휘 난서(鸞瑞))이 무과에 급제출사하신 후 수차 승급되시어 울산부사를 역임하셨으며 임진왜란 당시는 학봉 김성일선생의 영막에서 전략을 모의 혁혁한 전공을 세워 2등공훈에 기록되었으며, 울산공의 증손이신 14세손 평천공(휘도장(道章)은 호군으로서 국가에 유공하셨기에 좌승지에 증직되셨고 15세손이신 애헌공 (휘덕오(德五))께서는 성균진사이시며 성리학자로 박학다식하시어 향리인 영해면 괴시(槐市)에서 후진양성에 기여하신 공로가 지대하시였기에 우금까지도 문도의 후예들이 수계(授契)라는 명칭으로 년1차식회합하여 공의 유덕을 추모하고 있으며 문집도 전승되어 숭앙받는 분이시며 16세손이신 이 ○암공(휘하구(夏九)께서는 문과에 급제 출사하신 후 영조 무신년(서기 1978년) 역란을 평정하시고 문과동추부사를 지내신 후 도산서원원장을 역임하신 공적이 찬연하며(○암공의 방주요참조) 그 외에도 역대에 선( )하여 대소 관직에서 유공하신 분이 여러분 계시나 일일이 열거키 지남함에 이만 생략코저 한다.

이와 같이 위대하신 선조님의 혈맥(血脈)이 면면히 승계된 종족임을 자부함과 아울러 자손된 자 만의 일이라도 조상에게 누가됨이 없도록 항상 명심하고 행동해야겠다.

대략 서술한 바와 같이 가문임을 자처하며 지대한 공훈을 쌓은 선대의 얼이 담긴 실로 필요하고도 소중한 족보를 편집함에 있어서는 구태의연한 방식을 탈피하여 현세대에 적합한 보다 현대화된 보첩을 발간하여 현세대들이 족보에 대한 당위성과 필요성을 깊이 인식토록 누구나 보기쉽게 편찬하는 것이 지극히 당연할 것이다. 현재 보전된 보책중 제1차 발간분이 계유보(서기 1873년)이고 2차분이 갑진보(서기 1904년)이며 3차분이 임술보(서기 1922년)고 가장 가깝게 발간된 것이 30수년전인 갑오보(서기 1954년)인 바 계유보이전 보책은 임진병화 등으로 소진되어 상계를 상고함에 다소의 소루(疏漏)함이 있어 휘위(爲)자를 중시조로 뫼셔 1세로 하여 편찬하였으나 갑오보시에 휘선( )자의 장자이신 휘 자(資)자를 각종 문헌에 의해 찾았으나 중시조이신 휘위(爲)자가 휘 자(資)자와의 관계가 불분명하여 그 전보와 같이 편집하였으나 금보에는 구보와 달리 수안군이신 휘선( )자를 시조로 뫼셔 1세 휘자(資)자를 2세 전보에 중시조로 등재되신 휘위(爲)자를 3세로 뫼셔 보계를 명백히 하였음은 세와 세간의 년수차를 계산한 결과 직계로 계승되었음이 명백함에 기인하였음을 부연(敷衍)하여 둔다.

 

(후략)서기 1986년 6월 일 전종원근서 나. 주회씨(안) 조사 내용(2001. 8. 3.) 우리 구안동김씨에서 분관한 성씨중 김방경의 큰아들 김선의 후손에서 분관한 수안김씨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 영환 종친께서 소개하신 "소천서원과 청원정 (蘇川書院과 淸遠亭)" 내용중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가야리에는 이곳 龍宮全氏(용궁전씨)의 시조이신 菊波 全元發(국파 전원발) 선생은 모신 서원이 있다. 전원발 선생과 척약재 김구용 선조와는 각별한 사이었으며, 더욱이 우리 안동김문의 장손은 方慶(방경)-  (선)- 資(자)- 爲(위)- 得男(득남)- 精(정)으로 이어오다 金精공은 척약재의 아우인 金齊顔공과 더불어 신돈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김정공의 후손은 수안김씨로 , 김제안공의 후손은 사천김씨로 분적하였다. 바로 안동김문의 장손인 김정공의 배위가 국파 전원발선생의 따님이었다.

▣ 족보 김씨분관록에는수안김씨 시조 爲(위)는 대안군 7대손 충렬공 方慶의 손자 資(자)의 后로 되어 있습니다.

▣ 인터넷상 검색자료

시조 김선은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은설(殷說)의 8세손인 김방경(구안동 김씨의 1세조)의 장남이다. 그는 고려때에 보정공신으로 벼슬이 부지밀직사사, 전법판서, 상장군에 이르고 수안군에 봉해져서 후손들이 본관을 수안으로 하였다. 후손 전리판서 김위(金爲)를 중시조로 하고 있다. 4,567명이 있다.(1985년)

 

▣ 김씨의뿌리 (범우사, 1997)

시조 김선(金 )은 신라 경순왕의 넷째아들 김은열의 9세손이다.김선은 고려후기의 명장인 김방경의 큰아들로 전법판서 상장군으로서 수안군에 봉해져 후손들이 수안을 본관으로 삼았다. 수안(遂安)은 황해도 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명이다. 김선의 아들 김자(金資)는 도첨의사사를 역임했고 3세손 김위(金爲)는 전리판서를 지냈으며 4세손 김득(金得) 또한 전리판서를 역임했다. 8세손 김순몽(金順蒙)은 조선 중종때 당상관 도제조 통정대부를 지냈고 11세손 김난서(金鸞瑞)는 임진왜란때 김성일과 더불어 전공을 세워 2등 공훈록에 올랐고, 울산부사와 어해장군 훈련원정을 역임했다. 김난서의 아들 김건(金腱)은 이순신의 막하에서 적선을 격파하여 공신의 반열에 올랐다. 14세손 김도장(金道章)은 호군으로서 나라에 공을 세워 좌승지에 증직되었고 16세손 김하구(金夏九)는 영조4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여 동추부사, 도산서원장을 역임했다.수

 

안김씨가 생겨나기까지의 세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경순왕 김부 (金傅)

② 김은열 (金殷說) (4남)

③ 김숙승 (金叔承) (2남) ★안동김씨 시조

④ 김일긍 (金日兢)

⑤ 김이청 (金利請)

⑥ 김의화 (金義和)

⑦ 김민성 (金敏成)

⑧ 김효인 (金孝印) (2남)

⑨ 김방경 (金方慶) ★안동김씨 중시조

⑩ 김 선 (金 )

 

▣ 수안김씨의 시조에 대하여 종합 종리해 보면

인터넷상 검색자료와 김씨의뿌리 책자에는 김선을 시조로 方慶(방경)-  (선)

족보 김씨 분관록에는 김위를 시조로方慶(방경)-  (선)- 資(자)- 爲(위)영

환 종친의 소개자료에는 김정을 시조로 하고 있습니다. 方慶(방경)-  (선)- 資(자)- 爲(위)- 得男(득남)- 精(정) 족보 김씨 분관록의 기록을 인용하여 수안김씨가 생겨나기까지의 세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경순왕 김부 (金傅)

② 김은열 (金殷說) (4남)

③ 김숙승 (金叔承) (2남) ★안동김씨 시조

④ 김일긍 (金日兢)

⑤ 김이청 (金利請)

⑥ 김의화 (金義和)

⑦ 김민성 (金敏成)

⑧ 김효인 (金孝印) (2남)

⑨ 김방경 (金方慶) ★안동김씨 중시조

⑩ 김 선 (金 )

⑪ 김 자 (金資)

⑫ 김 위 (金爲) ★ 수안김씨 시조

 

▣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http://www.koreandb.net/)에 게재되어 있는 수안김씨는 2명(김하구, 김덕오)이고, 조선 문과방목에는 3명(김인도, 김정구, 김하구)입니다.

김하구(金夏久) 1676-1762(숙종2-영조38)

김덕오(金德五) 1680-1748(숙종6-영조24)

수안(遂安) 김(金)씨 입격자들 -- 총 3명 입격

김인도(金仁燾) 순조16(병자, 1816) 별시(別試) 丙科16

김정구(金鼎九) 경종3(계묘, 1723) 증광시(增廣試) 丙科7

김하구(金夏九) 정보(鼎甫) 숙종45(기해, 1719) 증광시(增廣試) 丙科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