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본문

p11.png 김시민(金時敏)

p05.png 5. 각종 역사 자료 종합

 15) 책자-김시민교서 

(2007. 8. 29. 항용(제) 제공)

 

ankim02-6-56z243.jpg   ankim02-6-56z244.jpg

 <태상시상록>에 수록된 충무공 시장 부분과 책 표지

 

* 태상시상록(필사본. 장서각 소장) : 16세기-19세기말 까지의 봉상시에 올려진 시장을 정리한 책

 

ankim02-6-56z245.jpg

<문숙공 김제갑의 원주 영원산성 전투장면-동국신속삼강행실도>

 

ankim02-6-56z246.jpg

<충무공의 무과기록 내용이 실려 있는 무과방목>(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ankim02-6-56z247.jpg

<孤臺日錄> 속에 있는 충무공이 서거하던 날의 기록 내용

 

ankim02-6-56z248.jpg

일본 가부키 <덴지쿠 도쿠베의 한국 이야기>에 나오는 모쿠소(목사)관의 아들 덴지쿠 도쿠베의 모습.

 

충무공의 강한 인상은 일본 문학 카부키에 반영되었다. 일본군에게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는 주인공인 맹장 모쿠소판관으로 묘사되었고, 에도시대에는 일본에 건너가 국가 전복을 꾀하는 요술쟁이 반역자로 윤색되어 나타났다. 상기의 작품은 쓰루야 난보쿠의 작으로 모쿠소관의 아들인 덴지쿠가 아버지의 유언과 두꺼비의 요술을 이어 받아 일본 전복을 위해 모반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ankim02-6-56z249.jpg

 

ankim02-6-56z250.jpg

 <달천 몽유록> (윤계선. 1600. 22.0×19.7cm.  성암고서박물관 소장)

 임란 후 2년 뒤인 1600년에 임란시 활약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지은 소설.

 

ankim02-6-56z251.jpg

  <권응수의 선무공신 교서> (보물 제668호. 권경민 소장)

 

ankim02-6-56z252.jpg

 <선무공신 도감의궤속에 들어 있는 진주유생들의 상소문(우)과 선조의 비답(좌)>

* 공신도감에서 선무공신의 책봉하기 위해 1601년부터 1604년 10월까지의 활동을 기록한 책 속에 들어 있는 것으로 경상도 진주유생 진사 정승윤 등 31명이 연명으로 올린 상소문과 선조임금의 비답 부분이다.

 

ankim02-6-56z241.jpg

 

ankim02-6-56z242.jpg

 <송정선생문집>(목판본. 20.6×31.0cm. 경상대학교 문천각 소장)

* 목사 김공 시민의 제사에 올리는 글.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진주지역의 가장 명망 있던 학자인 송정(松亭) 하수일(河秀一의 문집 <송정선생문집>이다. 제 5권 <제문>편에 실려 있다. 하수일의 행적과 제문의 내용을 참고할 때 김시민의 시신을 진주에서 괴산으로 운구하기 위해 발인할 때 지낸 제문으로 추측한다.

 

ankim02-6-56z255.jpg

 <진주성도>(조선후기. 97.0×121.0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ankim02-6-56z256.jpg

<임란 진주성 전투시 사용된 포탄들>

 

ankim02-6-56z257.jpg

<백자소호> (진주박물관 소장. 높이 25.5cm)

 

 상기 백자는 1977년 충주댐 건설로 중원군 살미면 무릉동에서 현 충민사로 이장할 때 묘에서 출토된 것으로 문중에서 진주박물관에 기증하였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