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번호 |
위치 |
문화재 |
해설 |
관리 및 관련파 |
연락처 |
기타 |
1 |
사천시 신벽동 232-8번지 |
김복업 기념비 (金福業記念碑) |
기념비의 전면 중앙에는"유인안동김씨복업시혜기념비(孺人安東金氏福業施惠記念碑)"라고 적혀 있다. 옆면에는"사천군 남양면 신벽리 입 소화 |
|
|
|
2 |
함양군 안의면 초동리 매각마을 |
낙포영각 (洛圃影閣) |
낙포의 영정은 원래 고창(高敞)의 종손가 김영필(金榮珌) 집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1936년에 17세손 참봉 김영주(金榮珠) 등이 종손과 상의하여 이곳에 옮겨와 1938년에 영정각을 세우고 봉안하였다. 17세손 김영석(金榮錫)이 영정각서를 1955년에 최훈교(崔薰敎)가 영정각기를 지었다. |
익원공파 |
|
|
3 |
진주시 본성동 499-7번지 |
김시민장군 전공비 (金時敏將軍戰功碑) |
김시민장군 전적 기록 |
제학공파 |
|
|
4 |
진주시 본선동 500-1번지 |
촉석정 충단비 (矗石旌忠壇碑) |
상동 |
제학공파 |
|
|
5 |
진주시 남성동 |
진주성(晋州城)과 박물관 |
진주성, 김시민장군 공신교서-보물제1508호 |
제학공파 |
|
|
6 |
진주시 남성동 212-8번지 |
창렬사(彰烈祠) |
김시민장군 위패 봉안 |
제학공파 |
|
|
7 |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 |
윤경남 신도비 (尹景男神道碑) |
윤경남은 조선 선조때 임진왜란을 당하여 거창을 본거지로 삼고 인접 3군의 의병을 모집하여 김시민 장군을 돕고 왜군의 진격을 저지하였다. |
제학공파 |
|
|
8 |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까막섬 |
대사헌 제계 김선생 신도비 (大司憲蹄溪金先生神道碑) |
김성동(김질의 아들, 강희맹의 사위, 호는 제계(蹄溪). 1452-1495)의 12대손 김정원(金正源)이 글씨를 써서 세움. |
익원공파 |
|
|
9 |
마산시 |
정동행성 |
충렬공 일본 정벌 준비 관청 |
|
|
|
10 |
김해시 대성동 189번지 일대 |
송악단 |
충렬공이 일본 정벌 준비시 머물던 곳. 영정이 있었다는 설이 있음. 김해 구산동 백운대고분 (경상남도 기념물 제223호)으로 지정되어 있는 구릉의 하단부. 김해여고 뒤편과 산복도로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재골 약수터 가는 길 중간에 위치. 승용차를 이용하실 경우, 동김해IC에서 활천고개를 지나 산복도로를 통해 삼계, 진영 쪽으로 가시다가 왼쪽편에 보이는 절개된 산봉우리 모양의 언덕 하단부에 백운대라는 비석이 있는 곳이 송악단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 |
|
|
|
11 |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 |
함벽루(영돈 창건) |
김영돈이 충숙왕 8년(1321)에 합주 지주사 재직시 창건 |
제학공파 |
|
문화재자료 59호 |
12 |
통영시 한산도 |
제승당 현판 |
통제사공(영수) 친필 현판 |
군사공파 |
|
|
13 |
통영시 문화동 62-1통영시 |
세병관 타루비. 운주당 내아 |
통제사공(영수) 비. 거처지(별세지) |
군사공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