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 
             번호  | 
             위치  | 
             문화재  | 
             해설  | 
             관리 및 관련파  | 
             연락처  | 
             기타  | 
| 
             1  |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 622 <보경사>  | 
        
             보경사 원진국사비  | 
        
             김효인 書. 원진국사비. 보물 252호  | 
        
             보경사  | 
        
             
  | 
        
             
  | 
| 
             2  | 
        
             김천시 지례면 교리 739  | 
        
             지례 향교 대성전 (知禮鄕校大成殿)  | 
        
             신라 문성왕 배향  | 
        
             지례향교  | 
        
             
  | 
        
             
  | 
| 
             3  | 
        
             경주시 서악동 산 92-2  | 
        
             신라 진지.문성왕릉 (新羅眞智.文聖王陵)  | 
        
             문성왕, 신무왕의 태자  | 
        
             
  | 
        
             
  | 
        
             
  | 
| 
             4  | 
        
             경주시 서악동 산92-2  | 
        
             신라 헌안왕릉 (新羅憲安王陵)  | 
        
             헌안왕 : 신무왕의 이복 동생 
선도산 기슭의 진지왕릉 하단에 유존한다. 헌안왕은 신라 제47대   | 
        
             
  | 
        
             
  | 
        
             
  | 
    
| 
             5  | 
        
             경주시 외동읍 말방2리(윗마을)  | 
        
             숭복사지(崇福寺址)  | 
        
             원성왕 릉. 곡사(鵠寺)라 하였다가 원성왕(元聖王)이 죽자 이곳에 능을 하고 지금 위치로 절을 옮겼다. 그 후 경문왕(景文王)이 즉위하여 꿈에 원성왕을 보고 개건(改建)하여 능역(陵域) 수호와 명복을 빔  | 
        
             
  | 
        
             
  | 
        
             
  | 
    
| 
             6  |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 34  | 
        
             희강왕릉(僖康王陵)  | 
        
             원성왕의 손자, 신라 43대 왕인 희강왕(휘는 제륭(悌隆)의 능이다.  | 
        
             
  | 
        
             
  | 
        
             
  | 
    
| 
             7  |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산 17  | 
        
             경주 괘릉(慶州掛陵)  | 
        
             비문과 능의 위치 등으로 보아 신라 38대 원성왕(元聖王)의 릉으로 보기도 한다. 독서이품과 설치, 벽골제(碧骨堤) 증축 등의 치적을 남김. 삼국유사에 '능은 토함산 서쪽 동곡사(洞鵠寺)에 있다고 기술됨  | 
        
             
  | 
        
             
  | 
        
             
  | 
    
| 
             8  | 
        
             경주시 암곡동 산 1  | 
        
             무장사지(藏寺址)  | 
        
             신라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의 부(父) 대아간 고양(大阿干考讓)이 창건. 암곡동(暗谷洞) 고선사지(高仙寺址)에서 북으로 약 7km 지점에 위치  | 
        
             
  | 
        
             
  | 
        
             
  | 
    
| 
             9  | 
        
             경주시 동방동 660  | 
        
             신라 신무왕릉 (新羅神武王陵)  | 
        
             신라 제45대 신무왕의 능으로 형제산 아래에 있는데 봉토(封土)만 있고 특별한 능묘시설이나 호석같은 것이 없다. 신무왕의 휘는 우징(祐徵)이고 상대등 균정(均貞)의 아들이니 곧 원성왕의 증손이다  | 
        
             
  | 
        
             
  | 
        
             
  | 
    
| 
             10  | 
        
             경주시 교동 14  | 
        
             신라 내물왕릉 (新羅奈勿王陵)  | 
        
             내물왕릉은 경주 향교 북방 얕은 언덕 위에 위치.  | 
        
             
  | 
        
             
  | 
        
             
  | 
    
| 
             11  | 
        
             경주시 교동  | 
        
             내물왕릉.계림.월성지대 (奈勿王陵.鷄林.月城地帶)  | 
        
             내물왕, 김알지  | 
        
             
  | 
        
             
  | 
        
             
  | 
    
| 
             12  | 
        
             경주시 교동(계림내)  | 
        
             계림 김씨 시조 탄강 유허비 b  | 
        
             김알지  | 
        
             
  | 
        
             
  | 
        
             
  | 
    
| 
             13  | 
        
             경주시 교동 1  | 
        
             경주 계림(慶州鷄林)  | 
        
             김알지  | 
        
             
  | 
        
             
  | 
        
             
  | 
    
| 
             14  | 
        
             경주시 황남동  | 
        
             계림세묘(鷄林世廟)  | 
        
             김알지  | 
        
             
  | 
        
             
  | 
        
             
  | 
    
| 
             15  | 
        
             울진군 서면 왕피리  | 
        
             왕피성지(王避城址)  | 
        
             경순왕, 마의태자, 마의태자 모후 유적지. 왕피성지(王避城址)는 석성(石城)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형태가 불분명하다. 신라 말에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자 태자는 부왕에게 그 불가함을 역설하였으나 불가항력으로 부득이 천년사직이 넘어가게 되자 마의(麻衣)를 입고 모후(母后) 송씨와 함께 이 성에 있다가 모후는 이곳에서 작고하고 태자는 금강산으로 들어갔다 한다. 당시 모후를 따라온 송씨들의 후손들이 지금도 울진군내에 살고 있다.  | 
        
             
  | 
        
             
  | 
        
             
  | 
    
| 
             16  |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 
        
             봉암사 극락전(鳳巖寺 極樂殿)  | 
        
             극락전은 신라 경순왕(慶順王)이 피난할 때 원당(願堂)으로 사용한 것이라 전한다  | 
        
             
  | 
        
             
  | 
        
             
  | 
    
| 
             17  |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549  | 
        
             백흥암(百興菴)  | 
        
             경순왕이 견훤의 난리를 피하여 이곳에 은거하기도 하였다  | 
        
             
  | 
        
             
  | 
        
             
  | 
    
| 
             18  | 
        
             영주시 영주동 99  | 
        
             자인전(慈仁殿)  |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다  | 
        
             
  | 
        
             
  | 
        
             
  | 
    
| 
             19  | 
        
             구미시 선산읍 완전리 59  | 
        
             김선궁 유허비(金宣弓遺墟碑)  | 
        
             김선궁은 신라 알지왕 29세손이며 경순왕의 재종질이다  | 
        
             
  | 
        
             
  | 
        
             
  | 
    
| 
             20  | 
        
             경주시 황남동 216  | 
        
             경순왕 송덕비(敬順王頌德碑)  | 
        
             경순왕  | 
        
             개인(김성헌)  | 
        
             
  | 
        
             
  | 
    
| 
             21  | 
        
             경주시 황남동 216  | 
        
             숭혜전(崇惠殿)  | 
        
             
경순왕, 김시양.숭혜전(崇惠殿)은 신라 미추(味鄒)·문무(文武)·경순왕(敬順王)의 어  | 
        
             (신라숭혜전보존회)  | 
        
             
  | 
        
             
  | 
    
| 
             22  | 
        
             안동시 당북동  | 
        
             영호루 유허비(映湖樓遺墟碑)  | 
        
             김방경 유허지  | 
        
             안동시  | 
        
             
  | 
        
             
  | 
    
| 
             23  | 
        
             안동시 풍산읍 회곡리  | 
        
             고려 충렬왕 김방경 유허비 (高麗忠烈王金方慶遺墟碑)  | 
        
             김방경 유허지  | 
        
             안동김씨대종회)  | 
        
             
  | 
        
             
  | 
    
| 
             24  |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 335  | 
        
             김방경 묘(金方慶墓)  | 
        
             김방경 묘소  | 
        
             안동김씨대종회  | 
        
             
  | 
        
             
  | 
    
| 
             25  | 
        
             
  | 
        
             승장사지(勝長寺址)  | 
        
             김상직의 중창기에는 "고려 충렬왕이 중국 조정의 명을 받아 상락공 김방경을 명하여 동으로 왜구를 정벌할 때 왕이 김해부에 가서 전송하고 돌아올 때 이 절에 유숙하였다"고 하는 내용을 함께 수록해 두었다.<< 범우고>>에는 "지금은 폐사되었다"고  | 
        
             
  | 
        
             
  | 
        
             
  | 
    
| 
             26  |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옥류정(玉流亭)  | 
        
             김방경. 일명 옥류폭포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고려조의 승장사가 있었던 곳이며, 충렬왕이 이곳에 쉬며 산을 '영남의 으뜸산'(甲長山)이라 하였다. 종때 부제학을 역임한 김상직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승장사중수기>를 남겼는데 "고려 충렬왕이 중국 조정의 명을 받아 상락공 김방경을 명하여 동으로 왜구를 정벌하는데 왕이 김해부에 거동하여 전송하고 어가가 돌아올 때 이 절에서 유숙하고 드디어 천태종에 붙이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 
        
             
  | 
        
             
  | 
        
             
  | 
    
| 
             27  |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257  | 
        
             삼소재(三素齋)  | 
        
             경상북도 문화재 제66호 김종락(김용추공의 5대손) 후손 종댁  | 
        
             익원공파 (김석교)  | 
        
             
  | 
        
             
  | 
    
| 
             28  |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  | 
        
             장대서원(藏待書院)  | 
        
             김광수 위패 봉안  | 
        
             도평의공파  | 
        
             
  | 
        
             
  | 
    
| 
             29  |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207  | 
        
             의성 만취당(義城晩翠堂)  | 
        
             보물 제1825호  | 
        
             도평의공파  | 
        
             
  | 
        
             김사원  | 
    
| 
             30  |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205  | 
        
             도평의공파 집성촌. 종합 유적지  | 
        
             의성 사촌리 향나무(義城沙村里香木)사촌서림.후산정사.후산사.후송재.자여당.양진당.경일재.추원재.모선재.사촌마을자료관.지당.도담사.만동서숙.만취당우물.종택(도평의공고려).후송재종택. 
  | 
        
             도평의공파  | 
        
             
  | 
        
             
  | 
    
| 
             31  | 
        
             의성군 점곡면 서변리 319  | 
        
             영귀정(詠歸亭)  | 
        
             김광수 정자  | 
        
             도평의공파  | 
        
             
  | 
        
             
  | 
    
| 
             32  | 
        
             상주시 남성동  | 
        
             상산관지(商山館址)  | 
        
             김영후공이 1327년(충숙왕14) 상주목사가 되어 지은 객관(상주관) 터  | 
        
             익원공,안렴사공  | 
        
             
  | 
        
             
  | 
    
| 
             33  | 
        
             상주시 만산동 산 73-1  | 
        
             상주 상산관(尙州商山館)  | 
        
             김영후공이 1327년(충숙왕14) 상주목사가 되어 지은 객관(상주관) 복원된 것  | 
        
             익원공 안렴사공  | 
        
             
  | 
        
             
  | 
    
| 
             34  | 
        
             포항시 흥해읍  | 
        
             청덕사  | 
        
             김영수 봉향 사당  | 
        
             군사공파  | 
        
             
  | 
        
             
  | 
    
| 
             35  | 
        
             포항시 흥해읍  | 
        
             권무정  | 
        
             김영수 창건  | 
        
             군사공파  | 
        
             
  | 
        
             
  | 
    
| 
             36  | 
        
             영덕군 영해면  | 
        
             김시양 유배지  | 
        
             김시양 유배 장소 인근 관어대에는 김시양의 제자요 조카 사위인 권경이 살던 집이 있음  | 
        
             제학공파  | 
        
             
  | 
        
             
  | 
    
| 
             37  | 
        
             경북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  | 
        
             소천서원  | 
        
             문온공 친필 암각문 청원정  | 
        
             문온공파  | 
        
             
  | 
        
             
  | 
    
| 
             38  | 
        
             경북 상주시  | 
        
             척약재집 초간본  | 
        
             조성목씨 소장본(보물 1004호)  | 
        
             문온공파  | 
        
             
  | 
        
             
  | 
    
| 
             39  |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 도산서원  | 
        
             김첨,김수 두 분 형제와 김제갑께서 퇴계선생께 수학하시던 곳  | 
        
             <퇴계문인록>  | 
        
             서운관정공파 제학공파  | 
        
             
  | 
        
             퇴계선생 언행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