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가. 파조 - 밀직사사공(密直司事公. 휘 七祐) (2009. 3. 1. 항용(제) 제공)
생몰년 미상.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역임. 묘소는 미상이며 단묘를 경기도 포천군 일동면 사직2리 산 27번지에 조성하고 매년 11월 첫째 일요일에 시제를 올림.
1) 경진보(庚辰譜. 1580년 간. 최초의 안동김씨 족보) 기록 내용
가. 세계 기록 : 충렬공(휘 方慶)-선(愃)-승용(承用)-후(厚)-칠우(七祐)
나. 내용 : 휘(諱) '칠우(七祐)'만 있을 뿐 아무런 기록 내용이 없음.
2) 기미보(己未譜. 1979년 간. 안동김씨 대동보) 기록 내용
가. 세계 기록 : 상기 경진보와 동일
나. 내용 : 휘(諱) 옆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使)’란 관직명만 기록 되어 있음.
3) 안동김씨 세계 연감(安東金氏 世系 年鑑. 1983년 간. 안동김씨 대종회. 53p) 기록 내용
충렬공의 현손(玄孫)이고 평리공(評理公-諱 厚)의 장자(長子)이시며 벼슬이 판밀직사사(判密直司使)이다.
*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자료 조사 (출처 : 국사대사전. 1988. 유홍렬 감수. 교육도서 간) (우리 족보의 모든 기록인 判密直司使는 判密直司事의 오기임) : 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의 으뜸 벼슬. 1275년(충렬왕1)에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로 고쳤다가 다시 1362년 본 이름으로 고쳤다. 종1품.
* 밀직사(密直司) : 고려시대 관부(官府)로서 1275년 (충렬왕1) 이전의 추밀원(樞密院)을 고친 이름. 왕명의 출납, 궁중의 숙위(宿衛), 군기(軍機) 등에 관한 정무를 맡아 보던 곳. 이의 명칭은 여러 번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