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렴사공파(사렴)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설립일시

 2. 사무실 및 연락처

 3. 문중회 소개

 4. 연  혁

 5. 회  칙

 6. 임원명단

 7. 주요 조상님 소개

 8. 세거지별 내력

 9. 파 계 도

10. 교지 소개

11. 여주 지역 묘비 탁본 소개

12. 일실사효 정려

13. 갑인보 경매 입수

14. 병인보 소개

15. 분당 세거지

16. 안사연 여주 판교공 종중 참배기

17. 파종회보

 

본문

p02.png 11. 여주지역 묘비 탁본 사진 소개

          (2004. 7. 13. 발용(군) 제공)

1) 휘 성(諱 城) 묘표 탁본

김성(金城) 1451∼1487

 

김종손(金宗孫)의 아들. 문단공 김주(金澍)의 조부이다. 음직으로 출사하여 여러 고을의 군수(郡守)와 충무위 중부장(忠武衛 中部將)을 지내고, 1487년 명나라 홍치황제등극 진하사 종사관(弘治皇帝登極 進賀使 從事官)으로 중국에 다녀왔다 (명나라에 가셨다가 통주(通州)에서 졸하였다). 자손들이 귀해짐으로 인하여 여러 번 높은 품계를 추증 받았는데, 가선대부 병조참판(兵曹參判) 겸 동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다. 묘는 여주 흥천면 귀백리 백양동에 있다.

 

 ankim04-13z176.jpg  ankim04-13z177.jpg

 

2) 휘 성(諱 城) 배위 풍천임씨(豊川任氏) 묘표 탁본

 

 ankim04-13z178.jpg  ankim04-13z179.jpg

 

3) 휘 공량(諱 公亮) 묘갈 탁본(정사룡 찬, 김로 서)

안원군 김공량(金公亮, 1472∼1544)

 

城의 아들로 안원군파의 파조가 되는 公亮(1472∼1544)은 안렴사공의 7세손으로 자를 필지(弼之) 호를 양곡(楊谷)이라 하였으며 증직으로 이조판서와 양관 대제학을 받았고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올라 안원군(安原君)의 군호를 받았다. 공은 묵재(默齋 李深源, 1454∼1504)의 문하에서 글을 배워 학문과 덕행이 순결(純潔)하고 아름다웠는데, 연산조때 절제과로 등제하였으나 스승과 뭇 선비들이 화를 당하는 것을 보고 드디어 전시(殿試)에 나가지 않고 세사(世事)에 뜻을 버리고 고향에서 고요히 지내셨다.

묘는 경기 여주군 흥천면 귀백리 백양동에 있고, 묘갈은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 1491∼1570)이 짓고 동고(東皐) 김로(金魯, 1498∼1548)가 썼다. 정사룡의 문집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유명조선국김군공량묘갈명>(有明朝鮮國金君[公亮]墓碣銘)이 실려 있고, 남계(南溪) 박세채(朴世采, 1631∼1695)가 [동유사우록](東儒師友錄)에 실었다. 안원군의 묘갈을 書한 로(魯)는 우리 가문의 서운관정공파 희수(希壽)의 아들이며 당대의 명필로서, 이외에도 승지공 김공예(金公藝, 1485∼1537) 묘갈, 아버지 김희수(金希壽, 1475∼1527) 묘비를 書하였다.

 

 ankim04-13z180.jpg  ankim04-13z181.jpg

 

4) 휘 공석(諱 公奭) 신도비 탁본(김주 찬, 송인 서, 박영 찬)

김공석(金公奭), 1477(성종3)-1553(명종8)

자(字)는 주경(周卿), 안렴사공(휘 사렴)의 후손. 1477년(성종3) 성의 3남(공량, 공석, 공망)중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1507년(중종2) 무과(武科)에 급제, 호조(戶曹)·공조(工曹)·형조 (刑曹)의 참의(參議)를 거쳐, 강릉부사(江陵府使)·포도대장(捕盜大將)·병마절도사(兵馬 節度使) 등을 역임하고 북병사·훈련원도정 등을 역임하고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이르렀다. 1534년(중종29) 공조참의를 지내고 1535년(중종30) 특진관 최세절(崔世節)특진관, 김공석, 원팽조(元彭祖)이 함께 진 설치와 봉수 설치를 위하여 다대포와 부산포 등지를 가서 보았다.

1537년(중종32) 찰리사 김공석을 상가(賞加)하면 바로 2품이 되므로 물품으로 숙마(熟馬) 1필을 상으로 받았다. 1539년(중종34) 압해관이 요동으로 떠날 때 의주목사 김공석(金公奭)는 일처리에 능숙한 사람이니 반드시 잘 처리할 것이라 하여 하처하였다.

1540년(중종35) (강릉)부사를 지내고 1542년(중종37) 함경도 관찰사 김섬과 함께 북도 병사(北道兵使)김공석(金公奭)이 육진(六鎭)을 순행하며 형편을 살폈다.1543년(중종38) 병조 판서 임권(任權), 형조 판서 신광한(申光漢), 포도 대장 김공석(金公奭) 등이 함께 의논하여 포도 절목(捕盜節目)을 마련한 단자(單子)에 도적의 발생 원인과 야간 순시를 아뢰었다. 김공석(金公奭)을 병조 참판에 제수하였다.

1545년(명종즉위년) 전라 병사 김공석(金公奭)의 서장을 정원에 내리면서, 중국에서 전수한 총통에 대해 세밀하게 전습할 것을 명했다

“이 서장을 보니 상당히 자세하다. 만약 왜인들이 중국인들과 교통하면서 총통 만드는 법을 전습하여 그 묘리(妙理)를 다 배우면 참으로 작은 일이 아니다. 오늘 중국 사람들에게서 전습하여 방포(放砲)한 후에 병조에 말해서 병사(兵使)와 수사(水使)로 하여금 세밀하게 갖추 알게 하여 힘써 전습하도록 하라.”

1552년(명종7) 김공석(金公奭)을 청홍도 수군 절도사(淸洪道水軍節度使)로 삼았다.

김공석 묘와 묘갈은 여주 백양동에 있는데 조카 김주가 찬하고, 송인이 서하였다. 金澍찬 叔父北道節度使公 [金公奭]神道碑銘이 寓庵遺集에 실려 있다.

 

 ankim04-13z182.jpg  ankim04-13z183.jpg

 

 ankim04-13z184.jpg

 

 ankim04-13z185.jpg

 

5) 휘 주(諱 澍) 신도비 탁본

화산군 김주 (金澍), 1512(중종7)∼1563(명종18).

 

 字는 응림(應霖). 호는 우암(寓庵), 안원군(安原君) 휘 공량(公亮)의 아들. 1531년(중종26) 진사(進士)가 되고, 1539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 1544년 사가독서 (賜假讀書)를 했고, 내외직을 역임 후 전라도·경상도의 관찰사, 개성 유수 · 대사헌을 거쳐 예조참판(禮曹參判)을 지냈다.

1563년(명종18)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로 명나라 북경(北京)에 가서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가 이인임(李仁任)이 아닌 이자춘(李子春)이라는 것을 끝까지 주장하다가 연경(燕京) 관사(館舍)에서 병으로 몰하였다. 명나라 황제가 관의 수의를 특사하여 서장관 李陽元으로 하여금 염습과 호상을 치르게 하였다.

1565년(명종20, 을축, 가정44)---1월, 여주 백양동 선영에 장사 지냈다.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草書)를 잘 썼으며 퇴계(退溪) 이황(李滉) ·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 등과 우의가 두터웠다. 선조(宣祖) 23년(1590)에 광국공신(光國功臣) 화산군(花山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시호는 문단(文端)이다. 특히 8문장으로 이름이 높았으며 저서로 《우암유집(寓菴遺集)》이 있다.  

 

 ankim04-13z186.jpg

 

 ankim04-13z187.jpg

 

 ankim04-13z188.jpg

 

6) 휘 희(諱 熹) 묘갈 탁본(조현명 찬, 조명구 서)

 

 ankim04-13z189.jpg  ankim04-13z190.jpg

 

7) 휘 태기(諱 泰基) 묘갈 탁본

김태기(金泰基, 1602∼1646)

 

○아버지 장흥부사 희(憙)는 생원시, 진사시, 문과에 급제하고, 묘갈(영상 조현명 찬, 제학 조명구 서)이 있으며, 장흥에 거사비가 있다.

○1602(선조 35)∼1646(인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형숙(亨叔), 호는 무위당(無爲堂).

○1624년(인조 2) 사마시에 합격하고, 162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42년 정언이 되고, 그뒤 양사(兩司)를 거쳐 1645년에 장령을 역임하고 태인현감을 지냈으며, 영광군수로 재직중 죽었다.

○청백하였다는 평을 받았다.

○묘갈(여서 조종저 찬, 조상우 서), 묘지(손 김성환 찬)가 있다.

 

 ankim04-13z191.jpg   ankim04-13z192.jpg

 

 ankim04-13z193.jpg

 

 ankim04-13z194.jpg

 

 ankim04-13z195.jpg

 

휘 태기 선조님의 묘비석 재질이 청석(파란돌)입니다. 중국에서 가져온 귀한 돌이라지요. 이 일대를 청석골이라 부르는데 그 유래가 바로 청비석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