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후기 안동김씨 김순(金恂)계의 정치활동과 성격(3)
페이지 정보
김동철 작성일24-06-03 21:26 조회346회 댓글1건본문
댓글목록
김동철님의 댓글
![]() |
김동철 |
---|---|
작성일 |
3. 논문
高柄翊, 1961·1962,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 , 歷史學報 14·19.
金光哲, 1987, 高麗後期世族層과 그 動向에 관한 硏究 , 東亞大學校博士學位論文.
김경록, 2007, 공민왕대 국제정세와 대외관계의 전개양상 , 역사와현실 64.
金光哲, 1985, 高麗 忠烈王代 政治勢力의 動向―충렬왕 초기 정치세력의 변화를 중심으로― , 昌原大學校 論文集 7-1. ,
1993, 충렬왕대 측근세력의 분화와 그 정치적 귀결 , 考古歷史學志 9.
김난옥, 2010, 충혜왕비 덕녕공주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 , 한국인물사연구 14. ,
2013, 안동김씨 김방경가문의 족보 간행과 변천 , 한국중세사연구 37.
金塘澤, 1989, 忠烈王의 復位 과정을 통해 본 賤系 출신 관료와 '士族' 출신 관료의 정치적 갈등―‘士大夫’의 개념에 대한 검토― , 東亞硏究 17. ,
1991, 忠宣王의 復位敎書에 보이는 ‘宰相之宗’에 대하여―소위 '權門世族'의 구성분자와 관련하여― , 歷史學報 131. ,
1994, 高麗 忠惠王과 元의 갈등 , 歷史學報 142. ,
1995, 元 干涉期末의 反元的 분위기와 高麗 政治史의 전개 , 歷史學報 146.
김주희, 2008, 고려시대 친족의 특성: 친족용어 분석을 토대로 , 가족과 문화 20 참고. 김태준, 2013, 고려말 金九容(1338~1384)의 생애와 교유관계 ,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김호동, 2011, 고려·조선초 언양김씨 가문의 관계진출과 정치적 위상 , 한국중세사연구30.
남인국, 2007, 원 간섭기 지배세력의 존재양태―안동김씨 김방경계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논집 38.
도현철, 2006, 이색의 서연 강의 , 역사와현실 62.
閔賢九, 1974, 高麗後期의 權門世族 , 한국사 8, 국사편찬위원회. ,
1976, 整治都監의 設置經緯 , 國民大學校 論文集 11;
1980, 整治都監의 性格 , 東方學志 23. ,
1976·1977, 趙仁規와 그의 家門(上)·(中) , 震檀學報 42·43. ,
1977, 閔漬와 李齊賢―李齊賢所撰 ‘閔漬 墓誌銘’의 紹介 檢討를 중심으로― , 李丙燾博士九旬紀念韓國史學論叢, 知識産業社.
1981, 高麗 恭愍王의 卽位背景 , 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知識産業社. ,
1989, 高麗 恭愍王의 反元的 改革政治에 대한 一考察―背景과 弊端 , 震檀學報68. , 1991, 蒙古軍 金方慶 三別抄 , 韓國史市民講座 8. ,
1992, 高麗 恭愍王代 反元的 改革政治의 展開過程 , 擇窩許善道先生停年紀念韓國史學論叢, 一潮閣. ,
1994, 高麗 恭愍王代의 誅奇轍功臣 에 대한 檢討―反元的 改革政治의 主導勢力― ,
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論叢(上), 一潮閣.
朴胤珍, 2018, 順妃 許氏의 가계와 忠宣王과의 결혼 , 한국중세사연구 52.
박재우, 1995, 고려말 정치상황과 신흥유신 , 역사와 현실 15. ,
2013, 고려시대 김방경의 선대기록과 계보관념 , 한국중세사연구 37.
박종기, 2003, 원간섭기 사회현실과 개혁론의 전개 , 역사와 현실 49.
邊東明, 1989, 高麗 忠烈王代의 萬戶 , 歷史學報 121.
邊銀淑, 2000, 高麗 忠烈王代 政治勢力의 형성배경 , 明知史論 12. ,
2004, 고려 충목왕대 정치도감과 정치세력—整治都監의 整治官을 중심으로 , 중앙사론 14·15.
신은제, 2009, 14세기 전반 원의 정국동향과 고려의 정치도감 , 한국중세사연구 26. , 2010, 공민왕 즉위 초 정국의 동향과 전민변정 , 한국중세사연구 29.
안병우, 2008, 高麗王府 斷事官과 高麗-元 관계 , 역대 중국의 판도형성과 변강, 한신대학교출판부.
李康漢, 2009, 공민왕 5년(1356) ‘反元改革’의 재검토 , 大東文化硏究 65. ,
2013, 13~14세기 고려관료의 원제국 문산계 수령 , 한국중세사연구 37.
李起男, 1971, 忠宣王의 改革과 詞林院의 設置 , 歷史學報 52.
李佑成, 1961, 麗代 百姓考―高麗時代 村落構造의 一斷面― , 歷史學報 14. ,
1964, 高麗朝의 「吏」에 對하여 , 歷史學報 23. ,
1965, 高麗의 永業田 , 歷史學報 28.
이명미, 2011, 공민왕대 초반 군주권 재구축 시도와 奇氏一家: 1356년(공민왕 5) 개혁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 53. ,
2015, 고려-몽골 간 使臣들의 활동 양상과 그 배경 , 한국중세사연구 43.
李益柱, 1988, 高麗 忠烈王代의 政治狀況과 政治勢力의 性格 , 韓國史論 18. ,
1995,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 역사와 현실 15. ,
2001, 14세기 전반 성리학 수용과 이제현의 정치활동 , 典農史論 7. ,
2015, 1356년 공민왕 反元政治 再論 , 歷史學報 225.
이정란, 2005, 政治都監 활동에서 드러난 家 속의 개인과 그의 행동방식 , 韓國史學報 21.
2007, 辛旽 黨與 家門의 조상 감추기와 褒貶論 , 韓國史學報 27. ,
2013, 고려후기 ‘士族’의 변혁세력 이미지 창출과 金方慶 후손 , 한국중세사연구37.
이정신, 2008, 원 간섭기 원종·충렬왕의 정치적 행적: 김방경의 삼별초 정벌 일본원정을 중심으로 , 한국인물사연구 10.
임형수, 2018, 13~4세기 고려 官人層의 원도숙위와 그 전개 양상 , 역사와 담론 86.
장동익, 2007, 金方慶의 生涯와 行蹟 , 退溪學과 儒敎文化 40. ,
2013, 記錄에 남겨진 宰相金方慶 , 한국중세사연구 37.
崔臺聖, 1985, 高麗의 萬戶 , 淸大史林 4·5合
최연식, 1995, 공민왕의 정치적 지향과 정치운영 , 역사와현실 15.
崔鍾奭, 2010, 1356(공민왕 5)~1369년(공민왕 18) 고려-몽골(원)관계의 재검토―‘원간섭기’ 와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 116.
洪榮義, 1990·1992, 恭愍王 初期 改革政治와 政治勢力의 推移(上)·(下)―元年·5年의 改革方案을 중심으로― , 史學硏究 42, 43·44. ,
1995, 고려말 신흥유신의 추이와 분기 , 역사와 현실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