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곡선생문집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6-09-11 07:57 조회1,292회 댓글0건본문
朴谷先生文集(奎15622), 李元祿(朝鮮)著.
4卷 2冊 筆寫本(後寫) 29.8×20.7cm.
李元祿(1629∼1688)의 詩文集으로 刊年은 未詳이나 8대손 李相孫의 跋이 실려 있다.
「李王職藏」의 原本에서 1928년에 등사했다고 附記되어 있다. 朴谷 李元祿의 字는 士
興, 본관은 廣州. 1651년(孝宗 2) 司馬試에 장원, 禮曹參判, 大司憲, 大司諫, 戶曹參
判, 漢城府右尹 등을 지냈다. 安分, 知命, 守正, 不二를 생활신조로 삼았다고 한다.
{卷1}:詩 4首, 書 15首, 疏 5首(寫進箚錄疏, 擬上辭兵曹參議疏, 辭左議政疏, 再疏, 辭
左尹疏), 箚 1首(雷變箚 原本逸), 啓辭 1首(大司憲避嫌啓辭), 箋 8首, 序 1首(光山李
氏族契序), 跋 1首(書詩傳節要續後), 箴 1首(進夙興夜寐續箴). {卷2}:祭文 13首, 丘墓
文 2首, 雜著 4首(問剛柔, 氣數策, 性策, 范滂願埋首陽山論). {卷3}:敎書 2首(敎慶尙
道觀察使書, 敎咸鏡道觀察使書), 賜祭文, 祭文(李元錄에 관한 것) 16首, 挽詞 113首,
行狀, 墓碣銘 등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書는 上伯父, 上季父 등 친척간의 안부편지
가 대부분이나 領議政 許積에게 보내는 글에는 旱害 등으로 인한 농사의 실패, 非理의
정치 현실 등을 우려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寫進箚錄疏」는 儒臣 鄭經世가 仁祖에
게 올린 箚疏의 내용이 修己治人之術에 도움이 된다고 지적, 이를 베껴서 다시 올린
것으로 정치를 하는 데 적용하면 반드시 이로울 것이라는 주장이다. 辭左議政疏, 再疏
, 辭左尹疏는 代作이다. 丘墓文에 나오는 承議郞安公墓表는 安景淹(1595∼1674)에 관
한 것이다. 行狀을 보면 李元祿은 北邊에서 근무할 때 작성해 놓은 「邊事豫備策」이
있고 그 내용은 倉穀, 器械, 移軍 및 城民의 문제들에 관한 의견이 진술되었다고 하나
이 文集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4卷 2冊 筆寫本(後寫) 29.8×20.7cm.
李元祿(1629∼1688)의 詩文集으로 刊年은 未詳이나 8대손 李相孫의 跋이 실려 있다.
「李王職藏」의 原本에서 1928년에 등사했다고 附記되어 있다. 朴谷 李元祿의 字는 士
興, 본관은 廣州. 1651년(孝宗 2) 司馬試에 장원, 禮曹參判, 大司憲, 大司諫, 戶曹參
判, 漢城府右尹 등을 지냈다. 安分, 知命, 守正, 不二를 생활신조로 삼았다고 한다.
{卷1}:詩 4首, 書 15首, 疏 5首(寫進箚錄疏, 擬上辭兵曹參議疏, 辭左議政疏, 再疏, 辭
左尹疏), 箚 1首(雷變箚 原本逸), 啓辭 1首(大司憲避嫌啓辭), 箋 8首, 序 1首(光山李
氏族契序), 跋 1首(書詩傳節要續後), 箴 1首(進夙興夜寐續箴). {卷2}:祭文 13首, 丘墓
文 2首, 雜著 4首(問剛柔, 氣數策, 性策, 范滂願埋首陽山論). {卷3}:敎書 2首(敎慶尙
道觀察使書, 敎咸鏡道觀察使書), 賜祭文, 祭文(李元錄에 관한 것) 16首, 挽詞 113首,
行狀, 墓碣銘 등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書는 上伯父, 上季父 등 친척간의 안부편지
가 대부분이나 領議政 許積에게 보내는 글에는 旱害 등으로 인한 농사의 실패, 非理의
정치 현실 등을 우려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寫進箚錄疏」는 儒臣 鄭經世가 仁祖에
게 올린 箚疏의 내용이 修己治人之術에 도움이 된다고 지적, 이를 베껴서 다시 올린
것으로 정치를 하는 데 적용하면 반드시 이로울 것이라는 주장이다. 辭左議政疏, 再疏
, 辭左尹疏는 代作이다. 丘墓文에 나오는 承議郞安公墓表는 安景淹(1595∼1674)에 관
한 것이다. 行狀을 보면 李元祿은 北邊에서 근무할 때 작성해 놓은 「邊事豫備策」이
있고 그 내용은 倉穀, 器械, 移軍 및 城民의 문제들에 관한 의견이 진술되었다고 하나
이 文集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