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 허적- 수색집에서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7-05-11 11:28 조회1,428회 댓글0건

본문

허적 

 

1563년(명종18) ~ 1640년(인조18).
시조로부터 21세손이다.
자는 자하(子賀), 호는 수색(水色). 또는 상고재(尙古齋)이다.

1588년(선조21)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1593년(선조26) 공직에 나가지 아니하다
1597년(선조30) 별시문과(別試文科) 을과(乙科)에 급제하여
죽산(竹山) 및 양지현감을 역임하고
1607년(선조30)에 형조좌랑 사예군자감정(刑曹佐郞 司藝軍資監正)등에 재임중
1628년(인조6) 유효립(柳孝立)과 당질인 유(逌)등이
선조의 7남 인성군 공(仁城君 珙)을 새로운 왕으로 추대하여 옹립하려는
흉계를 모의하려는 것을 알고 실행전 사전에 고변하여 그 공으로
영사공신일등(寧社功臣一等)에 봉해지고 공조판서 양릉군(工曹判書 陽陵君)에 제수되고
한성판윤을 역임하고 증좌의정(贈左議政)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
77세에 별세하니 왕이 부음을 듣고 예관(禮官)을 보내어 조의를 표하고
불천지묘(不遷之廟)를 지어 화상(畵像)을 그리게 하고 큰 소를 잡아서
성대한 장례(葬禮)를 치루게 하였다.

불천지묘(不遷之廟)는 세월이 오래되어서 없어지고
1998년도에 새로 2층으로 신축하여(尙古齋)  매년 음력 10월 첫째 일요일에
후손들이 모여 효위13위(孝位13位), 비위17위(妣位17위) 합30위패를 모시고
성대한 제향을 올리고 있다.

수색집 문집6권이 규장각에 보존되어 있으며 서문은 교산 허균(蛟山 許筠)이 쓰고
발문은 미수 허목(眉
許穆)이 기술하였다.
묘(墓)는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맹리  의 선영하(先塋下)에 있다. 
 

* 유효립(柳孝立) : 본관 문화(文化). 자 행원(行源). 광해군의 처남인 유희분(柳希奮)의 조카이다.                             광해군을 상왕으로 삼고 인조의 숙부인 인성군 공(仁城君 珙)을 추대하려는 모반을                             계획했다가 본인과 인성군이 죽임을 당하였다.
* 기로소(耆老所) : 조선시대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목적으로 설치한 기구.

 

1563(명종 18)∼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자하(子賀), 호는 수색(水色). 참봉 방(昉)의 아들이다.
1588년(선조 21) 진사시에 합격하고, 1597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99년 북청판관으로 있다가 형장(刑杖)을 남용한 죄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체직되고, 1602년 예조좌랑에서 체직되었다.
1605년 경기좌도경차관(京畿左道敬差官)을 지냈으나 답험(踏驗)의 부정으로 다시 체직되었다가 곧 영천군수를 제수받고,

1607년 형조정랑이 되었다.
1614년(광해군 6) 호조좌랑을 지내기도 하였으나, 이후 벼슬을 하지 않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직되었다.
1626년(인조 4)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로 재직중 조정의 예의를 지키지 않고 제례를 그릇되게 시행하였다는 탄핵을 받기도 하였으나,

1628년 유효립(柳孝立)의 모반사건에 공을 세워 영사공신(寧社功臣)에 녹훈되고 양릉군(陽陵君)에 봉하여졌다.
이후 판서에까지 올랐다.
시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수색집》 8권 4책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