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金水亭 小史> 7-8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4-12-28 17:59 조회1,992회 댓글0건

본문

7. 김득신, 박장원

?김득신(金得臣) 1604(선조 37)∼1684(숙종 10). 조선 중기의 시인. 본관은 안동.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 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치(緻)이며, 어머니는 사천목씨(泗川睦氏)로 첨(詹)의 딸이고, 아내는 경주김씨이다.

?박장원(朴長遠) 1612(광해군 4)∼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 자는 중구(仲久), 호는 구당(久堂)·습천(?川). 직장(直長)을 지낸 훤(?)의 아들이다.



<詩評>

* 永平牛頭淵 山水之承 最於畿內 昔有金胤福者居之 金先彈琴 號琴翁 楊蓬萊士彦 刻詩巖石曰 --- 語淸調高 ?世絶作 <終南叢志>



1 한국문집총간 구당집(久堂集) [北征錄序]  박장원 1730 -  -  

久堂先生集卷之八 

   詩○北征錄幷序○錄中詩五十五首。而只抄二十七首。首篇至永平過登金水亭。係錄中作。 

   [北征錄序] 121_192b 

     

    余於昨年臘月二十五日。夜夢入金剛山萬瀑洞。?兒從焉。指示前後左右羅列諸峯之舊歲歷覽處。覺而異之。意或以爲?也出宰東縣之兆。其日政。果得金城。因以是夢語於人。中心愈益自奇。此遯翁所謂此心飄然已在太行之麓云者。殆亦近之。顧余繫官于朝。慨無緣而至焉耳矣。適於是年暮春。余以宗伯。隨右相洪公祇役咸興府。府有純陵。陵乃我太祖皇祖考度祖王妃崔氏之塋。而

有改封之役故也。去時所歷。不敢出入遊觀。乃於完事而歸也。復登咸之樂民北山等樓。其與目謀者。極封內甲乙之壯觀。過謁太祖舊宮及濬源殿。問肇跡之基。瞻寫眞之容。自安邊鶴浦。遵東海而轉。尋見外大父去思碑於?谷。臨眺叢石亭。踰楸池嶺。入山一宿。?兒來候於此山。卽所謂金剛也。歷萬瀑洞正陽寺歇惺樓。由拜岾斷髮嶺而出。與洪相鐵嶺之行。會于金城。偕到永平。遂徘徊於金水亭而歸。往返二千餘里。計程首尾日 

子。恰倍於列子御風之遊矣。噫。此所經?,咸,淮,鐵,安五邑。乃吾外大父所?。而安則從祖連城榮養之地也。余生於?。學語於咸。長於鐵。旣冠陪遊於淮,安之間。此眞歐公所謂豈能忘情於隨者也。余昔剖春符按東節。伊時事不從心。皆未暇重過。其中咸則尤所願遊。恒往來于心未已也。今幸白首。遍歷無遺。觸境感舊。?然以悲。至於萬瀑之夢。如合左契。蓋亦有數存焉於其間。非假人力而致之也。豈非六十年間一段奇事耶。第以迫於疲役。 

不容沈思締?。塗間所得。率多隨意口占。詞致平凡。不合掛人眼。而總計其數五七言律絶?五十五首。聊記之。以貽兒輩。所恨與子長奇偉氣。謝眺驚人詩。雖判於?壤。其於他日曝冬??夏?而資臥遊之玩則亦或庶幾云爾。庚戌初夏月晦。久翁書于灘墅之斗窩。 


2 한국문집총간 구당집(久堂集) 永平過登金水亭  박장원 1730 -  -  

久堂先生集卷之八 

   詩○北征錄幷序○錄中詩五十五首。而只抄二十七首。首篇至永平過登金水亭。係錄中作。 

   永平過登金水亭 121_195b 

     

    北度鐵關嶺。南尋金水亭。壯遊兼勝賞。玆事罕曾經。

龍拔深湫黑。蘿懸古壁靑。窮探付年少。橫笛復楊?。


 

8. 이은상, 박세당, 신익상, 김환

?이은상(李殷相) 1617(광해군 9)∼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열경(說卿), 호는 동리(東里).

조선 중기 한학 4대가의 한 사람인 정구(廷龜)의 손자로, 소한(昭漢)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여주이씨(驪州李氏)로 좌찬성 상의(尙毅)의 딸이다. 할아버지 정구와 큰아버지 명한(明漢)은 모두 제학 또는 대제학을 역임하였으며, 아버지와 사촌형제들이 모두 문장에 뛰어나 일가가 사림을 이루었다.

?박세당(朴世堂) 1629(인조 7)∼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계긍(季肯), 호는 잠수(潛?)·서계초수(西溪樵?)·서계(西溪).

?신익상(申翼相) 1634(인조 12)∼1697(숙종 2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숙필(叔弼), 호는 성재(醒齋). 정언 양(#양11)의 아들이다.

?김환(金奐) 1637생

-------------------------------------------------------------------------- 

문온) 김환(金奐) / 顯宗 01 增廣 進士

【시험년도】 현종(顯宗) 01 (1660) 증광(增廣) 진사(進士)

【합격등위】 3등 0039

【본인성명】 김환(金奐)

【본인 자】 연명(然明)

【본인생년】 정축(丁丑) 1637

【본인본관】 안동(安東) 김(金)

【본인거주】 경(京)

【본인구존】 자시하(慈侍下)

【본인문과】 임인(壬寅) 1662 증(增)* 현종(顯宗) 3년 (임인, 166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20(丙科20) 

【본인전력】 유학(幼學)

【부친성명】 김정지(金鼎之) 조부(祖父) 김확(金?) 증조부(曾祖父) 김대섭(金大涉) 외조부(外祖父) 이지굉(李志宏) 처부(妻父) 신최(申最)

【부친품계】 선교랑(宣敎郞)

【부친관직】 후릉(厚陵)/행참봉(行參奉) 김환(金奐)



11 한국문집총간 동리집(東里集) 挽金校理 奐  이은상 1702 -  -  

東里集卷之九 

   詩 

   校理 122_497d 

     

    鶴髮偏慈弱冠兒。相持號?血雙垂。親知共切無年恨。泉壤應含不瞑悲。美器易虧眞可惜。明徵竟錯亦

堪疑。傷心金水亭前月。永失蘭舟晩泛期。


23 한국문집총간 서계집(西溪集) 金水亭 三首  박세당

西溪先生集卷之三 

   後北征錄 戊辰春○兄子判書公泰尙。爲咸鏡監司。延先世諡號於營中。先生往赴時作。 

   金水亭 三首 134_057a 

     

    亭乃都事舊業。金嘗過余石泉。不識其面。今亡已久矣。過此不能無感。

牛頭自昔亦聞名。今日還來水上行。曾識主人無處問。可憐浮世足傷情。

亭前巖畔小舟橫。常有游人得渡行。淸絶江山誰管

領。水禽空自向人情。

??疊石曝??。半倚溪頭半入波。見有楊家題刻在。數行堪換一群鵝。

 

25 한국문집총간 성재유고(醒齋遺稿) 金水亭 亭是金然明別業也。綠水靑山。眞是淸絶地。而石上有蓬萊,石峯筆蹟。亦一奇觀也。  신익상 ? -  -

醒齋遺稿冊五 

   詩○北關錄 

   金水亭 亭是金然明別業。綠水靑山。眞是淸絶地。而石上有蓬萊,石峯筆蹟。亦一奇觀也。 146_149d 

     

    金水聞名久。今來賞淸景。蓬老與石翁。神筆留勝境。蕭條不同時。感古懷耿耿。長吟倚孤舟。淸潭落雲影。

 


26 한국문집총간 성재유고(醒齋遺稿) 蒼玉屛弔思菴相公  신익상 ? -  -  

醒齋遺稿冊五 

   詩○北關錄 

   蒼玉屛弔思菴相公 146_150a 

     

    昨過金水亭。今尋蒼玉屛。丞相有遺廟。邦人仰德馨。淸風邈難攀。弔古雙涕零。孤嘯倚風?。水綠山更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