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金水亭 小史> 5-6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4-12-28 17:55 조회1,608회 댓글0건

본문

5. 이수광, 허균, 김확

?이수광(李?光) 1563(명종 18)∼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유학자·문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윤경(潤卿), 호는 지봉(芝峯).

?허균(許筠) 1569(선조 2)∼1618(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

?김확(金?) 1572(선조 5)∼1653(효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정경(正卿), 호는 금사(金沙). 아버지는 도사 대섭(大涉)이다.


김확 선조님은 1572(선조 5)에 태어나신 조선 중기의 문신이십니다. 안동김씨 문온공의9세손이시며 자는 정경(正卿), 호는 금사(金沙). 아버지는 의금부도사 대섭(大涉)이시며, 어버니는 이조판서 청파군 심전의 따님이십니다.

두명의 누님이 태어난 후 막내로 태어나시어 어려서 집안과 교류가 깊었던 초당 허엽의 아들 하곡 허봉에게서 공부를 하시었습니다. 후에 작은누님이 허봉의 동생 허균에게시집을 가게 되었습니다. 큰 누님은 지봉유설의 저자 지봉 이수광에게 출가하셨습니다.

허봉에게서 열심히 공부하여 1589년 사마시에 합격, 진사가 되시었으나, 아버님의 급서의 충격으로 과거를 포기하였다가 늦게 1618년(광해군 10)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시었습니다. 그후 철원부사(鐵原府使)를 지내시고 상의원정으로 치사하시었습니다.

일찍이 하곡(荷谷) 허봉(許봉)에게 수학하여, 문장이 뛰어나 사림들 사이에 명성이 높았다고 어려 곳에 기록 되어 있습니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병조정랑(兵郎)으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호위하여 한강을 건넜으며,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동궁을 배위(陪衛)하여 남행(南行)하는 등 국가의 비상시에 왕실의 안위를 담당한 바 있다고 역사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1653(효종 4). 에 돌아가셨습니다.

묘지명은 생질(큰누님+지봉 이수광)인 판서 이민구가 지었습니다. 이민구의 형은 영의정을 지낸 이성구입니다.


허균의 첫번째 부인은 안동김씨이다. 정부인 안동김씨는 문온공의 종손인 김대섭의 막내딸로서 허균에게 시집가서 딸 하나와 아들 하나는 낳고 임진왜란때 죽었다. 이때 아들도 또한 죽었다.

다만 딸만 성장하여 이사성에게 시집가서 아들을 낳으니 이 아들(허군+안동김씨의 외손자)이 허균의 문집을 보관하여 후세에 전했다.

특히 오늘날 홍길동전이 전해질수 있었던 것은 교산의 첫부인(김대섭의 딸)의 외동딸이 몰래 감추어서 전해진 것으로, 국문학사의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 永平金水潭 一名牛頭淵 山水之承 甲於畿內 舊有金胤福者居之 胤福平生喜彈琴 號琴翁 楊蓬萊士彦 刻詩巖石曰--- <이수광, 지봉유설, 13;25b>



‘양봉래 선생의 아량과 풍도는 세상의 숭상받는 바가 되거니와 나의 선친(초당 허엽)과 사마(司馬)·문과(文科)를 모두 같이 합격하였으므로 그 사귐이 가장 친밀한데, 문장이 높고 빼어나 구름을 앞지를듯한 기상이 있고, 행서(行書)·초서(草書)를 잘 쓰는데 그 쓰는 법이 마치 용이나 뱀처럼 분방하며, 본성이 벼슬살이를 우습게 알고 산수(山水)에 정을 붙여 짚신과 밀로 결은 나막신 차림으로 어느 때고 가지 않은 날이 없었다.’〔허균「성소부부고」부록1 학산 초담〕


‘안변부사에 있을 때는 공무를 제쳐두고 10일 이상씩 산수(山水)에 들어간 적도 있었다.’〔이수광(李?光)「지봉유설(芝蓬類說)」〕



6. 이민구, 신익성, 허목

?이민구(李敏求) 1589(선조 22)∼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시(子時), 호는 동주(東洲)·관해(觀海). 이조판서 수광(?光)의 차남이다. 철운부사공(휘 확)의 묘지명을 썼다. 동주집에 있다.

?신익성(申翊聖) 1588(선조 21)∼1644(인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병자호란 때의 척화5신(斥和五臣)의 한 사람.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군석(君奭), 호는 낙전당(樂全堂)·동회거사(東淮居士). 영의정 흠(欽)의 아들이며, 선조의 부마(駙馬)이다. 신흠은 <의금부도사 김공 의인 심씨 합장 지명 병서> 를 찬하였다.

?허목(許穆) 1595(선조 28)∼1682(숙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문보(文甫)·화보(和甫), 호는 미수(眉?).


金水亭八詠

東臺新月

沙面平如掌。東峯月上初。誰知無累鑑。夜夜照空虛。

姑山暮色

隔水姑山近。蒼然暮色來。人生拘大化。誰免此行催。

蒼玉抽魚

彎回溪水曲。列地翠屛舒。開甕槽床注。兼抽丙穴魚。

尊岩汲酒

平生漫浪翁。自汲尊岩酒。溪水日東流。淸觴不我負。

野渡□舟

溪水奔流疾。行人喚渡忙。扁舟夜不泊。漂在棘籬傍。

鵑窩訪古

相國乘箕後。凄□杜宇聲。孤村人不見。狐鼠夜橫行。

思菴相亭號拜鵑窩。孼子後以謀反誅。

洞陰官舍

洞陰。永平邑號。十室官居僻。淸晨□角聲。□朧殘夢裏。應自念春耕。

梁門驛里

十里梁門近。喧呼閱使星。神京猶不遠。自此赴長亭。

≪출전 : 東州先生詩集卷之二十四 □輪錄二≫


이민구의 금수정팔영(金水亭八詠)중

준암급주(遵-책바침 巖汲酒)라는 5언 절구를 옮겨 봅니다.

평생만랑옹(平生漫浪翁) 한 평생 부질없는 늙인이가

자급준암주(自汲준巖酒) 혼자 준암의 술을 길어내는데

계수일동류(溪水日東流) 냇물은 햇살 동쪽으로 흐르건만

청상불아부(淸傷不我負) 푸른 술잔을 날 버리지 않네

(* 상=술잔 상=傷에서 사람인변 대신 뿔角변임)



金水亭詩序

白鷺洲在洞陰縣南十里而遠。其水北流。抱縣治而 下。轉長林一牛鳴地。稍西□。水益大。翠屛開張。爲浮 雲壁。壁有韓石峯書壺中日月醉裏乾坤八大字。水 □而爲潭。有亭翼然其上。爲金水亭。堪輿家以其上 地形如牛頭。又名牛頭亭。其傍曰東臺。明沙鋪石。可 坐百人以上。碧樹成幄。夏日銷暑。登亭以望。山巒川 陸四面朝拱之勢。使人應接不暇。野秀而林芳。木茂 而陰濃。風霜□而淸瘦。氷雪刻而明潔。四時之景。莫 不具備。雖善□者無以措其喙。自亭西十餘武。有大 石峙於水涯。上陷而爲窪尊。受酒可七斗。其傍鐫楊 蓬萊詩曰。綠綺琴伯牙心。一鼓復一吟。鍾子是知音。 □□虛□起遙岑。江月娟娟江水深。其石下嵌空。群 魚所聚。沿溪北下又三里許。爲蒼玉屛。故相朴思庵 拜鵑窩在焉。蓋蓬萊好爲山澤遊。足跡遍嶺東西。而 常流連於是亭。思菴錦城人。捨風詠□仰之勝不論。 而□ □於斯。竟死而葬焉。必有取爾也。夫名區勝地 在吳越遼絶之鄕。人莫不命棹蠟展願一往遊焉。今 去神京三舍之外有此絶境。天作地藏。以餉輦□遊 客。豈不異哉。舅氏金沙公少而專壑。且以先壟不 遠。終始爲歌哭之所。自余年十一己亥。始省外王母 于此。及長而文酒逍遙。無歲而不遊。至癸酉。舅氏 而余亦老。則亭之上再無余跡矣。蓋蓬萊,思菴。邈爾 先輩。文彩風流□□影響而已。雖以余□末後生希 □於□轍。而風燭相催。忽焉□及。人代之感。居然可 見。唯其亭宇景物。今古一致。舅氏有孫曰正字。嗣 守先業。脩治封殖。無廢舊觀。乃請余爲文。而繫以詩 曰。 天豁郊平眺望宜。金沙亭澗之涯。窪尊剔字苔文 古。雲壁鳴舷石勢危。丘壑風流如宿昔。山河人代有 遷移。臺前逝水無情極。不爲光陰駐少時。甲辰仲秋。東州山人李敏求書。≪출전 : 東州先生文集卷之二 序≫



6 한국문집총간 낙전당집(樂全堂集) 憩金水亭  신익성 1682 -  -  

樂全堂集卷之二 

   詩○五言律 

   憩金水亭 093_172d 

    峽裏危亭古。登臨延賞心。微茫看遠岫。蒼翠擁長林。石仄牛頭出。湖明壁影沈。秋光?客興。未覺樹移陰。

其二

沙自亭前白。湖從壁底深。苔封林外徑。松作檻邊陰。?客詩猶在。巖樽酒可斟。平生出塵想。卽此暫開襟。


 

3 한국문집총간 기언(記言) 贈鄭君山水指路記  허목 1772 -  -  

記言別集卷之九 

   記 

   贈鄭君山水指路記 099_090d 

    烏江過壺口峽。其上松隅石壁深松。有古城。稱絶景。又其上大灘。爲靑松谷口。谷中多山水可遊。大灘東二十里。蒼玉屛。有朴政丞祠堂。水中觀石峯。石刻大字。又東數里餘。金水亭在牛頭淵上。淵上又刻蓬萊詩。其字體亦奇玩。其上二十里曰白鷺洲。在七里灘下。水西流。與白雲溪

水合。漫廻過永平西。爲牛頭淵花江之水。不及永平三十里。爲禾積淵。淵中有石峯。高不可攀。淵上皆奇??壁。多?多楓多??。又其北上流十餘里。孤石亭。水中有層石。蒼然特起。水深苔滑。不可梯而登。其上流。又有七潭八萬?。其上黃氏別業。禾積淵十餘里龍華山。山有三大瀑。瀑下三石潭曰三釜。貊俗方言謂瀑爲落。謂三釜落者此也。其上龍華寺。白雲山。在永平東北六十里。水益遠。山益深。京城北山水之奧。白雲水石最奇云。其外壽春之史呑。亦山水佳處。

歷記之贈鄭君。以爲遊行山水指路云。丙午菊秋下旬。眉?。書。

 

 

4 한국문집총간 기언(記言) 白雲溪記  허목 1772 -  -  

記言卷之二十七 下篇 

   山川 上 

   白雲溪記 098_139b 

    觀白鷺洲。夕至白雲溪。在永平之治西五里。水益漫。沙益平。巖壁益?然。深潭脩瀨。上下迷茫。日暖氷雪消。有水鳥數十。飛鳴過之。溪間盤石上。有蓬萊,石峯石刻書。可玩。潭上。有金氏舊業。曰金水亭。下流數里。有蒼玉屛。沿溪山面。皆石故名。古朴丞相別業。溪上。有丞相祠堂。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