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 중시조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신라김씨 시조 대보공

2. <금궤도> 소개

3. 신라김씨의 분관(分貫) 및 개성(改姓)

4. 안동김씨 시조 평장사(平章事) 휘 숙승(叔承) 소개

5. 안동김씨 중시조 충렬공(忠烈公) 휘 방경(方慶) 소개

 

본문

p02.png 금궤도(金櫃圖) 소개 (대보공 탄강 신화 관련 그림)

 

ceba819c10a3475d0859239d3418e20c_1736900967_4457.jpg
 

 

1) 작가 : 조속(趙涑. 1595-1668).

조선 중기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희온(希溫), 호는 창강(滄江) 또는 창추(滄醜). 병조판서에 추증된 수륜(守倫)의 아들이며, 문인 화가 지운(之耘)의 아버지. 시서화 삼절로 일컬어졌으며. 특히 까치를 잘 그려 '조 까치'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이 분야의 대표적 화가로 꼽힌다. 대표작으로는 <고매서작(古梅栖鵲)〉과 <매작도(梅鵲圖)〉 외에 공필(工筆)로 그린 채색의 <금궤도(金櫃圖)〉가 있다.

 

2) 제작년도 : 1635(인조 13)

3) 종류 :비단 채색화

4) 크기 : 105.5cm x 56cm

5)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6) 작품 해설 : 조속의 <금궤도>에는 위쪽에 이 그림을 그린 뜻과 화가의 이름이 적혀 있어서 회화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채색화인 이 그림은 중앙에 큰 나무가 있고, 그 나무에는 금궤가 매달려 있으며, 밑에는 흰 수탉이 울고 있다. 위쪽에 적힌 내용으로 보아 신라 김알지의 시조 설화(始祖說話)를 소재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그림은 진한 채색을 써서 장중하게 표현하였는데, 채색화가 드문 조선시대에 채색화의 전통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수묵화가로서 유명한 조속의 색다른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금궤가 매달린 나뭇잎의 모습이나 배경의 구름이 신화의 내용과 더불어 더욱 환상적인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