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동방급제자 명단> (2005. 11. 24. 항용(제) 제공) 세조 12년(1466) 발영시때는 102명의 합격자를 냈다. (등준시도 함께 기록되어 2번 기록 된 분도 있습니다.) 12년(1466) 발영시때는 102명의 합격자를 냈다. (등준시도 함께 기록되어 2번 기록 된 분도 있습니다.)
이름 생년 자 호 본관 합격등급 *강희맹(姜希孟) 미상(未詳) 1 *강희맹(姜希孟) 미상(未詳) 1 경준(慶俊) 이선(而善) 청주(淸州) 2 구종직(丘從直) 미상(未詳) 3 권고(權暠) 미상(未詳) 1 권정(權侹) 안동(安東) 1 권체(權體) 안동(安東) 3 권호(權瑚) 미상(未詳) 3 김계창(金季昌) 미상(未詳) 2 김계형(金季衡) 평숙(平叔) 강릉(江陵) 3 김구(金龜) 김해(金海) 2 김극검(金克儉) 미상(未詳) 1 김극검(金克儉) 미상(未詳) 3 김뉴(金紐) 미상(未詳) 2--(안정공파) 김뉴(金紐) 미상(未詳) 3--(안정공파) 김렴(金ॖ) 미상(未詳) 3 김렴(金ॖ) 미상(未詳) 3 김맹절(金孟節) 지지(止止) 평해(平海) 3 김성원(金性源) 미상(未詳) 3 *김수온(金守溫) 미상(未詳) 1 *김수온(金守溫) 미상(未詳) 1 김언신(金彦莘) 1436 병진 강릉(江陵) 3 김예몽(金禮蒙) 미상(未詳) 3 김예원(金禮源) 음성(陰城) 3 김온(金溫) 미상(未詳) 김익령(金益齡) 미상(未詳) 3 김정용(金貞用) 상주(尙州) 2 김중연(金仲演) 공량(公亮) 안동(安東) 3 (서운관정공파) 김치운(金致運) 경주(慶州) 3 김화(金澕) 미상(未詳) 3 남계당(南季堂) 희정(希正) 의령(宜寧) 3 남윤종(南潤宗) 의령(宜寧) 1 남정(南鼎) 미상(未詳) 3 노공필(盧公弼) 1445 을축 희량(希亮) 국일(菊逸) 교하(交河) 2 노분(盧昐) 미상(未詳) 3 *노사신(盧思愼) 미상(未詳) 1 *노사신(盧思愼) 미상(未詳) 2 박량(朴良) 미상(未詳) 3 박시형(朴始亨) 미상(未詳) 3 *서거정(徐居正) 미상(未詳) 2 *서거정(徐居正) 미상(未詳) 1 성윤문(成允文) 미상(未詳) 3 성윤문(成允文) 미상(未詳) 3 성임(成任) 미상(未詳) 2 *성현(成俔) 미상(未詳) 3 손차면(孫次綿) 미상(未詳) 3 송처관(宋處寬) 미상(未詳) 3 신승선(愼承善) 미상(未詳) 3 신승선(愼承善) 1436 병진 계지(繼之) 거창(居昌) 1 신정(申瀞) 언유(彦游) 고령(高靈) 3 안침(安琛) 1445 을축 자진(子珍) 죽창(竹窓) 순흥(順興) 2 안호(安瑚) 1437 정사 가헌(可獻) 순흥(順興) 1 *양성지(梁誠之) 미상(未詳) 2 양수사(楊守泗) 학원(學源) 중화(中和) 3 오형(吳亨) 미상(未詳) 3 유순(柳洵) 미상(未詳) 3 유순(柳洵) 미상(未詳) 3 유원로(兪元老) 杞溪(기계) 1 *유윤겸(柳允謙) 미상(未詳) 2 유자분(柳自汾) 진주(晉州) 3 유자한(柳自漢) 미상(未詳) 3 윤석(尹晳) 1435 을묘 희점(希點) 파평(坡平) 3 윤자영(尹子濚) 미상(未詳) 2 윤자영(尹子濚) 미상(未詳) 3 이감(李堪) 백승(伯勝) 경주(慶州) 2 이경동(李瓊仝) 옥여(玉汝) 전주(全州) 1 이경동(李瓊仝) 옥여(玉汝) 전주(全州) 3 이길보(李吉甫) 용인(龍仁) 3 이길보(李吉甫) 용인(龍仁) 3 이맹현(李孟賢) 미상(未詳) 3 이봉(李封) 번중(蕃仲) 소은(蘇隱) 한산(韓山) 2 이부(李溥) 1444 갑자 준지(俊之) 전주(全州) 2 이수남(李壽男) 1440 경신 전의(全義) 2 이수남(李壽男) 1440 경신 전의(全義) 3 이숙감(李淑瑊) 차공(次公) 몽엄(夢奄) 연안(延安) 2 이영은(李永垠) 한산(韓山) 3 이예(李芮) 가성(可成) 양성(陽城) 2 이예(李芮) 가성(可成) 양성(陽城) 3 이유생(李有生) 미상(未詳) 3 이육(李陸) 방옹(放翁) 청파(靑坡) 고성(固城) 2 이인석(李仁錫) 전의(全義) 3 이파(李坡) 미상(未詳) 2 *임사홍(任士洪) 사의(士毅) 풍천(豊川) 3 임원준(任元濬) 미상(未詳) 2 임원준(任元濬) 미상(未詳) 2 장중성(張仲誠) 미상(未詳) 3 정난종(鄭蘭宗) 미상(未詳) 2 정란종(鄭蘭宗) 미상(未詳) 3 정란종(鄭蘭宗) 미상(未詳) 3 정이공(鄭以恭) 연일(延日) 2 정효상(鄭孝常) 미상(未詳) 2 조숙(趙淑) 배천(白川) 3 조원경(趙元卿) 임천(林川) 3 진지(陳祉) 미상(未詳) 1 최경지(崔敬止) 미상(未詳) 3 최사노(崔士老) 미상(未詳) 3 최숙정(崔淑精) 미상(未詳) 3 최숙정(崔淑精) 미상(未詳) 2 최영린(崔永潾) 삭령(朔寧) 3 한여승(韓汝升) 미상(未詳) 3 홍응(洪應) 미상(未詳) 2 홍의달(洪義達) 남양(南陽) 2
1)해동명적(海東名迹)의 친필 시 (2002. 7. 19. 항용(제) 발견 제공)
<海東名迹>(발간년, 발간일, 발간자 미상. 조선총독부 고서. 복사본. 2002. 7. 19. 항용(제) 발견 제공)
2) <팔경도권 속의 친필 시> (2002. 10. 주회(안). 제공) <안평대군의 팔경도권 속에 들어 있는 명사들의 자필 시>(상기의 것은 우측 상단의 낙관으로 보아 금헌공의 것으로 추정됨. 출전 : 한국미술전집11. <서예> 동화출판사. 임창순 저. 71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