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 노(金 魯) 1498(연산군4)∼1548(명종3).--(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동고공 소개

2. 주요 사진자료

3. 묘갈명

4. 이가서법 입수기

5. 필적 자료 종합

1) 심순문묘갈

2) 이함신도비

3) 김공예묘갈

4) 안윤덕신도비

5) 이양중묘갈

6) 이순언묘갈

7) 인종묘지

8) 김번묘갈

9) 송호지묘갈

     

6. 각종 문헌 자료

본문

p11.png 1. 동고공 소개 1498(연산군4)∼1548(명종3)

조선의 문신, 서예가. 자는 경삼(京參), 호는 동고(東皐), 서운관정공(휘 綏)의 후손으로 대사헌 희수(希壽)의 아들. 20 세 전에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525년(중종20)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부정자(副正字)가 되고, 검열(檢閱)·정자를 거쳐 1530년 저작(著作)으로 김안로(金 安老)의 석방을 비난했다가 김안로가 다시 권력을 잡자 문의(文義)에 유배되었으나 1537년 김안로가 사사(賜死)되자 다시 기용, 직제학(直提學)에 이르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었다.

 

어려서부터 학론(學論)에 밝고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왕희지 · 왕헌지의 전기(傳記) · 필적(筆蹟)을 가지고 학습하였다. 조정의 각종 전책(典冊)과 고관명사들의 비문을 많이 썼다. 부자가 모두 명필로서 그의 필적으로 글씨를 새겨 간행한 《이가서법(二家書法)》이 있으며, 경기도 광주의 <제안대군침묘비(齊安大君琛墓碑)〉파주의〈성청송수침묘비(成聽松守琛墓碑)〉<영상정광필묘비(領相鄭光弼墓碑)〉등이 그의 글씨이다. 묘는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산81번지 광곡산에 있다. 시제는 음력 10월 1일이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