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안사연 여름캠프 해설자료6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4:50 조회1,079회 댓글0건본문
<자료6>
Ⅵ. 파주 군사공파(칠정문중) 유적지
1. 선유리<영모재(永募齋)>
영모재는 파주군 문산읍 선유리 436에 있으며 위층은 재실, 아래층은 살림집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곳 선유리 선영은 파주 입향조 토산공(휘 삼로) 증손 謙(겸)의 묘가 있는데 택지로 주택공사에 수용이 되어 遷墓(천묘)를 계획하고 있다.
(1) 義禁莩事 諱 謙, 配 恭人 豊山金氏 之墓(군사공 6세)
묘비 외에 망주석 1쌍이 있다.
(2) 秉節校尉 贈 副提學 諱 彦鐸, 配 令人 安東權氏 之墓(군사공 7세)
합장 묘로 좌우에 문인석 1쌍이 있는데 조각이 아주 섬세하지는 않으나 세월의 고태가 느껴진다.
(3) 贈 參贊官諱 俊元, 配 贈 淑夫人 文化柳氏, 配 贈 淑夫人 鎭川宋氏 之墓(군사공 9세)
씽분으로 문인석 1쌍이 있는데 조각기법이 상당히 약화되어 동자석에 가까워 보이나 홀을 쥔 손 부분 등으로 보아 문인석이 분명하다.
(4) 贈 戶曺參判 諱 珣, 配 贈 貞夫人 丹陽禹氏 之墓(군사공 8세)
쌍분으로 문인석 1쌍이 있고 형태는 동자석이나 홀을 쥔 모습이다. 아버지의 묘가 아들 묘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형태다.
2. 막적동
선유리 막적동 선영은 영모재에서 판문점,전곡 방향으로 가다가 우측 작은성 음식점 옆 산에 있다. 작은성 대지의 일부가 군사공파 토지인 관계 주인의 승인하에 주차를 쉽게 허락을 받을 수 있었다.
(1) 김삼노(金三老)<?([?)~세조 9년(1463)> : 입향조 토산공이시다.
세종조(世宗朝) 진사(進士), 승의랑(承議郞), 토산현감(兎山縣監)을 지냈다.
墓 : 경기도 파주시 선유리 막적동 경좌.
배위 : 연일정씨<父 :부사 효원, 祖父 : 판서 오천부원군 정원공 진(鎭)>
子 : 二男으로 坤(慶元府使), 禑(宣敎郞, 長興庫 主簿), 壻(서)는 판서 封(봉)은 목은 이색의 손자로 이조판서 이경전의 아우이다 또 우인손, 영안 김개신이다.
父 : 塡(藝文館直提學), 祖父 : 七陽(郡事公)
묘표가 있는데 비문 판독이 아직은 가능할 정도이다. 살펴본 즉 묘표의 전후면이 바뀌어 있다. 향후 봉분 앞으로 돌려서 세워야한다는 의견이다.
(2) 김윤정(金允精)<? ~ ?>
자산도호부사겸병마첨절제사(慈山都護府使兼兵馬僉節制使)
墓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막적동 자좌
配 : 숙부인 전주이씨(쌍봉)
父 : 坤(慶源府使), 祖父:三老(兎山縣監), 曾祖:塡(藝文館直提學), 高祖:七陽(郡事公)
(3) 김 지(金 言止)<연산 5년(1499~명종 22년(1567)>
통덕랑(通德郞)
墓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막적동(자산공 階下) 자좌
配 : 밀양박씨(密陽朴氏)
父 : 允精(慈山府使), 祖父 : 坤(慶源府使), 曾祖 : 三老(兎山縣監), 高祖 : 진(塡)
3. 장산리
(1) 김곤(金坤)<세종 27년(1445~연산 7년(1501)>
字는 순보(順甫)로 1446년 병술(丙戌) 무과(武科), 선전관(宣傳官), 부령부사(富寧府使), 강원도 경차관(敬差官), 철원부사(鐵原府使), 경원부사(慶源府使)를 지냄.
墓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 산75번지 유좌
배위 : 숙부인 청주경씨 (父: 府使 慶禎, 祖父: 府使 慶由謹)
子 : 二男一女로 允粹(生員), 允精(慈山都護府使)
父 : 三老(兎山縣監), 祖父 : 塡(藝文館直提學), 曾祖 : 七陽(郡事公)
4. 연풍리
(1) 김정일(金鼎一)<명종 17년(1562~공해원년(1609)>
자 : 의중(義中) 호 : 농포(農圃) 성균관 진사 선조조 문과급제
官 : 成均館典籍, 唐將接伴使, 世子侍講院司書兼春秋館記注官, 司憲府持平, 中國書狀官, 경기도敬差官, 충청도御史, 예조정랑, 공주判官,등 을 역임하고 함경도(咸鏡道) 도사(都事)가 되었으나 사직하고 본가(本家)로 돌아왔다.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의 문인(門人)으로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용주(龍洲) 조경(趙絅),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등과 교류하였다.
묘비명: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撰, 이조판서(吏曹判書) 이정영(李正英) 書
配 : 道康金氏 (父:牧使 福億, 祖父:牧使 若默)
청음집(淸陰集)과 만은유고(晩隱遺稿–홍주화(송시열의제자)에 농포(農圃) 김정일(金鼎一)에 대한 만사(輓詞)와 제문(祭文)이 있다.
(2) 김경(金坰)<선조 16년(1583~인조 24년(1646)>
자 : 숙평(叔平) 초휘 : 균(均) 성균관 생원
정축(丁丑) 문과급제 형조정랑(刑曹正郞),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청풍군수(淸風郡守)등 역임. 贈 사간원(司諫院), 대사간(大司諫).
墓碑銘 : 外贈孫 이조판서(吏曹判書) 박권(朴權) 書
配 : 전주이씨(父: 郡守 李培達)
청풍군수 김경(金坰)이 중수한 응청각(凝淸閣)에 택당(澤堂) 이식(李植)이 응청각기(凝淸閣記)를 지었다. (청풍문화재단지)
김경(金坰)을 낭천현감(狼川縣監)으로 삼았다. 김경은 상이 잠저(潛邸)에 있을 때의 친구이므로 은총이 매우 융숭 하였다.<인조실록 6년2월14일(병오)>
(3) 김인량(金寅亮)<선조 36년(1603)~숙종 4년(1678)>
자 : 대천(代天) 정묘중(丁卯中) 성균관 진사(成均館 進士)
의금부도사(義禁莩事), 역선공감첨정관(歷繕工監僉正官), 풍덕도호부사겸장단진동관병마첨절제사(豊德都護府使兼長湍鎭同管 兵馬僉節制使), 안성군수(安城郡守), 한성부 판관(漢城府 判官)
墓(四位) : 경기도 파주시 연풍리 산1번지 (小加佐縣 露積峰下 卯坐)
墓碑銘 : 우의정(右議政) 박세채(朴世采) 撰, 이조판서(吏曹判書) 박권(朴權) 書
配 : 평산신씨
公歷三曹正郞三郡守三通判一都護府使 事蹟靑白錄 통진, 의성, 평양, 함흥, 예천, 재령, 안성, 풍덕.(皆有去思碑 : 가는곳 마다 선정비와 추모비가 있다.)
(4) 김익량(金翼亮)<광해 14년(1622~현종 15년(1674)>
字 : 재치(在治) 號 송정(松亭) 孝宗1年(1650) 成均生員이 되고 음사(蔭仕)로 서사동몽교관(筮仕童蒙敎官), 세자사(世子師), 용안현감(龍安縣監), 병마진절제도위(兵馬鎭節蹄尉)를 역임하였다.
墓 : 파주읍 연풍리산 3번지 오좌 유갈
配 : 원주변씨
묘갈명: 일찬선(逸贊善) 영가(永嘉) 김원행(金元行) 撰
현종15년 4월 7일에 호남 관사에서 운명하여 영구(靈柩)가 고향 파주까지 六百里길을 올 때에 각 읍의 목사(牧使)와, 부사(府使)가 곡하며 만사(輓詞)로서 교정(交情)을 표(表)하였다. 외제(畏齊) 문충공(文忠公) 이단하(李旦夏)가 만사(輓詞)를 썻으며, 운구가 노성(魯城)에 도착하여서는 명제(明齊) 문성공(文成公) 윤증(尹拯)이 크게 통곡하며 만사세의(輓詞世誼)를 썼으며 서울에 도착하니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과 가제(稼齊) 김창업(金昌業)이 장막을 치고 영구(靈柩)에 제문(祭文)을 올렸다.
公은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문인(門人)으로 남인(南人)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리면서 소론의 진보세력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외제집(畏齊集)><노가재집(老稼齋集)>
▶ 七陽(郡事公) - 塡 - 三老 - 瑀 - 允剛 - 夏詳 - 壤 - 鼎一 - 坰 - 寅亮, 翼亮.
○ 김창흡 金昌翕 [1653~1722] 삼연(三淵) 문강공(文康公) 제문
○ 김창업 金昌業 [1658~1721] 노가제(老稼齊) 제문
○ 윤증 尹拯 [1629~1714] 명제(明齊) 문성공(文成公) 만사
○ 이단하 李端夏 [1625~1689] 외제(畏齊) 문충공(文忠公) 만사
○ 김원행 金元行 [1702~1772] 미호(渼湖) 문경공(文敬公) 비문
5. 방축리
(1) 김진(金塡)<우왕 8년(1382)~세종 29년(1447)>
태종 14년(1414년) 진사시를 거쳐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3등으로 급제하여 예조좌랑(禮曹佐郞), 예조정랑(禮曹正郞), 영암부사(靈岩府使), 사재감정(司宰監正), 사헌집의(司憲執義),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거쳐 내자판사(內資判事), 보문각직제학(寶文閣直提學)을 역임하였다.
墓는 여주군 백양동으로 전하나 실전하여 설단 제향.
설단 : 경기 파주시 파주읍 연풍리 산1번지 인좌(寅坐)
배위 : 정부인 광주노씨
자(子) : 一男으로 토산현감(兎山縣監)을 지낸 삼노(三老)이다.
父 : 칠양(七陽) 수안군사(遂安郡事), 祖父 : 후(厚) 상락군(上洛君) 서부부령(西部副令), 曾祖 : 승용(承用)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 高祖 : 선(渲) 부지밀직사사 전법판서(副知密直司事 典法判書)
6. 광탄
(1) 김영수(金永綬)<숙종 42년(1716)~정조 10년(1786)>
安東人이며 초휘는 영적(永績), 字는 중약(仲若)이다. 갑자무과(甲子武科)와 병인중시(丙寅重試)를 거쳐 가선대부에 올랐다. 흥해군수(지금의 포항)와 전라우·좌수사를 거쳐 함경도병사, 제주목사 겸 방어사, 홍충도 병사를 역임하고 통제사에 부임하여 통영임소에서 순직 하였다.
통영의 세병관에 타루비와 사적비가 있고 흥해군(포항)에도 선정비가 있으며 후에 청덕사에 배향되었다. 사후에 두차례에 걸쳐 청백리에 천거되었으나 녹선되지 않았다.
父 : 홍석(弘錫) 자(字)희백(禧伯) 중직대부(中直大夫)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
祖 : 두남(斗南) 號 탁청헌(濯淸軒) 丁卯文科 贈 弘文館,藝文館大提學, 淸白吏
配 : 함종어씨(咸從魚氏), 간성최씨(杆城崔氏)
【연보】
-1771(영조47) 4월 전라우도수군절도사
-1773(영조49) 전라좌도수군절도사
-1778(정조 2) 1월 함경도 병마절도사
-1778(정조 2) 11월 제주목사
-1785(정조 9) 7월 충청도 병마절도사
-1785(정조 9) 11월 삼도수군통제사 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
-1786(丙午) 7월1일 통영(統營) 임소(任所)에서 순직.
【가계】
▶ 칠양(군사공) -진(塡) - 삼노(三老) - 우(瑀) - 윤강(允剛) - 하상(夏詳) -양(壤) -정일(鼎一) - 경(坰) - 인량(寅亮) - 지(址) - 두남(斗南) - 홍석(弘錫) - 영수(永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