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1) 송경판사일본지행
<친필서찰>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2002. 3. 은회(익) 제공) * 1607년(선조 40) 정월, 일본과 강화하기 위해 副使로 일본에 가는 교리 경섬(慶暹-청주인)을 송별하는 자리에서 호조판서인 김수가 지은 친필 시이다(해설:石陵世蹟. 안동김씨서운관정공파 간. 1996). --<조선사료집 眞 합편>에 있음)
<시 해석문> (2002. 11.24. 서운관정공파종중회 이사 김규태님이 임진왜란 종전 410주년 기념하여 행주산성에서 한일 무장후손 친선회가 개최되었을 때 낭독한 대표 인사록 중 시 해석문. 2003. 5. 27. 주회(안) 자료 발굴 제공)
경부사를 일본으로 보내며
바다 물결이 잔잔한 날에 그대는 회답사가 되어 가네 영남에서는 백운을 바라보고 일본에서는 꾀꼬리 소리를 들으리
인사를 비록 힘으로는 어렵지만 천심은 평화를 바라시네 한잔 술로 서로 이별한 후에 변방의 달은 몇 번이나 기울고 차리
2) 기로소 수연시
* 1590년(선조 23)에 나이 많은 임금과 정2품 70세 이상의 문관이 입참하여 記名하던 기로소(耆老所)에서 壽宴에 참석한 병조판서 김수가 공경하는 마음으로 적어 놓은 시문(해설:상동. --<대한민국 역대명현필보>에 전함)
耆老所壽筵詩 (한시 원문 및 역문-2003. 10. 27. 태영(군) 제공) 八十期臣頁近 / 팔십세의 노인은 기이(期臣頁 :百歲)에 가까우니 國成慶壽筵 / 나라에서 수연경사(壽筵慶事) 베풀었네. 人間無此會 / 인간에 이러한 모임 없으리나 天上有群仙 / 천상의 신선(神仙)들에게나 있겠지 少長蘭亭계 / 소장(少長)의 사람은 난정의 계우(禾契 友)들이요 賓朋洛社賢 / 빈붕(賓朋)은 장안에서 모인 제현(諸賢)일세 年年好時節 / 해마다 좋은 시절에 盛事당(人+尙)相傳 / 성사(盛事)가 아마도 영원히 전승하리
* 안사연 종합 재해석문 (2005. 3.) 八十期 臣頁近 國成慶壽筵 人間無此會 天上有群仙 少長蘭亭稧 賓朋洛社賢 年年好時節 盛事倘相傳 팔십세 노인은 기이(100세)에 가까워 나라에선 수연경사 베풀었다네. 인간세상엔 이런 모임 없고 천상 신선들에게나 있다던가, 젊은이들은 蘭亭의 稧友들이요 귀한 벗은 장안에 모인 제현들일세, 해마다 좋은 시절에 성사(盛事)는 아마도 영원히 전승하리.
3) 봉송 진청사 이판서 가) <근묵>의 사진 자료
槿墨(仁)>(성균관대 간. 1995. 87P. 2002. 8. 13. 항용(제) 조사 제공.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4권에도 수록돼 있음)
나)<한국역사종합정보서비스>의 자료
<위 사진 자료와 함께 수록되어 있는 내용> * 유물명칭 : 김수시 *국적/시대 : 한국(韓國) / 조선(朝鮮) *재질 : 지(紙) *크기 : 가로--37 cm / 세로- 26 cm *작자/필자 : 김수 * 용도기능 : 문화예술(文化藝術) / 문헌(文獻) / 서간류(書簡類)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소장기관 : 학교(學校) / 성균관대(성균관대) *유물번호 : 성균관대(성균관대) 995 4) 데라우치 문고 속의 서찰 (2006. 5. 27. 항용(제) 제공) 1. 출전 : <고간첩>(경남대학교 출판부. 김용만 편저. 2006. 1. 10만원) 2. 해설 : 1996년 일본 야마구치 현립대학에서 인수 받아 온 135책 속에 있다. 3. 내용 : 원본은 경남대학교(마산)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상기 책 208P에 서찰과 해독 및 해설이 들어 있다. 2006. 5. 27. 서울 예술의 전당 서예당에서 전시할 때 상기 책자에서 촬영한 것임
<서예당 입구의 안내 현수막>
<서찰>
<209P의 해독, 번역문>
<데라우치문고>에서 찾아낸 간찰 (2006. 5. 6. 태영(군) 제공) 김수(金 目卒 : 1547~1615). 봉투) 동부좌하(同副座下) 화압
謹問今直況如何 就煩妻男成希益家欲造筆善手匠人提送其家爲望趙宣川家來公州居焉伏惟分亮謹狀 수(目+卒) 당직중에 평안 하신지요? 부탁드릴 말씀은 처남 성희익(成希益)집에서 붓을 만들려고 한다는데 솜씨 좋은 장인을 붙잡아 그 집에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조선천(趙 宣川)집은 공주에 와서 삽니다. 이만 줄입니다.
수 올림 고간첩(古簡帖)1 경남대학교 박물관
<상기 서찰에 나오는 성희익에 대한 조사> (2007. 9. 17. 규태(서) 제공) 규태종친님께서는 그동안 상기 서찰에 나오는 인물인 <成希益>을 확인하기 위하여 많은 고생을 하셨답니다. 아래는 창녕성씨 대종회, 국립중앙도서관 등을 찾아다니며 조사하여 찾아내신 자료입니다.
*성희익(1552년(명종7)--1594년(선조27) 成好問의 둘째 아들로서 자는 군우(君虞)이고 음직으로 정선군수를 역임하였으며 통정대부로 추증되었다.
*몽촌공은 廣興倉守 成好問의 둘째 사위이시다. 이상 참고문헌 : <창녕성씨 상곡공 파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