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정경(正卿), 호는 금사(金沙). 문온공(휘 구용)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도사공 대섭(大涉)이다. 1589년 사마시에 합격, 진사가 되고, 1618년(광해군 10)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철원부사(鐵原府使)에 이르렀다. 일찍이 하곡(荷谷) 허봉(許봉)에게 수학하였으며, 문장이 뛰어나 사림들 사이에 명성이 높았다.
<※하곡 허봉은 허균의 형이인데, 김확은 매부의 형에게서 수학을 한 것이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병랑(兵郎)으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호위하여 한강을 건넜으며,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동궁을 배위(陪衛)하여 남행(南行)하는 등 국가의 비상시에 왕실의 안위를 담당한 바 있다. 참고문헌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東洲集. 尙衣院正金公확墓誌銘〈趙啓纘〉<장노현 수정> [지봉유설]의 이수광과 조선의 혁명가이자 허난설헌의 동생인 허균은 김대섭의 사위이므로, 이들과 김확은 처남매부 사이이다. 김확의 필적은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에 1점,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1점 (근묵에서 인용)이 소개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