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명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부사공 소개

  2. 묘지호 소개

3. 묘지명 소개

  4. 묘지호 확인

5. 실록 기록 자료

  6. 최초의 목민심서

7. 국조오례의에서

  8. 경기도 박물관 방문기

9. 기타자료

10. 구 묘비 소개

 

본문

p11.png 9. 기타 자료 소개

1) 부사공(휘 명리) 가장본(家藏本)으로 복각한 시전통석(詩傳通釋)

(2007. 3. 7. 윤식(문) 제공)

  *출전 : 국립중앙도서관 고서

■ 고서 상세정보

ankim02-6-18z28-1.jpg

 

■ 목차내용

 

  目次

  表紙

  詩卷第十九頌四        ..... 1

     周頌臣工之什四之一 ..... 2

     周頌臣工之什四之二 ..... 32

     周頌臣工之什四之三 ..... 54

  詩卷第二十            ..... 81

 

■ 초록내용

원나라 유근(?∼1510)이 주희의 <시집전>에 의거 시경을 주한 책으로 <시집전>에 틀린 점도 수정함이 없이 견수(堅守)하고 있음이 결점이다.

이 책은 전 20권중 제19, 20권 1책만 남은 낙질이나, 사주 쌍변, 흑구, 상하 흑어미로 원 지원(至元) 임진(壬辰 : 1352)년에 간행된 유씨일신당(劉氏日新堂) 목판본의 복각으로 추정된다.

발문에 의하면, 진양수(晋陽수) 김명리(金明理)의 가장본(家藏本)을 경상관찰사 조박(趙璞) 전백영(全伯英) 등의 후원으로 간행했다 한다.

태종 원년(1401) 간본이며 고정지(고精紙)로 제작되어 조선 초기 판본연구에 훌륭한 자료가 된다.

 

■ 참조

조박은 우왕 8년에 예부시에 등과하는데, 부사공의 형님이신 판결사공(휘 명선) 및 절제사공(휘 제 : 개명 강)과 동년입니다.

 

부사공(휘 명리)께서는 이 해에 국자감시에 합격하셨습니다. 당시 국자감시 장원은 이승상이었으며, 조선 태종(이방원)은 국자감시 십운시과 2등을 차지했습니다.

 ankim02-6-18z29.jpg

 ankim02-6-18z30.jpg

 ankim02-6-18z31.jpg

 ankim02-6-18z32.jpg

ankim02-6-18z33.jpg

 ankim02-6-18z34.jpg

 ankim02-6-18z35.jpg

 2) 묘산도  (2007. 3. 24. 윤식(문) 제공)

    출전 : 安東金氏姓譜 <戊午譜>(태영(군) 소장본)

      *이장 이전의 묘산도임

 ankim02-6-18z36.jpg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