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2007. 3. 12. 태영(군) 제공) 안동김씨세보 무오보(戊午譜)소개 (郡事,典書,副使,大司成,安靖,都評議)
1. 발간년대: 1858년 정월(철종9) 2. 규모: 16책 가로 22.5cm * 세로 35cm 3. 판본: 목판본 4. 서문: 守禦使 外裔孫 豐山 洪說謨 謹序, 後孫 相悳 謹序 5. 소장자 : 김태영(군사공파)
<무오보 서문(간기 부분)>
서문을 쓴 외예손 홍열모(洪說謨) 1804(순조4)∼1867(고종4).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성립(聖立), 호는 노암(老巖)이다. 홍희명(洪羲命)의 아들로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순조29년(1829)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이조참의(吏曹參議)(1848), 대사성(大司成)(1849), 충청도.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예조판서(1855). 의정부우참찬(議政府右參贊)(1856)에 이르렀으며, 철종10년(1859)에 한성부판윤을 지냈다. 이후 예조(禮曹). 공조(工曹). 형조(刑曹). 이조판서(吏曹判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등을지냈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참고문헌】純祖實錄, 憲宗實錄, 哲宗實錄, 豊山洪氏族譜
안동김씨세보 무오보(安東金氏世譜 戊午譜)
<해제>
판서공(判書公) 휘(諱) 선(愃)의 후손들을 수록한 세보(世譜)로 1858년(철종 9년)에 발간되었다. 판서공 후손 9파(密直司使公派, 開城尹公派, 郡事公派, 典書公派, 副使公派, 大司成公派, 安靖公派, 都評議公派, 大護軍公派) 가운데 5파(군사공파, 전서공파, 대사성공파, 안정공파, 도평의공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외예손(外裔孫) 풍산인(豐山人) 홍열모(洪說謨)와 후손 상덕(相悳)이 썼다.
16권 16책의 목활자본(木活字本)이다. 파별로 후손들을 수록한 까닭에 각 권마다 면수(面數)가 조금씩 차이가 난다.
제1권은 무오보 서문을 비롯해 역대 세보의 서문과 발문, 대보공(大輔公) 사실(事實), 경순대왕(敬順大王) 영당 중건기 및 치제문, 대안군 묘지문, 충렬공 묘갈, 선세시문(先世詩文), 동원록(同源錄), 범례(凡例), 고이(考異), 안동김씨세계원류(安東金氏世系源流), 주요 선조(先祖) 묘산도(墓山圖), 사록도(沙麓圖) 등을 싣고 있다.
제2권부터 제16권까지 각 파별로 후손들을 수록했는데, 어느 한 파(派)의 후손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싣지 않아 각 파별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점이 특징이다. 일정 대수(代數)까지는 장파(長派)부터 종파(終派)까지 차례로 수록해 나가다 후대로 내려와서야 각 파별로 정리하고 있다. 이는 후손들이 퍼져 나가면서 파별로 정리할 필요성이 커지기는 했으나, 한 어버이의 자손임을 나타내 ‘백대지친(百代至親)’의 정신을 후손들에게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때문에 제2권과 제3권에는 5개 파가 혼재돼 있으며, 제4권부터 파별로 후손들을 분리하여 수록하고 있다.
<서지 형태 및 소장자> 1. 발간 연대 : 1858년(철종 9년) 정월 2. 서지 형태 : 16권 16책, 가로 22.5cm×세로 35cm 3. 판 본 : 목활자본 4. 소 장 자 : 金泰榮(군사공 22세손 / 평택문중) 5. CD 제작 : 안동김씨사이버학술연구회(2007년 9월 1일)
<권별 수록 내용> ※표지 및 면지(面紙)를 제외한 내지(內紙) 면수임.
■ 1권 91장(張) 182쪽 안동김씨세보중간서(安東金氏世譜重刊序) 무오중간세보서(戊午重刊世譜序) 만력팔년경진보서(萬曆八年庚辰譜序) 경진보발(庚辰譜跋) 기미중간세보서(己未重刊世譜序) 기미보기사(己未譜記事) 무술중간세보서(戊戌重刊世譜序) 태보공사실(太輔公事實) 고이(考異) 경순왕영당중건기(敬順王影堂重建記) 경순왕영정기(敬順王影幀記) 중수표석(重竪表石) 재소(再䟽) 치제문(致祭文) 충렬공행장(忠烈公行狀) 황남전치제문(皇南殿致祭文) 축문식(祝文式) 신증 황남전비명(新增皇南殿碑銘) 대안군묘지문(大安君墓誌文) 충렬공유허비(忠烈公遺墟碑) 충렬공묘갈(忠烈公墓碣) 물계서원이건봉안문(勿溪書院移建奉安文) 신증 기미보발(新增己未譜跋) 선세시문발(先世詩文跋) 선세시문(先世詩文) 검교공휘휴유허비문(檢校公諱休遺墟碑文) 운암공휘익정처사공휘사준양세정려중건기(雲菴公諱益精處士公諱師俊兩世旌閭重建記) 안동부건치연혁(安東府建治沿革) 신라 세계연보초출(新羅 世系年譜抄出) 동원록(同源錄) 열성조수교(列聖朝受敎) 계림영당대제절목(鷄林影堂大祭節目) 신라왕김씨이적(新羅王金氏異蹟) 기미보범례(己未譜凡例) 무술보범례(戊戌譜凡例) 신보범례(新譜凡例) 구보보결대수고이(舊譜譜缺代數考異) 신보고이(新譜考異) 안동김씨세계원류(安東金氏世系源流) 대원류분파도(大源流分派圖) 경순왕릉산도(敬順王陵山圖) 충렬공묘산도(忠烈公墓山圖) 충렬공유허(忠烈公遺墟) 대제학공상락군공군사공삼대묘산도(大提學公上洛君公郡事公墓山圖) 전서공검교공양대묘산도(典書公檢校公兩大墓山圖) 성천공양위묘산도(成川公兩位墓山圖) 진사공묘산도(進士公墓山圖) 사록도(沙麓圖) 안동김씨세보(安東金氏世譜) 안동김씨족보권지일(安東金氏族譜卷之一)
■ 2권 59장(張) 118쪽 개성윤공휘칠림파(開城尹公諱七霖派)天 군사공휘칠양파(郡事公諱七陽派)天 / 秋 전서공휘성목파(典書公諱成牧派)宇 / 崐 대사성공휘구용파(大司成公諱九容派)日 지제교공휘제안파(知製敎公諱齊顔派)列 안정공휘구덕파(安靖公諱九德派)張 도평의공휘구정파(都評議公諱九鼎派)暑
■ 3권 54장(張) 108쪽 대사성공휘구용파(大司成公諱九容派)天 안정공휘구덕파(安靖公諱九德派)爲 도평의공휘구정파(都評議公諱九鼎派)生
■ 4권 69장(張) 138쪽 군사공휘칠양파(郡事公諱七陽派)天
■ 5권 62장(張) 124쪽 군사공휘칠양파(郡事公諱七陽派)天
■ 6권 66장(張) 132쪽 군사공휘칠양파(郡事公諱七陽派)天
■ 7권 81장(張) 162쪽 전서공휘성목파(典書公諱成牧派)天
■ 8권 90장(張) 180쪽 대사성공휘구용파(大司成公諱九容派)天
■ 9권 82장(張) 164쪽 대사성공휘구용파(大司成公諱九容派)天
■ 10권 55장(張) 110쪽 대사성공휘구용파(大司成公諱九容派)天 안정공휘구덕파(安靖公諱九德派)岡
■ 11권 97장(張) 194쪽 군사공휘칠양파(郡事公諱七陽派)天
■ 12권 77장(張) 154쪽 군사공휘칠양파(郡事公諱七陽派)天 전서공휘성목파(典書公諱成牧派)雨
■ 13권 72장(張) 144쪽 전서공휘성목파(典書公諱成牧派)天
■ 14권 74장(張) 148쪽 대사성공휘구용파(大司成公諱九容派)天
■ 15권 72장(張) 144쪽 대사성공휘구용파(大司成公諱九容派)天
■ 16권 68장(張) 136쪽 대사성공휘구용파(大司成公諱九容派)天 안정공휘구덕파(安靖公諱九德派)醎
※ 무오보 해제
|